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영남 -
dc.contributor.other 이기옥 -
dc.contributor.other 정은화 -
dc.contributor.other 장경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2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21Z -
dc.date.issued 199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3 RE-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81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3_RE13]종합환경정보망개발사업(김영남).pdf -
dc.description.abstract 1. Research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2. Research Objectives The need for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creases rapidly at all levels of the modern society, from that of the national policy-makers to the level of grassroots, for the advance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the scientific decision-making based on sound informa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o link sources and users of information is a highly important issu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ety. Participants include government bodies, research institut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grassroots, and entrepreneurial organizations worldwide. This network fosters informed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to encourage the betterment of environmental policy-making and the protection of earth's environment.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2)to identify the potential users and to analyze user's demand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3)to build up the cost-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4)to develop the DB system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5)to establish and operate the nationwide information network system for fulfilling the functions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s to multi-users, including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nation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before 1996 to provid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with easy access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network system. The present report is on purpose to develop the initial implementation plan of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3. Research Period August, 1993~December, 1993 4. Research Contents Responding to the global demand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w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is one of very urgent problems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policy-making capability. This project seeks to develop an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1)formulates the bas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plan of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the on-lne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at all levels 2)surveys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data management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demand of potential users to estimate the initial specifications of the network system, 3)assess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system components, 4)studies the required organization and man-power planning and sets up the detailed development schedules and budget assessment. 5.