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김지혜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5Z -
dc.date.issued 2001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1 RE-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5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1_RE13]지구온난화(조광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Third Assessment Report(2001)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concluded that the global warming will be accelerated during the 21st century due to the human activities. The projected warming will increase the steric sea level rise which have large adverse effects on the natural and human systems in the coastal zone. This study intends to assess the sea level change and potential impacts of the future sea level rise o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in which much socioeconomic activities have been already occurre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 reviews on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assessments of the current and future sea level change in the global scale and seas near Korea, and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The second year study(2002) will be focused on the impact assessment o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especially on the inundation problem on human dimension due to the steric sea level rise, storm surge, and tide. Based on the tide gauge data, IPCC(2001) assessed the global average sea level rise during the 20th century is in the range of 10∼20cm,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19th century. The contributing elements to the sea level rise are in the order of ocean thermal expansion, melting of glacier, mass balance change of the Greenland and Antarctic ice sheets, and surface and ground water storage and permafrost change. The satellite altimeter data during 1990s shows higher trend than the mean trend of tide gauge data during 20th century. The recent high trend of the sea level rise by the altimetry is not clear whether it represents the recent acceleration of the global sea level, the differences of the two observation methods, or short observation period of altimetry. In the 21st century, the global mean sea level is projected to increase much due to the acceleration of the warming. Based on the 35 IPCC emission scenarios, the sea level ris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in the range of 9∼88cm with a median value of 48cm. The projected range of the sea level rise is 2.2∼4.4 times higher than that of 20th century. The ocean thermal expansion leads the 21st century sea level rise. The melting of glacier also gives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21st sea level ris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future sea level change will be quite complex because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rmal expansion, heat transport into ocean interiors, ocean circulation changes by the change of density structure with temperature and salinity changes, horizontal heat transport changes due to the ocean circulation changes, wind field changes to climate change, etc. It is projected that the regional variation will be large compared to the global mean value. The state-of-the-art climate model predictions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21st sea level change show little similarity between models except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This implies the confidence of current climate model is low in the prediction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ea level chan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 level change o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 the sea level trends of the 65 PSMSL(Permanent Service for Mean Sea Level) tide-station data located at the Korea, Japan, and China are calculated by a simple linear regression after a post-glacial rebound correction(Peltier, 2001). The mean sea level change is 1.63 mm/yr ±2.15 mm/yr, which is in the rage of the IPCC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 23 station at Korea reveals that the East Sea is