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 평가 및 대응방안 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최재용 -
dc.contributor.other 정휘철 -
dc.contributor.other 김정원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3Z -
dc.date.issued 2000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0 RE-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3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0_RE10]기후변화(박용하).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br>Ⅱ. 기후변화의 지구 및 한반도 생태계 영향 및 연구성과 평가 <br>1. 지구차원의 영향 및 연구성과 <br>2. 한반도차원의 영향 및 연구성과 <br>3. 정부차원의 대응체계 <br>Ⅲ. 기후변화의 지구 및 국가 생태계 영향 저감을 위한 국제 동향 <br>1. 기후변화협약 <br>1.1 기후변화협약문에 나타난 생태게 영향 평가 <br>1.2 당사국 회의 <br>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기구(IPPC) <br>2.1 IPPC 정기 보고서 <br>2.2 IPPC 특별 보고서와 기술보고서 <br>2.3 Workshop <br>3. 지역차원에서의 노력-APN <br>4. 미국 <br>4.1 기본전략 <br>4.2 국가기후계획법 제정 <br>4.3 연구 프로그램 <br>5. 일본 <br>6. 오스트리아 <br>7. 네덜란드 <br>8.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종합분석 <br>Ⅳ. 기후변화의 산림생태계 영향평가 모형 개발 상황 및 평가 <br>1. 모형개발의 배경 <br>2.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평가 모형 현황 및 분석 <br>2.1. 광역차원의 영향예측 및 평가 <br>2.1.1. 대기대순환모형 <br>2.1.2. 물 균형 모형 <br>2.1.3. 식생영향모형 <br>2.2. 지역차원의 영향 예측 및 평가 <br>2.2.1. 지역기후모형 <br>2.2.2. 물 균형 모형 <br>2.2.3. 식생영향모형 <br>3. 연구사의 시사점 <br>Ⅴ. 기후변화의 한반도 산림생태계 영향평가모형 구조와 내용 <br>1. 연구방법 <br>1.1.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기초자료의 구축 및 검증 <br>1.1.1. 토지피복정보의 구축 및 검증 <br>1.1.2. 식생부문정보의 검증 및 구축 <br>2. 기후변화로 인한 식생부문의 영향예측 및 평가 <br>2.1. 대기대순환모형 <br>2.2. 물 균형 모형 <br>2.2.1. 잠재 증발산량(Poterntial Evapotranspiration) <br>2.2.2. 물 균형 모델(Water Balance Model) <br>2.3. 식생영향모형 <br>Ⅵ. 연구결과 요약 및 향후 추진방안 <br>참고문헌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1<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br>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br><br>Ⅱ. 기후변화의 지구 및 한반도 생태계 영향 및 연구성과 평가 5<br> 1. 지구차원의 영향 및 연구성과 5<br> 2. 한반도차원의 영향 및 연구 성과 6<br> 3. 정부차원의 대응체계 11<br><br>Ⅲ. 기후변화의 지구 및 국가 생태계 영향 저감을 위한 국제 동향 13<br> 1. 기후변화협약 15<br> 1.1. 기후변화협약문에 나타난 생태계 영향 평가 15<br> 1.2. 당사국 회의 16<br> 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기구(IPPC) 18<br> 2.1. IPPC 정기 보고서 19<br> 2.2. IPPC 특별 보고서와 기술보고서 22<br> 2.3. Workshop 23<br> 3. 지역차원에서의 노력-APN 23<br> 4. 미국 26<br> 4.1. 기본전략 27<br> 4.2. 국가기후계획법 제정 27<br> 4.3. 연구 프로그램 30<br> 5. 일본 34<br> 6. 오스트리아 39<br> 7. 네덜란드 39<br> 8.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종합분석 40<br><br>Ⅳ. 기후변화의 산림생태계 영향평가 모형 개발 상황 및 평가 43<br> 1. 모형개발의 배경 43<br> 2.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평가 모형 현황 및 분석 45<br> 2.1. 광역차원의 영향예측 및 평가 45<br> 2.1.1. 대기대순환모형 45<br> 2.1.2. 물 균형 모형 46<br> 2.1.3. 식생영향모형 47<br> 2.2. 지역차원의 영향 예측 및 평가 58<br> 2.2.1. 지역기후모형 58<br> 2.2.2. 물 균형 모형 59<br> 2.2.3. 식생영향모형 60<br> 3. 연구사의 시사점 63<br><br>Ⅴ. 기후변화의 한반도 산림생태계 영향평가모형 구조와 내용 65<br> 1. 연구방법 66<br> 1.1.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기초자료의 구축 및 검증 66<br> 1.1.1. 토지피복정보의 구축 및 검증 66<br> 1.1.2. 식생부문정보의 검증 및 구축 72<br> 2. 기후변화로 인한 식생부문의 영향예측 및 평가 72<br> 2.1. 대기대순환모형 75<br> 2.2. 물 균형 모형 76<br> 2.2.1. 잠재 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77<br> 2.2.2. 물 균형 모델(Water Balance Model) 82<br> 2.3. 식생영향모형 87<br><br>Ⅵ. 연구결과 요약 및 향후 추진방안 91<br><br>참고문헌 93<br> -
dc.format.extent iv, 111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Forest microclimatology -
dc.title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 평가 및 대응방안 Ⅰ -