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was an important and urgent task to meet the international movements for protection earth's environment. For fulfilling the free flows of information across countries and all levels of the nation, the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s to multi-users should be established before 1996. Therefor,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operated on schedule suggested in this study wit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 1)Active participations of government agencies, especial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GO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national and municipal assemblies, regional and community representatives, and individuals as the producer and consumer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2)Appropriat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ensure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the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br> <br>1. 목적 <br> <br>2. 필요성 <br> <br>3. 연구방법<br> <br>4. 연구내용<br><br>Ⅱ. 추진전략<br> <br>1. 기본방향<br> <br>2. 단계별 추진전략<br> <br>3. 정보관리체계의 기능<br><br>Ⅲ. 정보의 소요분석<br> <br>1. 환경정보 분류<br> <br>2. 정보의 수집방안<br> <br>3. 환경정보소요의 우선순위<br> <br>4. 유관기관과의 정보관계도<br> <br>5. 유관기관과의 전산망 연계시 고려사항<br> <br>6. 소요정보량 분석<br><br>Ⅳ. 시스템 구성<br> <br>1. SYSTEM 별 요구 성능<br> <br>2. System 구성요소별 처리정보량<br> <br>3. 주전산기 요구사항<br> <br>4. 통신망의 구성 개념도<br> <br>5. 소프트웨어의 구성<br> <br>6. DATABASE<br> <br>7. 시스템 구성(도)<br><br>Ⅴ. 정보관리 방안<br> <br>1. 자료관리 시스템 내용 및 기능<br> <br>2. 정보제공 방안<br><br>Ⅵ. 추진계획<br> <br>1. 년도별 추진계획<br> <br>2. 단계별 중점사업<br> <br>3. 추진방법<br> <br>4. 조직 및 인력<br> <br>5. 세부 추진 일정<br> <br>6. 소요예산<br><br>Ⅶ. 결론 및 건의<br><br>부록<br><br>Ⅰ. 유관기관의 전산현황<br> <br>1. 국내기관의 전산현황<br> <br>2. 국외기관의 전산현황<br><br><br><br> -
dc.format.extent xiv, 85p. ;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title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1. 과제명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 2. 연구의 목적 국내외 환경기술의 선진화 및 과학적이고 능동적인 환경정책 수립에 필수적 요소인 최신환경기술?정책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국내유관기관과 정보 이용자에게 신속?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네트웍을 이용한 종합환경정보망 구축의 기본추진계획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연구기간 1993년 8월 ~1993년 12월 4. 연구내용 1)종합환경정보망의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 및 단계적 추진전략수립 환경기술개발에 필요한 국내외 심층 과학기술정보의 수집, 분석, 가공 유통을 위한 범국가적 정보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산재되어 있는 환경기술정보의 체계적인 통합관리 및 신속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하여 자료관리를 전산화하고, 공중정보 통신망 및 국가기간 전산망을 통한 국내정보의 공동활용 및 해외 정보센터와의 상호접속으로 국내외 환경정보의 On-Line 서비스 제공을 위한 종합환경정보망의 구축과 운영에 연구의 기본방향을 두었으며, '93년부터 2,000년까지 3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96년까지 종합환경정보망을 구축 완료하여 본격적인 국내외 정보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으로 단계별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제1단계인 '93-'94에는 기반구축단계로 현재 분산되어 있는 환경관련 정보의 범국가적인 수집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환경정보망의 기본설계를 완료하여 주전산기를 도입 설치하며, 제2단계인 '95-'96년에는 환경정보망의 구축단계로 전국적인 환경정보전산망을 구축하고 국제망과의 상호접속으로 국가간의 정보교류체계를 확립하여 국내외 환경정보 서비스를 실현할 계획이며, 제3단계인 '97년도 이후에는 환경정보 서비스의 선진화 및 국제화를 위한 운영발전단계로 서비스의 극대화를 위한 운영발전에 그 목표를 두었다. 2)환경정보의 소요분석 환경정보는 크게 도서, 연구보고서와 같이 서술적으로 기술된 문헌정보와 대기, 수질 등의 측정자료인 수치정보 그리고 수치정보와 해당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결합하여 동태적이고 시각적인 환경정보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형도, 생태도(동, 식물)등의 그래픽 정보로 분류하였고 널리 산재한 환경정보의 수집은 구입, 목사 및 교환체계를 구축학 전문기관별로 기증체계와 납본 의무화제도를 마련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정보 수요를 조사한바에 의하면 그 우선순위는 환경관련 정책정보, 환경오염현황정보, 오염관련정보, 환경기술정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관기관과의 정보관계도를 분석한결과 효율적인 정보의 공동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는 국내의 산업기술 정보원, 환경처, 대덕연구전산망 등의 기존 통신망과 연동체계를 구축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한 해외 상업용 DB, INFOTERRA, SDN 등과의 상호접속 및 연계체제를 구축하여 정보유통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비용대 효과 측면에서 크게 대두 되었다. 이에 따라 소요정보량을 분석한 결과 목표년도인 '96년에 문헌정보로는 국내 DB로 10만건, 해외 DB로는 50만건, 원문보관용의 원문 DB로 2만건, 수치정보로는 오염현황정보로 75만건, 오염원관련정보로 75만건, 사회경제정보로는 75만건, 그래픽정보로서 1000도면의 정보량이 예상되며 이러한 정보량을 컴퓨터에서 취급하는 단위로 환산하면 문헌정보용으로 약 27.2GB, 수치정보용으로 9GB, 그래픽정보용으로 6.5GB가 소요되었다. 