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 방안

Title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 방안
Authors
변병설
Co-Author
이병준
Issue Date
2002-12-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정책보고서 : 2002-09
Page
viii, 143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76
Language
한국어
Keywords
Urban ecology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dicate strategies to conserve green tract of lands in urban area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 green tract of land in an urban area can be defined as an open space including water, trees, and grassland within the city and these portion of land can have various  positive  effects to the urban living. These effects include prevention of urban sprawl, air quality improvement, noise decrease, the micro-climate control, the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a green space produces pleasant urban environment, improves the quality of urban residents' living quality, and induces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short, it promotes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y. However, these green tracts of land are always under threat by developmental projects, and the expansion of urban boundaries. This study looked at the situation of green tracts of land in major urban cities in Korea, and found that the biggest problems are lack of a green tract of land, ineffectiveness of management system for green spaces, the lack of networks between green spaces, difficulties of secure, shortage of civil participation, occurrence of long-delayed urban park, the shortage of available parks near residential areas. Therefore, following strategies have been presented. Firstly,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s is needed. There are many building in urban areas but not enough green spa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fforest these artificial spaces. In order to afforest artificial grounds, it is necessary to launch various incentives for roof greening, revise relevant laws and launch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green spaces dispersed throughout the city. Green network system, as it is called, connects green space within the city, linking closely green factors of the urban environment. To construct green network system, it is necessary to set up its basic unit, to find an important patch and corridor, to draw a green network map, and to determine the administering authorities. Thirdly, active civil participation is needed. Civil participation is important as well as government efforts in terms of enlarging a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Therefore, constructing a private-public partnership, activating civil participation in urban planning process, and harmonizing a green tract of land with civil culture are essential. Fourthly, revising law and constitutions related to urban greening is needed.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are the inconsistency in scope, the shortage of incentives, and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pla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to devise a comprehensive plan, revise related law, and to legislate  The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Management Act to institutionally expand green tract of lands in urban area.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제2장 도시녹지의 개념과 효과
1. 도시녹지의 개념 4
2. 도시녹지의 필요성 7
3. 도시녹지의 효과 11
가. 공간조절효과 12
나. 환경효과 12
다. 보건효과 19
라. 방재효과 21
마. 이용효과 22

제3장 도시녹지의 현황과 확보방향
1. 도시녹지의 현황 24
가. 개요 24
나. 공원현황 24
다. 녹지와 유원지 현황 25
라. 임야 현황 27
2. 도시녹지의 문제점 30
가. 개요 30
나. 녹지의 부족과 감소 30
다. 녹지관리체계의 미흡 32
라. 녹지의 연결성 부족 32
마. 토지의 사유권 강화에 따른 녹지확보의 어려움 33
바. 시민참여의 부족 34
사.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양산 34
아. 생활권공원의 부족 35
자. 법?제도의 미정비 36
3. 도시녹지의 확보방향 36
가. 녹지총량의 증대 36
나. 관리기반의 강화 38
다. 녹지네트워크 구축 39
라. 시민참여의 활성화 39
마. 법?제도의 개선 41

제4장 특수공간의 녹화방안
1. 특수공간녹화의 필요성 43
2. 특수공간녹화의 종류 45
3. 특수공간녹화의 목표 46
4. 특수공간녹화의 기능 47
가. 주변환경의 개선 49
나. 경제적인 기능 52
다. 도시환경 개선 효과 54
5. 특수공간녹화의 사례 55
가. 옥상 녹화 55
나. 벽면 녹화 58
다. 테라스 녹화 59
라. 플랜트 박스 녹화 60
6.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61
가. 국내의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61
나. 국외의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63
7. 특수공간녹화의 문제점 및 개선책 68

제5장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1. 개요 71
2. 도시녹지네트워크의 개념 72
가. 단어해석상 의미 72
나. 개념적 정의 73
다. 유사개념 검토 73
3.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79
가. 도시녹지네트워크의 특징 79
나. 도시녹지네트워크의 구성원리 80
다.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 80
라.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82
4. 소결 87

제6장 지속 가능한 도시녹지환경을 위한 시민의 역할
1. 개요 89
2. 지속가능한 도시녹지 환경 90
가. 도시 녹지환경 악화 90
나. 시민참여의 중요성과 역할 94
3. 도시녹지의 조성 및 보전을 위한 시민참여 97
가. 보전사례 97
나. 조성사례 99
다. 관리사례 103
4. 시민의 역할과 과제 107

제7장 도시녹지의 보전과 확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1. 개요 110
2. 도시녹지의 특성과 제도상의 의의 111
3. 도시녹지 관련제도 113
가. 도시녹지 관련법 체계 113
나. 도시녹지 관련제도의 내용 115
다. 지자체의 도시녹지 관련조례 119
4. 도시녹지 관련 여건의 변화와 제도적 문제점 120
가. 도시녹지 관련 여건의 변화 120
나. 도시녹지의 보전 및 확충을 위한 제도적 문제점 121
5.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123
가. 녹지개념의 확대와 다원화 124
나. 종합적인 “도시녹지기본계획”의 수립 124
다. 커뮤니티 단위의 도시녹지 확충 시행계획 수립 125
라. 계약에 의한 사유녹지의 활용제도 실시 126
마. 개발행위허가제의 적극 활용 126
바. 주민들이 참여하는 도시녹지 보전 및 확충방안 127
사. 녹지확보 수준의 변경 128
아. 장기미집행 공원의 선 매입 - 후 귀속 128
자. 도시정비 및 개발과정에서의 녹지확보방안 129
6. 도시녹지 관련법률의 정비방안 129
가. 도시녹지 관련 기존법률의 보완 130
나. 새로운 도시녹지법의 제정 130
다. 지역특성에 부합되는 지방조례의 육성 131

제8장 연구의 요약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135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