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처리시설 적정관리를 위한 폐기물 유통체계 개선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상기 -
dc.contributor.other 조계민 -
dc.contributor.other 천세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2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26Z -
dc.date.issued 1995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5 RE-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85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5_RE20]폐기물유통체계개선방안(최상기).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머리말<br><br>Ⅰ. 서 론<br><br>Ⅱ. 폐기물 유통체계의 이론적 고찰<br>1. 수거?운반방법과 관리체계<br>1.1. 수거방법과 관리체계<br>1.2. 수송수단 및 방법<br>2. 적환장의 역할과 종류<br>2.1. 적환장의 역할 및 필요성<br>2.2. 적환장의 종류<br>2.3. 적환장 설계시 고려사항<br>2.4. 적환장의 위치 설정방법<br>2.5. 적환장 운영모델<br>3. 재활용품 분리?수거 및 관리방법<br>3.1. 폐기물의 재이용과 재활용 조건<br>3.2. 재활용품 유통관리체계와 자원화시설<br><br>Ⅲ. 국내 일반폐기물 유통체계 관리현황<br>1.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br>2. 수거?운반 관리현황과 문제점<br>2.1. 수거?운반 관리체계<br>2.2. 수거?운반방법<br>2.3. 수거인력, 운반장치 및 업체현황<br>2.4. 수거?운반체계의 문제점<br>3. 적환장 관리현황<br>3.1. 적환장 설치 및 관리 현황<br>3.2. 적환장 설치 및 유지 ?관리기준<br>3.3. 현재 운영중인 적환장의 문제점<br>4. 재활용품 분리수거 및 관리현황<br>4.1. 재활용품 발생현황<br>4.2. 재활용품 장래 발생량 및 재활용 추진계획<br>4.3. 재활용품 유통관리 현황<br>4.4. 재활용품 유통체계의 문제점<br><br>Ⅳ. 폐기물 처리시설의 적정관리를 위한 유통체계의<br>효율적 관리방안<br>1. 폐기물 종류별 조성과 질적특성의 분석실험<br>1.1. 폐기물의 조성분석<br>1.2. 폐기물의 삼성분조사<br>1.3. 폐기물 조성별 용출실험<br>1.4. 폐기물의 총유기물질 함량실험<br>1.5. 폐기물 종류와 조성에 따른 발열량<br>2. 폐기물 특성에 따른 유통관리 개선방안<br>2.1. 폐기물 종류별 특성과 분리?수거<br>2.2. 처리방법별 특성에 따른 유통관리 개선방안<br>2.3. 분리?수거방법에 따른 소각 및 매립 시설용량<br>3. 재활용 유통구조 개선방안<br>4. 페기물통합관리체계의 구축<br><br>Ⅴ. 결 론<br><br>참고문헌<br><br>부록<br> -
dc.format.extent vi, 223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subject Waste management/ Waste disposal -
dc.title 폐기물 처리시설 적정관리를 위한 폐기물 유통체계 개선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Optimal Management of Waste Minimization with Wastestream Analysis and Evaluation -
dc.description.keyword 폐기물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적정관리를 위한 폐기물의 조성과 질적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폐기물의 종류별 처리방법별 특성에 따른 유통관리 개선방안과 필요한 처리시설용량, 그리고 재활용 유통구조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활폐기물의 조성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성분, 용출농도와 총유기물량, 그리고 발열량을 실험 분석하였다. 생활폐기물의 삼성분을 실험 분석한 결과, 음식물쓰레기의 비중이 60%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물쓰레기중의 수분함량은 76%로서 전체 생활폐기물 중량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중 불연분은 10%이었다. 유기물질 용출농도(wet refuse)를 보면 침출액의 CODCr이 707㎎/g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물쓰레기의 CODCr은 66㎎/g으로서 가연성쓰레기의 2.5배를 나타냈다. 총유기물질량은 가연성쓰레기의 CODCr이 653㎎/g으로 음식물쓰레기의 CODCr보다 오히려 1.5배 높게 나타났다.생활폐기물의 발열량을 측정한 결과, 습윤저위발열량은 음식물쓰레기가 782 kcal/kg, 가연성쓰레기가 1,767 kcal/kg이었으며, 가연성쓰레기의 습윤고위발열량은 2,076 kcal/kg으로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실험 분석 결과로 부터 생활폐기물을 배출할 때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침출액을 수거 운반시 제거하는 것이 매립지에서의 침출 처리부담을 줄이고, 소각을 할 경우에 보조연료사용 감소와 발열량 증가 등의 커다란 효과를 가져올 수있는 것을 알았다. 침출액은 주로 음식물쓰레기로 부터 발생한다. 음식물쓰레기의 삼성분은 소각을 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며, 유기물질 용출농도는 크고 총유기물질량/용출량 비율은 낮기때문에 매립 초기에 침출수 처리부담이높아지게 된다. 