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contributor.other 정유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3Z -
dc.date.issued 2000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0 RE-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3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0_RE06]수질개선(최지용).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1.1 현구의 필요성과 목적 <br>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br>제2장 수변녹지의 기능과 역할 <br>2.1 수변지역과 수변녹지의 정의 <br>2.2 수변녹지의 일반적 기능 <br>2.3 토지이용별 완충녹지로서의 수변녹지 <br>2.4 수변녹지의 수질개선 기능 분석 <br>제3장 국내·외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실태 <br>3.1 우리나라의 수변구역과 수변녹지 실태 <br>3.2 주요국의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실태 <br>3.3 주요국의 수변녹지 조성에 관한 시사점 <br>제4장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방안 <br>4.1 수변녹지 조성방안 <br>4.2 구역별 수변녹지대 조성방안 <br>4.3 수변녹지 관리방안 <br>제5장 결론 <br> 우리나라 하천에 서식하는 나무의 특성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1<br>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br>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br><br>제2장 수변녹지의 기능과 역할 5<br> 2.1 수변지역과 수변녹지의 정의 5<br> 2.2 수변녹지의 일반적 기능 10<br> 2.3 토지이용별 완충녹지로서의 수변녹지 18<br> 2.4 수변녹지의 수질개선 기능 분석 21<br><br>제3장 국내·외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실태 37<br> 3.1 우리나라의 수변구역과 수변녹지 실태 37<br> 3.2 주요국의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실태 44<br> 3.3 주요국의 수변녹지 조성에 관한 시사점 63<br><br>제4장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방안 65<br> 4.1 수변녹지 조성방안 65<br> 4.2 구역별 수변녹지대 조성방안 108<br> 4.3 수변녹지 관리방안 114<br><br>제5장 결 론 123<br><br> 우리나라 하천에 서식하는 나무의 특성 129<br><br> -
dc.format.extent iii, 133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Watershed management -
dc.title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Creation and management of riparian buffers for water quality managenen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0-06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우리나라의 수변녹지는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개발이용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같은 개발위주의 사고에서는 수질개선을 위해 현존하는 수변녹지를 유지하는 것도 쉽게 달성되는 목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수변녹지를 회복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수환경을 보호하고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 건강한 생태적 기능을 제공하는 수변녹지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평가해야할 시점에 와 있다. 수변녹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차단하고, 하천수온을 조절하며, 서식지 및 종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 등이다. 우리나라 수변구역 내 조성되는 수변녹지의 주된 목적도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수변녹지의 환경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조성시부터 이 목적이 달성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변녹지 조성시 구역을 구분하여 각 구역이 특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도록 기능을 부여하고, 인접한 구역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전체 수변녹지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수변녹지를 관리하는데 있어서도 수변녹지가 가진 수질개선, 오염저감,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 등 다양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한편, 정부에서는 수질개선을 위한 유역관리 정책 및 수질오염 예방정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였고, 상·하류 주민들도 정부의 이러한 정책에 호응하여 수변구역의 지정과 물이용부담금의 징수에 동의하여 수변구역 내 수변녹지의 조성과 관리기틀이 마련된 것은 다행이라 하겠다. 앞으로 정부에서는 4대강 수질개선계획에서 도입된 수질오염 예방기능을 더욱 확대시키고, 특히 수변구역 및 수변녹지의 지정을 지천에까지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정책에 발맞추어 지역주민의 이해와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개발과 동시에 수변녹지 조성을 위한 기술적 지원, 재정적 지원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특히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성 및 관리원칙을 반영하여 수변녹지가 수질개선 목적 뿐만 아니라 생태계 균형에도 이바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변녹지에 관한 초기연구로서 주로 수변녹지의 일반적인 기능연구와 조성 및 관리원칙에 관한 사항을 주로 다루었다. 앞으로는 유역특성(도시지역, 농업지, 산림지)을 고려한 수변녹지 조성방안과 수변구역 내 농지를 매입할 경우 농지와 녹지의 혼재시의 조성방안 등 수변녹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조성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와 이미 조성된 수변녹지에 대한 수질개선 효과 검증 등 수변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Yoo-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