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I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승희 -
dc.contributor.other 신명교 -
dc.contributor.other 최상기 -
dc.contributor.other 김동억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1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19Z -
dc.date.issued 199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3 RE-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78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3_RE03]환경기술설비실태(이승희).pdf -
dc.description.abstract 1. Tittle : A plan of managing system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Ⅲ) Report on the facility status for environmental technonogy 2. Objectives of the project The pollution prevention facililties for better environmental quality, the basic environmental equipment the status and planning of install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detailed installation planning and the directions were suggested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pronblems on the supply for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Also,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the managing system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regarding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e was prepared as a study for the actural condition of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supply. 3. Period of the project from June 19, 1993 to December 31, 1993(7months) 4. Contents of the project 1. Investigation of the facility status for environmental industry in domestic -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 Present status and planning for the treatment facilities 2. Problems and analyses on the environmental facility supply - treatment facilities for air pollution - treatment facilities for water pollution - treatment facilities for wastes 3. Future directions of the facilities for a better environmental quality - for a better air quality - for a better water quality - for an improved wastes treatmment 5. Results and Reconmandation The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in domestic were insufficient after reviewing the overall status of the pollu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facilities for air, water and wastes. Several structural problems on the environmental facility supply were verified. Firstly, most of the companies were petty and their records on the facility installation were minute, which couldn't satisfy the demand in domestic. Secondly, even though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is indispensable, the required technologies have not been accumulated because of an insufficient investment on envri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difficulties in specialist security, Finally, industry specification and government supporting mechanism were not suffic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neccessary to strengthen the registrative regulaion to prev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unqualified facility manufacturers for supplementation of the bidding system of the installation and to increase the investment on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 론 1<br> 1. 환경설비산업의 범위 2<br> 2. 환경설비산업의 특성 3<br> 3. 환경설비산업의 발전과정 3<br><br>Ⅱ. 국내 환경산업 설비실태 5<br> 1. 공해방지설비 5<br> 1.1. 대기오염 방지설비 5<br> 1.2. 수질오염 방지설비 14<br> 1.3. 폐기물처리 장치 18<br> 1.4. 소음진동 방지설비 21<br> 2. 환경요염물질 처리시설 설치현황 및 설치계획 22<br> 2.1. 대기오염물질 처리시설 현황 및 설치계획 22<br> 2.2. 수질오염물질 처리시설 현황 및 설치계획 27<br> 2.3. 폐기물 처리시설 현황 및 설치계획 48<br><br>Ⅲ. 환경시설 공급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점 및 분석 63<br> 1. 환경설비산업에서의 문제점 및 분석 63<br> 1.1. 영세업체의 난립 63<br> 1.2. 환경기술의 낙후 63<br> 1.3. 업종전문화 미흡 64<br> 1.4. 정부 지원제도 미흡 65<br> 2. 대기오염 처리시설에 대한 문제점 및 분석 65<br> 3. 수질오염 처리시설에 대한 문제점 및 분석 66<br> 3.1. 폐수 처리시설의 문제점 및 분석 66<br> 3.2. 하수 처리시설의 문제점 및 분석 67<br> 3.3. 오수와 분뇨 처리시설의 문제점 및 분석 68<br> 4. 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 및 분석 69<br> 4.1. Uruguai Round에 의한 시장개방 압력 69<br> 4.2. 폐기물 배출용량의 산정 69<br> 4.3. 분리수거와 재활용 미흡 70<br> 4.4. 처리시설의 부족 71<br><br>Ⅵ. 환경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73<br> 1. 환경설비산업의 발전방향 73<br> 1.1. 환경설비산업 등록기준 강화 73<br> 1.2. 환경설비공사에 대한 입찰제도 보완 73<br> 1.3. 환경설비산업에서의 기술개발 74<br> 1.4. 환경설비투자와 지원제도 보완 75<br> 2. 대기질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76<br> 2.1. 청정연료 공급확대 76<br> 2.2. 분진감소를 위한 설비방향 77<br> 2.3. 자동차 배출가스 감소 방안 78<br> 2.4. 대기오염 감시체제 정비강화 79<br> 3. 수질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79<br> 3.1. 수질환경기초시설의 확충 79<br> 3.2. 오염원 입지제한 80<br> 3.3. 배출허용 규제기준 강화 81<br> 3.4. 수자원 관리기능 강화 82<br> 4.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설비방향 82<br> 4.1. 폐기물의 감량화 82<br> 4.2. 폐기물의 재활용 및 자원화 촉진 83<br> 4.3. 처리시설의 확충 및 관리강화 84<br><br>Ⅴ. 결 론 87<br><br>참 고 문 헌 89<br><br>부 록 1. 각?시도별 분뇨처리장 현황 92<br>부 록 2. 전국 소각시설 설치 장기계획 94<br>부 록 3. 자가 소각시설 설치승인 현황 104<br>부 록 4. 자가 고온분해시설 설치승인 현황 113<br>부 록 5. 전국 매립지 설치 계획 121<br>부 록 6. 자가 매립시설 설치승인 현황 132<br><br> -
dc.format.extent xii, 192p. ;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title 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III) -
dc.title.alternative 환경기술 설비실태 조사보고서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plan of managing system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Ⅲ) Report on the facility status for environmental technonogy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1. 제 목 : 환경기술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Ⅲ) 환경기술 설비실태 조사보고서 2. 연구목적 : 환경오염개선에 필요한 공해방지설비, 환경기초시설과 환경오염물질 처리시설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여 환경시설 공급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환경개선을 위한 구체적 설치계획과 설비방향을 수립하며, 환경기술 공급에 대한 실태조사로서 산?학?연 연계체제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3. 연구기간 : 1993. 6. 19부터 1993. 12. 31까지(7개월) 4. 연구내용 1. 국내 환경산업 설비실태조사 - 공해방지설비 - 환경오염물질 처리시설 설치현황 및 설치계획 2. 환경시설 공급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점 및 분석 - 대기오염 처리시설에 대한 문제점 및 분석 - 수질오염 처리시설에 대한 문제점 및 분석 - 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한 문제점 및 분석 3. 환경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 대기질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 수질개선을 위한 설비방향 -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설비방향 5. 결론 및 건의사항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중요한 설비들과 현재 국내에서의 공해방지설비와 전반적인 환경오염물질 처리시설인 대기, 수질, 폐기물의 시설현황을 파악?검토한 결과 환경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초시설은 전체적으로 아주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시설 공급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으로는 환경설비업체의 대부분이 영세하고 시설설치실적도 미미하여 국내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환경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환경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매우 적고 전문인력확충이 용이하지 않아서 필요한 환경기술을 축적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며, 업종전문화 미흡과 정부지원제도 미흡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환경오염물질 처리시설과 환경개선을 위한 환경기술 설비방향으로 영세업체의 난립을 방지할 목적으로 등록기준을 대폭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환경 설비공사에 대한 입찰제도를 보완하며, 환경기술개발에 역점을 두어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ung-He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