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용주 -
dc.contributor.other 정은화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24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24Z -
dc.date.issued 1994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4 RE-1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83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4_RE12]종합환경정보망개발사업(II)(이용주).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序言 <br><br>Ⅰ. 서론<br>1. 연구의 배경 <br>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br>3. 기대효과 <br><br>Ⅱ. 추진전략 및 관리체계<br>1. 연구의 목적<br>2. 추진계획<br>3. 단계별 중점사업<br>4. 추진방법<br>5. 관리체계도<br>6. 조직 및 인력<br><br>Ⅲ. 환경정보의 수요분석<br>1. 조사의 개요<br>2. 수요도 분석<br><br>Ⅳ. 국내외 정보센타 현황조사<br>1. 국내 정보센타 현황조사<br>2. 일본 환경정보망 현황조사<br><br>Ⅴ. 환경정보망 요구분석<br>1. 개요<br>2. 적용분야별 요구분석<br>3. 시스템 구성별 요구분석<br><br>Ⅵ. 종합환경정보망 요소기술 및 설계<br>1. 전체시스템 구성도<br>2. 환경정보 네트워크<br>3. 주 전산기<br>4. GIS의 환경분야 활용<br>5. 원내 네트워크<br><br>Ⅶ.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br>1. 개요<br>2. 원문, 2차자료 및 DB<br>3. CD-ROM<br>4. 국내외 환경관련 데이터베이스<br>5.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br><br>Ⅷ. 요약 및 결론<br><br>참고문헌<br><br>부록<br> 종합환경정보망 구축에 관한 설문서<br> 국내 정보센타 현황조사<br> 외국의 환경관련 데이터베이스<br> -
dc.format.extent vi, 168p. ;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title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Ⅱ)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 System (Ⅱ)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는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 중 2차년도 연구과제로써 1차년도('93)에 수행한 국내외 현황조사 및 기본 추진계획을 바탕으로, 첫 번째로, 종합환경정보망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하여 전반적인 추진전략 및 관리체계를 정립하였고, 두 번째로, 급진적으로 증가하는 환경정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를 통한 환경정보 수요조사 및 수요분석, 국내외 정보센터 및 환경정보망 현황을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는 내년('95년)부터 구축될 환경정보망의 구축을 위하여 환경정보망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종합환경정보망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종합환경정보망은 환경정보 네트워크, 주 전산기, GIS 장비, 원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환경정보 테이터베이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금년에는 먼저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을 위한 기본방향과 단계별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환경정보망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 정보수집관리 측면, 정보전산화 측면, 정보망구축 측면의 사업을 병행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는데, 이에 따른 각 측면에서의 단계별 중점사업을 제시하였다. 1단계인 금년도는 자료수집체계 확립, 도서관리시스템 도입, 그리고 환경정보망 현황분석을 중점사업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방대한 환경정보를 과학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환경정보 관리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관리체계는 환경기술개발원을 전담기관으로 정부기관 또는 민간단체 등과의 원활한 유대관계 및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명실상부한 국가적인 종합환경전보망을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정보망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지 위해서는 정보공유를 위한 유대관계의 강화, 충분한 예산의 적시 확보, 그리고 수집된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는 조직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정확한 환경정보 수요분석을 위해 전국 환경관련 단체, 기업체, 연구소, 공공기관, 개인 등 760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환경정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최초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설문 대상자도 각 분야에 걸쳐 안배했기 때문에 정보이용의 실태파악과 향후 정책결정에도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설문지 조사분석 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 환경정보를 필요로 하는 집단은 크게 기업체, 대학, 연구소, 환경관련단체, 공공기관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들 가운데 절반 정도가 환경정보의 입수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집단은 정보서비스 기관과 도서관 그리고 환경관련 단체들로부터 비슷한 비율로 환경정보를 입수하고 있었으며 각 집단의 성격에 따라 수집하고 있는 환경정보의 종류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대개 기업체는 환경시장과 산업 등의 환경사업과 관련된 자료를, 대학이나 연구소는 기술개발정보를, 협회나 조합은 주로 비슷한 관련단체로부터 환경정책이나 기준, 법규, 환경영향평가 등의 환경정보를 입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 주었다. 