in the low trend of 0.57 mm/yr than those of the South Sea(3.13mm/yr) and the West Sea(2.64 mm/yr) with an overall mean value of 2.31 mm/yr. However, it is quite questionable that the sea level trends with the tide gauge data o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 relate to global warming because of the relatively short observation period and large spatial variability. In the satellite altimeter data (Topex/Poseidon and ERS), the sea level trend on the East Sea, 4.6mm/yr, is larger than that of the global average value in the 1990s. The region influenced by the warm current in the East Sea shows larger sea level ris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igh trend with altimeter data on the East Sea is related with the acceleration of sea level rise in the Sea, short response time of the Sea, decadal variability, short duration of the altimet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mechanism on the long-term sea level change in the East Sea. The sea level rise have effects on the inundation and displacement of lowlands and wetlands, coastal erosion, intensification of coastal storm flooding, increase in salinity of estuaries, and salt water intrusion into freshwater aquifers. These physical impacts will spread through the coastal system having a wide range of socio-economic impacts such as crop production loss, declines in land values, changes in human health, deterioration of water and habitat qualities, etc.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n the coastal zone of Korea with high tide and storm surge such as Korea, the sea level scenario should include the sea level change due to tide and storm surge as well as steric sea level rise due to the global warming which is commonly adopted scenario 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o future sea level rise. The global mean sea level projection by the climate model seems to be the only alternative in the sea level scenario due to the global warming for the Korean coast because of the low confidence of the regional prediction in sea level change of the current climate model and the difficulty of downscaling based on the observation data. The sea level scenario due to storm surge can be calculated with a numerical model or empirical formula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of the typho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목적 및 내용 <br>Ⅱ. 기후변화 <br>1. 기후변화 현황 및 원인 <br>1.1 20세기 기후변화 현황 및 원인 <br>1.2 21세기 기후변화 예측 <br>2.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br>2.1 수자원 <br>2.2 농업 생산성 및 식량안보 <br>2.3 자연 생태계 <br>2.4 건강 <br>2.5 해수면 상승 <br>2.5.1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br>2.5.1.1 모래 사장 <br>2.5.1.2 연안 습지 및 삼각주 지역 <br>2.5.1.3 산호초 <br>2.5.1.4 석호 <br>2.5.1.5 수자원 <br>2.5.2 사회·경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br>3. 온실가스 감축 <br>Ⅲ. 해수면 변화 기구 <br>1. 해양의 열팽창 <br>2. 빙하 및 빙모 <br>3. 그린랜드 및 남극 빙상 <br>4. 육지 물 저장 및 영구 동토 <br>Ⅳ. 지구 규모의 해수면 변화 현황 및 예측 <br>1. 지구 규모의 해수면 변화 현황 <br>1.1 조위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br>1.2 위성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br>1.3 20세기 해수면 변화 요인별 분석 <br>2. 지구 규모 해수면 변화상승 예측 <br>2.1 IS92a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 <br>2.2 여러 배출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 <br>2.3 지역적인 해수면 변화 <br>3. 미래 해수면 변화 오차 감소 방안 <br>Ⅴ.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br>1.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현황 <br>1.1 기존 연구 현황 <br>1.2 PSMSL 조위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br>1.3 위성 고도계에 의한 해수면 변화 <br>2.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예측 <br>Ⅵ.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방법론 <br>1.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br>2. 향후 한반도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br>Ⅶ. 요약 <br>참고 문헌 <br>부록1: IPCC 지구 평균 해수면 예측 방법 <br>부록2: 일본의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요약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론 1<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br>2. 연구목적 및 내용 4<br><br>Ⅱ. 기후변화 6<br>1. 기후변화 현황 및 원인 6<br>1.1 20세기 기후변화 현황 및 원인 6<br>1.2 21세기 기후변화 예측 13<br>2.