3)종합환경정보망의 system 요구성능 및 규모산정 종합환경정보망의 특성을 갖추기 위한 요구성능을 요약하면, 다수의 이용자에게 환경과 개발에 관한 정보서비스의 기능과 다양한 형태의 Database 관리기능(문헌 data, 수치 data, 그래픽 data 등)이 있어야 할 것이며, 다수의 이용자를 위한 On-Line 정보검색 기능이 우수해야하고 확장성, 신뢰성, 유지보수성이 뛰어난 기종으로 Open System과 Right Sizing에 부합되는 중형급에 다량 Data의 통계계산 기능이 우수한 기종이어야 하겠다. 이러한 요구성능을 기초로 주전산기의 규모산정을 위한 연차별 소요정보량을 분석한 결과 주전산기용으로 24GB, GIS용도의 Workstation용으로 9.5GB, 원문DB 정보를 위해서 약 20 GB의 광 Disk가 필요하며 주전산기의 거래처리 기능으로는 평상시에는 19.7TPS이고, Peak 시에는 52 TPS, response time은 3초 이내의 사양이 요구되고 있으며 N/W부분에서는 주전산기의 부하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통신망 관리를 위해서 별도의 전용통신 server를 설치하며 대전, 광주, 부산 등의 지역센터와 국내외 유수 유관기관간의 전용통신망을 고려한 종합적인 시스템의 구성개념을 제시하였다. 정보검색 응용 S/W는 정보검색용 DBMS를 이용?개발하도록 하였으며 환경오염 현황파악을 위하여 각종 대기, 수질 등의 수치자료를 GIS화하는 계획도 수립하였다. 4)종합환경정보망 구축을 위한 조직, 인력계획 및 세부추진 일정 수립 국내외 환경정보의 수집 및 제공을 위한 종합환경정보망의 구축을 계획대로 추진하기 위하여, 초기구축 단계('93-'94)에서는 사업계획수립 및 사업소요자금 조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추진위원회와 종합환경정보망의 기술적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직 및 인력 측면에서는 단계적 확대개편을 고려하여 소수정예의 인원확보 방안을 마련하였다. 목표년도인 '96년도에는 환경기술정보실내에 전산개발과, 전산운영과, 정보관리과를 두어 개발요원 14명, 운영요원 4명, 정보관리요원 10명이 소요될 것이다. 종합환경정보망의 세부 추진일정은 '93-'94에는 종합환경정보망 기본설계를 완료하며 주전산기의 설치?시험가동과 함께 CD-ROM 장비 및 통신서버를 설치하고, 소프트웨어는 정보검색용 DBMS를 구입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게 정보검색응용 S/W를 개발할 것이다. 또한 전산기 운영 및 네트워크, DBMS의 교육을 실시하고 선진국의 환경정보망 사례를 배우기 위한 해외 견학을 통한 담당요원의 자질향상에도 주력할 것이다. '95년도에는 주전산기에 입력할 정보의 축적량을 늘리기 위하여 HDD를 증설하며, 그래픽 정보처리를 위한 GIS W/S을 도입하고, 원내 LAN을 확장하여 유관기관과의 전용선을 설치하고, 문헌정보 및 수치정보, 그래픽정보를 확대보강할 것이다. '96년도에는 주전산기의 보조기억장치를 확장하며, LAN 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FDDI를 설치하고, 외국의 유수정보기관에 가입하여 국내외 환경정보의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서 국제화 및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종합환경정보망의 구축목표를 달성할 것이다. 5. 결론 및 건의 '93년 12월, 세계 시장개방에 미처 준비하지 못한 우리나라 경제는 U.R의 태풍에 큰 타격을 받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앞으로 U.R 못지않게 주요선진국들이 경제무기로 삼을 수 있는 것은 환경보호하는 명분아래 환경관련 기술 및 상품규제가 가능한 Green Round 라고 전문가들은 이미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U.R 결과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지금부터라도 Green Round에 대처하기 위한 착실한 준비가 필요한 싯점에서 환경기술의 선진화와 생산성 향상 및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책수립에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환경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제공을 위한 컴퓨터와 Net-work를 이용한 종합환경종보망 구축은 매우 의의가 크다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유관기관 및 정보이용자에게 국내외 환경기술의 최적 On-Line 서비스 제고을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서 종합환경정보망 구축의 기본 추진계획을 제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은 첫째, 종합환경정보망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하여 단계적 추진전략 및 계획을 수립하였고 둘째, 환경 유관기관 및 연구기관간의 효율적인 정보공유를 위한 정보관계도를 도출하였고 셋째, 환경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정보를 분류하였고 넷째, 종합환경정보망 운영에 있어서 정보의 보관, 가공, 검색 등의 핵심적인 역활을 수행할 주전산기의 규모를 산정하기 위한 연차별 소요정보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환경정보망의 system 구성도를 작성하였고 다섯째, 종합환경정보망의 각 시스템요소인 H/W, Network, S/W, DATABASE, 조직 및 인원, 운영방안 등을 구축 및 운영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원칙을 설정하였다. 여섯째, 개발업무의 우선순위,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 종합환경정보망의 세부추진 일정을 수립하고 소요예산을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의 제시된 환경정보망 구축의 기본추진계획이 세부 추진 일정대로 착오없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간의 정보공유를 위한 제도적인 뒤받침, 전산기기 도입과 운영 및 우수 전문 전산요원의 확보에 따르는 예산지원 등이 정보차원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하에서 선결되어야 하며 또한 종합환경정보망 구축 과정에 있어서 위로는 최고 관리층으로 부터 아래로는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절대적인 지원과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oung na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