한편 전체의 20% 정도가 환경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함으로써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정보를 전문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주제별로 보유하고 있는 환경정보는 주로 폐기물과 수질분야가 전체의 2/3정도를 차지하고 있었고 앞으로 필요로 하는 환경정보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서 특히 이 분야의 환경정보 수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문제가 이 분야를 중심으로 가시화 되는 일이 많고 연구개발도 주로 이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각 집단의 성격에 따라 필요로 하는 환경정보도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분야별의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기술, 특허관련정보, 산업, 시장관련정보, 정책관련 정보를 비슷한 비율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문조사방법을 고려한다면 기술, 특허관련정보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로서도 기술, 특허관련정보는 전체의 34%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수요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정책법규자료(19%), 통계자료(9%), 산업, 시장자료(9%)도 필요로 하고 있었고 의외로 일반적인 환경자료도 26%의 높은 수요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환경기술 자체가 연구 및 기술개발 등의 전문적인 기술정보 뿐만 아니라 그 특성상 산업정책, 무역, 시장 등 산업 전반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필요해 질 것이라고 생각되는 환경정보는 폐기물분야가 2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수질(14%), 대기(10%)분야 등도 앞으로 많은 수요가 예상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우선순위에서는 기술, 특허 분야가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법규, 정책분야 13%, 산업, 시장분야 15%로 나타나 앞으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서는 이러한 분야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금년도에는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정보센타 및 환경정보망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의 환경정보는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산업기술정보원, 건설기술연구원, 일반 환경관련 단체 등에 산재되어 있고, 이들은 각 기관의 고유업무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 위주로 수집?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자료간의 상호교류는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으로 국내 환경정보 전산시스템 현황을 평가하면 대부분의 기관이 이제 막 시작단계로써 환경정보의 전산활용은 매우 열악한 사항이다. 한편 국내에서 정보센타를 운영 중인 기관으로서는 산업기술정보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통신연구소, 통계청, 기상청, 그리고 KIST 연구개발정보센타 등이 있으나 이들은 환경관련 정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정보센타가 아니므로 이들기관을 통해 필요한 환경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더욱이 환경정보가 각 기관에 분산되어 있어서 필요한 정보의 소재 파악조차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관련 정보를 이용자에게 신속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정보망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반해 선진국에서는 오랫동안 환경정보망을 구축하여 왔고 규모에서도 상당히 큰 정보센타를 운영하여 왔다. 선진국에서의 그 동안 경험과 지식은 환경정보망 개념정립 및 추진방향 설정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금년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 환경청과 국립환경연구소 환경정보센타의 환경정보망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국내의 환경정보망 구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환경정보망 설계를 위해 먼저 정보망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이 결과에 의하면 환경정보망의 활용분야로는 환경정책 수립 및 분석을 위한 연구, 환경기술 육성을 위한 환경정보 관리체제 확립, 그리고 국제적인 환경정보의 교류 등의 분야에 긴요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환경정보망의 특성을 갖추기 위한 시스템 구성별 요구사항으로는 다수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환경정보에 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 전산기, 응용 스프트웨어, 그리고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금년에도 설계된 종합환경정보망의 시스템 구성은 크게, ① 환경정보 네트워크, ② 주 전산기, ③ GIS 장비, 그리고 ④ 원내 네트워크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구성요소로써 환경정보 네트워크는 국제기관(미국 EPA,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등), 국제정보망(INTERNET, INFOTERRA, SDN 등), 국내 유관기관(환경부, 국립환경 연구원, 산업기술정보원 등)과의 통신망을 구성하여 상호 환경정보 교류체제를 구축한다. 두 번째 주 전산기 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환경관련 시뮬레이션 계산 또는 통계 계산, 연구 수행을 위한 각종 유틸리티 등을 지원할 것이다. 세 번째 GIS 장비는 GIS 환경모델링 개발, GIS 관련기법 및 기술개발, 환경분야 GIS 소프트웨어와 DB구축 기술개발, 그리고 GIS장비(하드웨어, 스프트웨어) 공동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원내 네트워크는 도서관리시스템과 CD-ROM 시스템을 중심으로 원내 연구부서간의 정보교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원내 네트워크는 금년도에 시범적으로 구축 완료하여 운영 중에 있다. 종합환경정보망 사업은 '93년부터 2000년까지 3단계 추진계획으로 수행될 것이다. 제1단계 추진사업으로써 금년까지 수행한 종합환경정보망 사업의 기반구축에 관한 내용은 내년부터 수행될 제2단계 추진사업인 환경정보망 구축 및 환경정보의 서비스 실현을 위한 기초연구 및 기반조성으로써 기여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ong-Ju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