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17<br>2.1 수자원 18<br>2.2 농업 생산성 및 식량안보 20<br>2.3 자연 생태계 20<br>2.4 건강 22<br>2.5 해수면 상승 22<br>2.5.1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22<br>2.5.1.1 모래 사장 23<br>2.5.1.2 연안 습지 및 삼각주 지역 23<br>2.5.1.3 산호초 24<br>2.5.1.4 석호 25<br>2.1.1.5 수자원 25<br>2.5.2 사회·경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25<br>3. 온실가스 감축 29<br><br>Ⅲ. 해수면 변화 기구 32<br>1. 해양의 열팽창 33<br>2. 빙하 및 빙모 36<br>3. 그린랜드 및 남극 빙상 39<br>4. 육지 물 저장 및 영구 동토 43<br><br>Ⅳ. 지구 규모의 해수면 변화 현황 및 예측 45<br>1. 지구 규모의 해수면 변화 현황 45<br>1.1 조위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45<br>1.2 위성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49<br>1.3 20세기 해수면 변화 요인별 분석 50<br>2. 지구 규모 해수면 변화상승 예측 53<br>2.1 IS92a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 53<br>2.2 여러 배출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 57<br>2.3 지역적인 해수면 변화 59<br>3. 미래 해수면 변화 오차 감소 방안 63<br><br>Ⅴ.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64<br>1.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현황 64<br>1.1 기존 연구 현황 64<br>1.2 PSMSL 조위 자료에 의한 해수면 변화 68<br>1.3 위성 고도계에 의한 해수면 변화 80<br>2.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예측 84<br><br>Ⅵ.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방법론 89<br>1.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89<br>2. 향후 한반도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92<br><br>Ⅶ. 요약 95<br><br>참고 문헌 101<br><br>부록 1: IPCC 지구 평균 해수면 예측 방법 111<br><br>부록 2: 일본의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요약 115 -
dc.format.extent v, 125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Sea level. -
dc.title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Ⅰ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ea Level Rise and its Possible Impact near the Korea due to the Global Warming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1-13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에 발표된 U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Inter- 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nage) 3차보고서(2001)에 의하면 21세기말까지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지구 평균 기온이 최대 5.8 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예상되는 지구온난화는 기후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기, 해양, 생물, 빙하, 육지 시스템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며 그 영향은 대부분 악 영향일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기인한 인위적인 기후변화 중의 하나인 해수면 상승은 21세기에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가속되어 자연 및 인간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연안역에서 인구 집중 및 활발한 사회경제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해수면 상승은 향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을 평가하고 향후 가능한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국토 이용 및 국가의 지속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2년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연구 1차년도(2001) 에는 해수면 상승에 관한 일반적인 영향, 해수면 상승 기구, 지구 규모와 한반도 주변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분석,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차년도(2002)에는 해수면상승, 조석, 태풍 해일에 의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산출, 시나리오별 침수 예상 분포도, 침수 예상 인구, 침수 지역 피복 분류와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 지구온난화와 관련 20세기 및 21세기 해수면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해양의 열팽창과 해양순환 등의 해양과정, 빙하 및 빙산과 같이 육상에 저장된 물의 해수와의 교환, 지하수 이용과 같은 육상 물이용도, 육지의 연직 운동 등이 있다. 여러 관측 자료 분석 및 모델 시험 결과 수온 상승으로 인한 해양의 열팽창이 해수면 상승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팽창 외에 해수면 상승의 주요 기여 요인의 육상 빙하 및 빙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 및 그린랜드 빙상을 제외한 빙하 및 빙모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양은 지구 해수면의 약 0.5m로 지구 육지 얼음 면적의 단지 몇 퍼센트 불과하다. 그러나 이들은 그린랜드나 남극 빙상보다 기후변화에 더욱 민감하여 많은 지역에서 지구온난화에 의하여 해빙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음으로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남극(Antactica) 및 그린랜드(Greenland) 빙상의 변화가 있다. 