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환경문제와 통일한국의 환경정책방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회성 -
dc.contributor.other 강광규 -
dc.contributor.other 강철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29Z -
dc.date.issued 199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6 RE-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89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6_RE14]북한핵환경문제(정회성).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 장 1<br><br>II. 북한의 경제 및 국토개발과 환경문제 3<br><br>1. 북한의 인구와 지역별 분포 3<br> 1.1 북한의 인구추이 3<br> 1.2 도시화율 5<br><br>2. 경제 및 산업개발정책과 환경문제 6<br> 2.1 경제계획체계와 경제성장 추이 6<br> 2.2 공업생산구조와 기술수준 10<br> 2.3 주요 경제지표의 남북비교 13<br><br>3. 산업부문별 실태와 환경문제 14<br> 3.1 에너지산업과 환경오염 14<br> 3.2 철강산업과 환경오염 17<br> 3.3 화학공업과 환경오염 18<br> 3.4 섬유?방직산업과 환경오염 19<br> 3.5 시멘트산업과 환경오염 20<br><br>4. 북한의 국토개발과 환경문제 20<br> 4.1 국토계획체계와 토지이용 실태 20<br> 4.1.1 국토계획수립체계 20<br> 4.1.2 국토개발정책의 주요 내용 23<br> 4.1.3 토지이용 및 관리제도 24<br> 4.1.4 토지이용 실태와 주요 국토개발사업의 추진개황 25<br> 4.2 북한의 국토개발정책과 환경문제 30<br>-ⅰ-<br> 4.2.1 교통·물류체계 개발정책과 환경문제 30<br> 4.2.2 농지개발과 환경문제 32<br> 4.2.3 산업입지정책과 환경문제 35<br><br>III. 부문별 환경문제와 환경정책 실태 40<br><br>1. 북한의 환경문제 개관 40<br><br>2. 대기오염 43<br> 2.1 대기오염 실태 43<br> 2.2 주요 대기오염지역 46<br> 2.3 에너지수급과 대기오염 48<br><br>3. 수질오염 50<br> 3.1 수질오염 실태 50<br> 3.1.1 하천오염 50<br> 3.1.2 해양오염 54<br> 3.2 북한의 농업과 수질오염 54<br><br>4. 북한의 자연환경관리와 생태계보전 57<br> 4.1 북한의 자연환경과 생태계 실태 57<br> 4.1.1 북한의 자연환경 57<br> 4.1.2 북한의 자연환경파괴 실태 59<br> 4.1.3 북한의 토양환경 실태 61<br> 4.2 북한의 자연환경파괴 원인 61<br><br>5. 북한의 환경정책과 행정 63<br> 5.1 환경관련 법규와 정책 63<br> 5.2 환경행정기구의 발달과정 65<br> 5.3 자연환경관리와 생태계보전 정책 67<br> 5.4 환경관련 국제교류 68<br>-ⅱ-<br>IV. 남북환경협력과 통일이후 환경정책의 추진방향 70<br><br>1. 한반도 환경문제에 대한 향후 전망 71<br> 1.1 한반도 내부의 환경문제 71<br> 2.2 동북아 환경문제 72<br> 2.3 지구환경문제 74<br> 2.4 두만강지역개발과 환경문제 75<br> 2.4.1 두만강지역개발의 개요 75<br> 4.2.2 두만강유역 환경오염 실태와 전망 79<br> 2.5 통일과 환경정책여건 전망 83<br><br>2. 통일시나리오와 환경문제 86<br> 2.1 통일시나리오의 설정 86<br> 2.1.1 합의형통일 87<br> 2.1.2 유도형통일 88<br> 2.1.3 자멸형통일 88<br> 2.1.4 충돌형통일 88<br> 2.1.5 통일시나리오의 평가 89<br> 2.2 통일시나리오와 환경문제 90<br><br>3. 남북환경협력의 추진방향 91<br> 3.1 환경협력의 기본전제와 추진방안 91<br> 3.2 분야별 환경협력의 추진방안 95<br> 3.2.1 에너지이용과 대기보전협력 95<br> 3.2.2 수자원이용과 수질보전협력 96<br> 3.2.3 관광개발과 자연환경보전협력 97<br> 3.2.4 비무장지대(DMZ)의 생태계보전협력 100<br> 3.2.5 지구/지역환경문제협력 101<br> 3.2.6 두만강지역개발과 남북환경협력 102<br><br>4. 통일한국의 환경정책 발전방향 103<br>-ⅲ-<br> 4.1 기본방향 103<br> 4.2 통일한국의 환경정책 과제와 추진방향 104<br> 4.2.1 환경개선사업의 추진 104<br> 4.2.2 환경관련 법제도의 정비 105<br> 4.2.3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구 105<br> 4.2.4 환경교육과 홍보의 강화 106<br> 4.2.5 환경투자재원의 조달과 배분 106<br> 4.2.6 합리적인 토지이용제도의 구축 107<br> 4.2.7 환경외교의 강화 107<br><br>V. 요약 및 결론 109<br><br> < 부 록 > 112<br> < 참고문헌 > 119<br><br> -
dc.format.extent viii, 121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subject Environmental pollution- North Korea -
dc.title 북한의 환경문제와 통일한국의 환경정책방향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Environmental Obstacles in N Korea and Environmental Policy Direction on Unificated S Korea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oi-S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