이미 독일같은 나라에서는 유기성폐기물의 매립지 반입비중을 10%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음식물쓰레기는 가능한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 시설과 기술능력이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우선 이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발생원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수거통을 따로 설치하며, 이를 중간집하장으로 운반하여 건조, 압축 또는 소화 등 전처리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할 경우에 민간 또는 공공 재활용시설 운영자가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재활용 시설이 부족한 경우에는 소각과 매립을 하더라도 처리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생활폐기물중에서 음식물쓰레기와 불연성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쓰레기만을 따로 분리하여 소각하게 되면 발열량을 2,000 kcal/kg 이상으로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각재의 발생량이 줄어들므로 운반비의 이중부담을 줄이고, 설치해야 하는 소각시설용량도 적어진다. '94년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소유하고 있는 소각시설 용량은 994톤/일로서 가연성쓰레기 발생량의 2.8%를 차지한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서 생활폐기물중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이 24.3%인 것을 이용하면, '94년 생활폐기물 발생량중에서 가연성은 11,730톤/일이다. 생활폐기물중에서 가연성만 전량 소각하기 위해서는 전국에 10,736톤/일의 소각시설 용량이 더 필요하다. 또한 '94년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중에서 불연성폐기물은 35,969톤/일이다. 생활폐기물중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폐기물만을 소각하고 사업장폐기물중에서 가연성폐기물은 모두 소각한다고 가정하고, 20%의 소각재를 포함한 찌거기가 발생한다고 보면 소각재 발생량은 5,722톤/일이다. 이를 기준하여 전체 매립량을 보면 41,691톤/일이며 '94년 생활 및 사업장폐기물 매립량 76,275톤/일의 54.7%에 해당된다. 즉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고, 가연성쓰레기만 전량 소각한다면 현재 매립부담률을 45%이상 줄일 수 있다. 재활용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재활용품의 배출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에 우선 재활용품에 대한 구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관용기가 재활용품목의 종류와 발생량에 따라 분리 수거 보관함이 세분화되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재활용품의 원료가치를 보존하기 위하여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기본시설이 요구된다. 지역별, 시차별 재활용품의 수급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공사에 설치예정인 비축기지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집, 중간처리(가공), 저장, 유통기능 등을 통합한 기능을 가지므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또한 한국자원재생공사에서 자원 재활용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재활용 폐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유통정보센타에서 산업폐기물 뿐만 아니라 일반 폐기물을 포함한 폐기물 재활용정보 데이타베이스를 구축 운영하여, 국내 재활용품 회수량 및 재생제품생산의 정확한 통계, 재활용 폐기물의 수요부문별 원단위 및 수요량 등 체계적인 기초조사를 수행하여야 함과 동시에 빠른 시일내 자원회수 이용기술의 개발, 외국 실용기술의 도입, 기술발전의 지원, 정보수집 등을 통해 자원재생공사의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폐기물 유통구조뿐만 아니라 재활용, 처리 처분까지 종합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폐기물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폐기물의 발생에서부터 수집, 운반, 처리되기까지의 전 과정이 효율적인 자원의 관리라는 차원에서 일관성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원순환의 폐쇄시스템 구축을 기본으로 하는 지탱가능한 기술에 의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념에서 폐기물 유통구조의 개선은 수집 및 운반, 중간적환장, 재활용 및 퇴비화, 감량화, 소각, 매립 등을 전부 포함한 통합폐기물관리를 통하여 재활용을 극대화하고 처리비용을 감소시키므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와같은 통합폐기물관리 시스템을 지역특성에 맞게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그 지역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그 지역에서 처리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각 지역에 폐기물 종합관리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G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ye-Mi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u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e-J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