그린랜드와 남극 빙상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양은 해수면 70m에 해당되는 상당한 양을 가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기인하여 이들 빙상의 질량수지에 적은 변화가 일어나도 해수면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와 21세기 이들 빙상에 의한 해수면 변화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들 빙상의 질량수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매우 큰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해수면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으로 지하수, 호수, 저수지 등에 저장된 담수 이용과 관련된 요인이다. 이중에서 해수면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지하수 개발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토지 및 물 사용 관행의 변화도 해수면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 요인들에 대한 오차는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IPCC의 조위자료 분석 연구에 대한 평가 결과 20세기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은 19세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크기는 10∼20 cm 범위에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IPCC, 2001). 해수면 상승 요인별 분석에서 열팽창의 경우 20세기 동안 0.3∼0.7mm/yr, 육상 빙하 및 빙모는 0.2∼0.4mm/yr, 그린랜드 및 남극 빙상은 0.0∼0.5mm/yr, 육지 물저장 변화는 -1.1∼+0.4mm/yr 정도 각각 해수면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위자료에 의하여 20세기 후반부에 해수면 상승의 가속 현상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관측이 시작된 위성고도계에 의한 지구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조위 자료에 근거한 20세기 해수면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현상은 해수면 상승 가속에 의한 것인지, 두 관측 기법의 차이에 기인한 것인지, 또는 위성고도계의 비교적 짧은 관측기간에 기인한 것인지에 대하여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IPCC의 예측 평가 결과 21세기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은 지구온난화의 가속으로 상승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CC 35개 배출시나리오에 대한 21세기 해수면 상승은 9∼88cm의 범위에 있으며 중간값은 48cm로 예측되었다. 이 값은 20세기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률에 비해 2.2∼4.4배 높은 값으로 21세기 해수면 상승은 가속될 것임을 의미한다. 열팽창(11∼43cm) 에 의한 가속은 모든 기후모델 예측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육상 빙하 및 빙모의 감소(1∼23cm) 도 21세기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린랜드 빙상은 유출 증가에 의하여 해수면 상승에 기여(-2∼+9cm) 할 것으로 예측되나 남극 빙상은 강설 등의 유입에 의하여 해수면 하강(-17∼+2cm)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역적인 해수면 변화는 열팽창에 관한 지역적 분포 외에도 해양 내부로의 열 이동, 수온 및 염분 변화에 의한 밀도 구조 변화로 발생하는 해양 순환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해양 열의 수평 이동, 기후변화에 따른 바람장의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하여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띨 것으로 예상되며 그 크기는 지구 평균치에 비하여 상당한 크기로 변화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의 지역 분포는 해수면 예측치의 공간 표준편차, 지역 최소값 및 최대값을 기준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인 분포 중 북극해에서 지구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고 남빙양에서 낮게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후모델 간 유사성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의 지역 분포 예측이 현 기후모델들의 가장 취약한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 주변 해수면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PSMSL(Permanent Service for Mean Sea Level) 자료 중 관측기간이 비교적 긴 65개 정점(한국, 일본, 중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조위정점의 수직 육지 운동의 오차를 고려하기 위하여 후빙기지각반동(PGR: Post Glacier Rebound)에 의한 육지의 수직운동 성분을 ICE-4G 모델(Peltier, 2001)에 의하여 각 정점별로 교정하였다. 65개 조위정점에서 후빙기 지각반동을 교정한 해수면 변화율은 평균 1.627mm/yr로서 IPCC(2001)에서 제시한 범위, 1.0∼2.0mm/yr,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5개 정점의 표준 편차는 2.153mm/yr로 나타났다. 65개 정점 중 한국연안의 23개 정점의 분석 결과 동해의 경우 해수면 변화율은 평균 0.568mm/yr(표준편차 0.91mm/yr)로서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평균 3.125mm/yr(표준편차 1.819mm/yr)로서 비교적 해수면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제주도 의 상승률이 크게 나타났다. 서해의 경우 평균 변화율은 2.638mm/yr(표준편차 2.856mm/yr)으로 나타났다. 한국 연안의 23개 전체 정점에 대한 평균치는 2.31mm/yr(표준편차는 2.22mm/yr)로서 지구 평균치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위 자료로서 한국 주변의 지구온난화와 관련한 해수면 변화를 추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먼저 대부분의 자료는 일본 연안 및 한반도의 남쪽 연안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한의 1개 정점 및 중국 연안의 6개 정점을 포함하고 있으나 러시아 쪽은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공간적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조위자료는 관측 기간이 50년 이하로서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신호를 유출하기에는 관측 기간이 짧다. 