dc.title.alternative 산림생태계 부문을 중심으로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ecosystem and its policy advise: Focusing on forest ecosystem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0-10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생태계 부문에 미칠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사례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기후변화가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한 해답을 얻을 길이 없다. 다만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환경의 변화가 생태계의 구성 및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추정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정확한 예측 및 평가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연구의 국내외 동향을 파악하는 1차연도(2000년)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연구는 국제기관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이중 WMO와 UNEP에 의해 1988년에 설립된 IPCC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를 WGⅠ, WGⅡ, WGⅢ의 3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수행하였다. WGⅠ에서는 기후변화 기작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다루고 있으며, WGⅡ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WGⅢ에서는 기후변화의 저감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둘째, 이러한 IPCC의 연구주제들은 대부분 전지구 또는 대륙을 대상으로 한 광역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하나의 국가 차원과 그 보다 작은 지역차원으로 해상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지역차원의 영향예측과 이에 따른 적응전략은 근본적인 온실가스원인물질 저감대책과 함께 중요한 부문으로 대두되고 있다. 셋째, 우리 나라의 경우 WGⅠ과 WGⅢ 연구의 경우 국가차원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WGⅡ의 경우에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및 모형의 구축이 어려워 국가차원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기후변화 영향연구는 광역영향을 예측·평가함으로 인해 전 지구차원의 영향 파악에는 용이했으나, 하나의 국가 또는 그보다 작은 지역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2001년부터 진행할 모형개발에 이러한 지역차원의 산림영향 예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검증하고, GCM, 물 균형 모형과 산림영향모형을 통합한 기후모형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넷째,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연구에는 매우 다양하고, 많은 자료의 통합적인 구축 및 이용이 요구되므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산림영향연구를 위해 토지피복정보, 산림정보 등의 지표자료와 RegCM, 생물기온, 연간 강수량 등의 지역기후자료 등이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PET와 RO를 추정하는 물 균형 모형, 식생의 분포와 기후와의 연관성에 의해 구축된 Holdridge 모형 또는 기타 모형 등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부문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제2차 연도 연구에서는 제1차 연도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고, 국내의 실정에 적합하도록 수정·적용하고자 한다. 현재 국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모형으로는 Holdridg 모형, Biome 3 모형, NPP 모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모형은 모형의 사용가능 여부, 이용하는 인자들의 활용가능성, 자료의 구축가능성 및 결과의 활용성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2차 연도에서 이들을 심층적으로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선정 개발할 예정이다. 이때, 사회·경제적 영향인자의 연계성 모색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동향 및 주요 선진국가의 추진정책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 나라의 정부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3차 연도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 나라 산림생태계 변화 에 따른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생태계 변화에 따른 우리 나라의 구체적 대책 수립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생태계 변화에 따른 우리 나라의 구체적 대책 수립 방안에는 생태계 변화 시나리오별로 대응원칙을 정립하고 대응방식과 평가, 운영방향을 포함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ong-Ha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