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신명교 -
dc.contributor.other 조계민 -
dc.contributor.other 이승희 -
dc.contributor.other 최상기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1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19Z -
dc.date.issued 199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3 RE-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78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007/93_RE01_환경기술연구개발_관리체계구축방안_산업별환경기술개발기초수요조사_신명교.pdf -
dc.description.abstract 1. Title A plan of managing system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Ⅰ) Report on the basic deman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in industries. 2. Objectives of the project The basic deman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in industries was widly investiga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environment techhology and to establish a plan of managing system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3. Period of the project from June 19, 1993 to December 31, 1993 (7months) 4. Contents of the project Generally a level of Domestic environment technology is around 20~30%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technologies, this report analyzed the environment technologies required in domestic and described the present status of environment technologies in industries to manage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technologies efficiently. For this purpose, the production and discharge of the pollutants in both the whole industries and each industrial unit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productivities according to the '91 and '92 source inventory data of Ministry of Environment. Several aspects of end-of-pipe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echnologies which were currently applied for pollution prevention were investigated. Also, the present status of pollution in noise and vibration, odor, flying dust, soil and groundwater, and marine as well as air, wastewater and waste were described. After that, the required environmental technologies for pollution prevention were studied. 5. Results and Reconmandation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used in waste management, industries were grouped 9 main and 40 sub-classification. From these industries, a total productivity in 1992, Korea was equivalent to 187,802.4 billion won which shares the manufacture, construction, finance, security, real estate, whole and retail sale, and accomadation, etc. in sequences. Producing amounts of air, water, special waste, solid wastes from the industries are 4,088.6 kt/yr(82% of the total 4,966.6kt/yr), 82,008.8k㎥/day(44.5% of the total 82,008.8k㎥/day), 7,804kt/yr, 48,058kt/yr(39% of the total 123,154kt/yr), respectively. Specified amounts of the industrial air pollution produced by the industries were described. Numbers of the point and the non-point sources of air pollutants were 38,375 and 6,994,443 which produced 55% and 45% of total pollution, respectively, and 84.6% of the total amount of the total ameunt of the air pollutants, was generated from fossile fuel. Only 0.7% of the 2,025,616 total factories, 5% of the total 14,715 manufacturing factories polluted water due to their industrial wastes which was 8,200.8k㎥/day(44.5%) of the total national waste water. Of the total national solid wastes, the industrial waste was 48,058kt/yr(39%) and the special waste was 7,804kt/yr generated from 5,172 factories. We estimated a total amount of wastes would reach to the double of this figure in the early of 21 century which requires the higher effecacy of the environmental technologies than these days. In chapter 4 and 5, we described the environmental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end-of-pipe technologies which may permit to secure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arkets, and to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prevention of degree of the pollution. Further, these technologies should be applied by industries for decreasing cost. Also, specific environmental clean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consistently for pollution-inducible factor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출문<br>요약문<br>SUMMARY<br><br>Ⅰ. 서론 1<br> 1. 연구의 배경 1<br> 2. 환경기술 개발의 국제적 동향 2<br> 3. 연구의 범위 5<br>Ⅱ. 산업과 환경오염 기여 현황 10<br> 1. 산업별 생산규모 10<br> 2. 산업별 오염기여 현황 15<br>Ⅲ. 산업별 환경오염 현황 21<br> 1. 대기분야 21<br> 2. 수질분야 25<br> 3. 폐기물분야 29<br> 4. 기타 105<br>Ⅳ. 환경오염 사후처리기술 수요 112<br> 1. 대기분야 112<br> 2. 수질분야 115<br> 3. 폐기물분야 121<br> 4. 기타 125<br>Ⅴ. 환경오염 사전예방기술 수요 129<br> 1. 대기분야 132<br> 2. 수질분야 134<br> 3. 폐기물분야 136<br> 4. 기타 137<br>Ⅵ. 결론 138<br><br>참고문헌 140<br><br> -
dc.format.extent xi, 164p. ;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title 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I) -
dc.title.alternative 산업별 환경기술개발 기초수요 조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plan of managing system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1) - Report on the basic deman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in industries[93_RE01]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1. 제목 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Ⅰ) -산업별 환경기술개발 기초수요조사- 2. 연구목적 낙후되어 있는 국내 환경기술을 진흥시키고 효율적인 국내 환경산업 기술의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우리나라의 전반적 산업별 환경기술개발 기초수요조사 3. 연구기간 1993. 6. 19 부터 1993. 12. 31 까지 (7개월) 4. 연구내용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환경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20~30%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환경기술의 진흥을 위해 국내에서 요구되는 각종 환경기술의 내용을 분석하고 환경기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연계 조정하여 개발이 필요한 환경기술을 도출하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국내 산업별 환경기술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산업전반에 걸친 생산성과 이에 따른 오염유발, 배출현황, 산업분류에 따른 산업체에서의 생산규모에 따른 환경오염 발생량 및 오염별 성상을 '91, '92년 환경처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근거로 하여 현재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적용중에 있는 분야별 환경기술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적극적인 환경보전을 위한 산업별 환경오염 예방차원의 사전예방 기술을 살펴보았다. 또한 대기, 수질, 폐기물 오염 이외에 소음 진동, 악취, 비산먼지, 토양 및 지하수오염, 해양오염의 환경오염 실태와 사후 및 사전예방을 위한 환경기술을 조사하여 보았다. 5. 결론 및 건의사항 한국표준산업 분류와 폐기물분야에서 사용한 산업분류를 근거로 9개 대분류, 40개 중분류 산업에 대한 생산현황은 총 187,802.4십억원으로 제조업, 건설업, 금융 보험, 부동산, 도 소매, 숙박업의 순으로 여기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대기의 경우 4,966.6천톤/년의 82.3%에 해당하는 4,088.6천톤/년, 수질오염의 총 18.417.8천㎥/일의 44.5%인 82,008.8천㎥/일, 특정폐기물 7,804천톤/년, 총 일반폐기물 123,154천톤/년의 39%인 48,058천톤/년이 산업활동에 의해 배출되고 있다. 대기오염은 고정배출원 38,375개와 이동오염원 6,994,443개에서 각각 55%, 45%의 대기오염을 배출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의한 대기오염이 전체의 84.6%를 차지하고 있다. 수질오염은 정부에 등록된 총 2,025,616업체의 0.7%에, 제조업체 298,493의 5%에 해당하는 14,715개의 업체에서만이 공장폐수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양은 전체 국내 폐수총량의 44.5%인 8,200.8천㎥/일로 나타났다. 폐기물의 경우 전체 산업체에서 48,058천톤/년의 일반폐기물이 발생하여 전국 총 일반폐기물의 39%에 해당하며 특정폐기물의 경우 총 5,172개 업체에서 7,804천톤/년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발생량도 경제발전에 따라 2000년대 초에는 현재의 2배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른 처리설비 및 효율적인 환경기술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이에 대한 각 부분별 사후, 사전처리기술은 4장, 5장에 언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환경기술은 국내의 환경시장 확보 및 환경사업의 수출시장 확보, 산업체에서의 환경오염방지의 효율화를 위하여 독자적인 국내 환경기술 개발이 절대 필요하다. 또한 사후처리에 소요경비 저감 및 환경보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청정기술로 대변되는 환경오염 사전처리 및 예방기술이 기업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 보고서에서 밝혀진 환경오염 유발이 큰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별 특성을 감안한 산업별 환경보전 대책 연구와 세부적인 환경기술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hi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yung-Ky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ye-Mi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eung-H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ang-Ge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