조위자료의 시공간적인 제한 이외에도 대부분의 조위 관측점은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은 표준편차 등의 근거로 연안의 복잡한 물리적 지질학적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위성 고도계(Topex/Poseidon 및 ER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동해의 경우 상승률이 4.6mm/yr로서 나타났으며 이 수치는 위성고도계에 의한 지구평균치(3.1mm/yr)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도계자료의 공간적 분포에서 동해의 경우 난류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높은 상승률은 최근 해수면 상승 가속, 지구온난화에 대한 동해의 반응시간, 수십년 주기의 해양 운동과의 관련성, 조사 기간의 한계 등 여러 면에서의 고찰이 요구된다. 한반도 주변 해역의 향후 해수면 상승에 관한 예측은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현재의 기후모델의 낮은 신뢰도로 인하여 논의가 어렵다. 다만 몇몇 기후모델(예, Hadley Centre의 HadCM3)의 연구 결과 한반도 주변 연안이 지구 평균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상대적인 연구 결과가 있다. 이들 모델의 예측치는 쿠로시오를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이 높게 나타나며 쿠로시오의 영향을 받는 한반도 주변 해역도 그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의 기후모델에 의한 해수면 상승 예측은 같은 배출시나리오를 사용하여도 모델에 따라 지구 평균치도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적인 분포는 모델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의 정량적 예측 및 지역분포 예측은 현재 기후모델의 가장 취약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계 몇몇 기관(일본 MRI, 영국 Hadley Centre 등)에서 지역 모델을 개발하고는 있지만 아직 초보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현재 해수면 영향 평가를 위한 해수면 상승시나리오에 모델 예측 분포치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 결과 해수면 상승의 지역적 분포는 지구 평균치에 비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지역적인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에 있어서 지역 모델 예측에 의한 영향 평가가 향후 필요하다. 해수면 상승의 1차적인 영향은 연안 저지대 및 습지의 범람 증대 및 이동, 연안 침식 증대, 폭풍 해일 및 홍수의 위험 증대, 표층수 및 지하수의 염분 침투 등이 있다. 이들 영향은 사회경제시스템에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악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먼저 생계 및 건강에 대하여 영향으로는 범람, 폭풍 해일 및 홍수를 통한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 재산 및 연안 거주지의 손실, 관개 수질 저하, 연안 농작물 수확량 저하, 어류 및 조개의 생육장인 맹그로브, 산호초, 연안 석호와 같은 중요 생태계의 질 저하 및 소실에 의한 수산생산력에 대한 위협, 식수 수질저하, 주거질 저하, 이주와 관련한 건강 위험 증가와 매개 전염균 확산에 의한 건강 및 생활 수준 저하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사회기반시설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주요 사회기반시설(항구, 연안도로, 철도, 빌딩 등), 연안 산업(석유 및 석유화학 공장 등) 및 서비스(관광)에 대한 위협으로 토지 및 건물 재산 가치 하락과 해수면 상승 영향에 대한 보호비용 증대, 보험료의 증대, 정치적 제도적 불안 및 사회 동요 등을 유발할 수가 있다.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주민 및 국가가 겪을 정치적, 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스트레스도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에 의한 적절한 대응은 3단계의 과정 즉 해수면 상승 예측(prediction), 해수면 상승에 대한 영향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 및 영향에 대한 대응 방안(adaptation)이 필요하다. 해수면 상승 예측은 먼저 기후모델을 이용하여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예측과 동시에 연안에 영향을 주는 조석, 태풍해일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이러한 예측 결과에 기초한 영향 평가는 대상 분야(자연생태계, 인간 및 사회시스템)에 따라 다른 방법이 사용되며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갖는 영향 평가 분야는 해수면 상승이 인간차원(human dimension)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한반도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백중사리, 태풍이나 폭풍 등에 의한 해일과 같은 기상재해에 의하여 이미 해수 범람 문제로 상당한 피해를 주기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안역의 피해는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태풍 및 강수의 변동 등의 중첩으로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반도와 같이 조석, 태풍 및 폭풍 해일 등의 동적 영향이 매우 큰 지역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즉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정적 상승(static change)만을 고려하는 방법은 적합하지 않으며 온난화로 인한 정적 상승과 더불어 태풍 및 조석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접근 방법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시나리오는 현재 기후모델에 의한 공간적인 예측의 불확실성,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에 대한 시공간적인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여러 배출시나리오에 의한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 예측치를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태풍 해일에 의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모델과 경험식 및 과거의 태풍 자료로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2차년도(2002)에는 해수면 상승, 조석, 태풍 해일에 의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산출하고, 시나리오별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별 침수 예상 분포도, 침수 예상 인구, 침수 지역 피복 분류와 해수면상승 영향에 대응방안 조사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wang-Wo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i-Hy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