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이동성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승우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1Z -
dc.date.issued 200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3 RE-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1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3_RE20]토양오염물질(정승우)1.pdf -
dc.description.abstra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chemes Considering Fate and Transport of Soil Contaminants Soil environmen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or community although soil contamination may affect human health and the eco-system. This study was the first trial to discuss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il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suggest possib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chemes for soil.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show the effects of soil contamination on human health, the environment and the social community, suggest efficient EIA schemes in Korea and establish the basic concepts of soil environment assessment involving fate and transport of contaminants and its risk. Soil contamination resulted in various problems in either construction plans or the environment. Discovery of contaminated site during construction may result in time and economic losses due to delay of construction. Thus, EIA needs a through investigation on the soil environ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New EIA schemes would be needed to assess the effects of soil contamination on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air qualities and the risk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alysis of EIA reports revealed that the current soi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in few sampling points of construction sites and conducted only on farmlands which were normally uncontaminated. Most of EIA reports have not dealt with estimation or prediction of soil pollution from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plans although EIA guidelines of Korean government clearly ask prediction and reduction of soil pollution resulted from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tried to find efficient EIA schemes to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IA reports. Soil investigation schemes involving several tiers (interview, site reconnaissance, information survey,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to identify all possible contaminated areas in the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divided the prediction and reduction of soil pollution into three cases; soil pollution during construction, soil pollution during operation,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soil pollution, and suggested detail EIA schemes for each cases. Preliminary Assessments under CERCLA were introduced to establish basic concepts of soil environment assessment which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br> 1. 연구배경 및 목적 <br> 2. 연구범위와 방법 <br> 3. 환경영향평가와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관련 조사?평가 <br> <br>제2장 토양환경의 중요성 <br> 1. 토양오염이 미치는 인체 및 환경영향 <br> 가. 인체에 대한 위해성 <br> 나. 지하수 오염 <br> 다. 지표수 오염 <br> 2. 생활환경에서의 토양 <br> 가. 개발사업시 문제시된 토양환경 <br> 나. 토양환경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 <br> 다. 공장이전적지의 개발 <br> <br>제3장 토양 환경영향평가 현황 <br> 1. 사전환경성 검토제도 <br> 2. 환경영향평가 제도 <br> 가.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및 규모 <br> 나. 환경영향평가 항목의 종류 및 주요 평가항목의 설정 <br> 다. 토양항목의 주요 평가내용 <br> 3. 토양환경영향평가 현황분석 <br> 가. 토양현황조사 <br> 나. 토양오염예측 및 저감방안 <br> 다. 평가서 검토 사례 <br> <br>제4장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방안 <br> 1. 토양현황조사 <br> 가. 오염원 <br> 나. 오염원 중심의 토양현황조사 방안 <br> 다. 토양오염물질의 특성과 이동성을 고려한 토양현황조사방안 <br> 2. 토양오염물질의 이동성과 위해성을 고려한 토양환경평가기법 <br> 가. 토양환경평가기법 비교 <br> 나. 토양오염지역의 기초토양환경평가기법(미국 PA방법) <br> 다. 토양환경평가기법의 발전방향 <br> 3. 토양오염 예측 및 저감방안 <br> 가. 토양오염예측에 대한 구분 <br> 나. 개발사업 중 토양오염 가능성 예측과 대책 <br> 다. 운영 중 토양오염 가능성 예측과 대책 <br> 라. 운영 중 토양오염에 의한 환경영향예측과 대책 <br> 4.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절차 방안 <br> 가.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작성방안 <br> 나. 사업별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방안 <br> <br>제5장 요약 및 결론 <br> <br>참고문헌 <br> <br>〈 부 록 〉 <br>1.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br><br>제 1 장 서 론 1<br>1. 연구배경 및 목적 1<br>2. 연구범위와 방법 2<br>3. 환경영향평가와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관련 조사·평가 5<br><br>제 2 장 토양환경의 중요성 8<br>1. 토양오염이 미치는 인체 및 환경영향 9<br>가. 인체에 대한 위해성 9<br>나. 지하수 오염 13<br>다. 지표수 오염 19<br>2. 생활환경에서의 토양 21<br>가. 개발사업시 문제시된 토양환경 21<br>나. 토양환경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 26<br>다. 공장이전적지의 개발 32<br><br>제 3 장 토양 환경영향평가 현황 35<br>1. 사전환경성 검토제도 35<br>2. 환경영향평가 제도 38<br>가.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및 규모 38<br>나. 환경영향평가 항목의 종류 및 주요 평가항목의 설정 40<br>다. 토양항목의 주요 평가내용 41<br>3. 토양환경영향평가 현황분석 41<br>가. 토양현황조사 41<br>나. 토양오염예측 및 저감방안 45<br>다. 평가서 검토 사례 46<br>제 4 장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방안 53<br>1. 토양현황조사 53<br>가. 오염원 53<br>나. 오염원 중심의 토양현황조사 방안 57<br>다. 토양오염물질의 특성과 이동성을 고려한 토양현황조사방안 62<br>2. 토양오염물질의 이동성과 위해성을 고려한 토양환경평가기법 85<br>가. 토양환경평가기법 비교 86<br>나. 토양오염지역의 기초토양환경평가기법(미국 PA방법) 88<br>다. 토양환경평가기법의 발전방향 102<br>3. 토양오염 예측 및 저감방안 103<br>가. 토양오염예측에 대한 구분 103<br>나. 개발사업 중 토양오염 가능성 예측과 대책 106<br>다. 운영 중 토양오염 가능성 예측과 대책 109<br>라. 운영 중 토양오염에 의한 환경영향예측과 대책 110<br>4.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절차 방안 113<br>가.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작성방안 113<br>나. 사업별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 방안 119<br><br>제 5 장 요약 및 결론 128<br><br>참고문헌 132<br><br>부 록 137<br>1.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137<br>가. 중금속의 이동성 137<br>나. 카드뮴 138<br>다. 비소 139<br>라. 수은 141<br>마. 납 142<br>바. 크롬 143<br>2. 지표수와 지하수내 오염물질 농도 예측 146<br>가. 지표수에서의 오염물질 평형농도 146<br>나. 지하수 오염물질 농도예측 151<br>3. 기초토양환경평가 방법 165<br>가. 지하수 이동경로 (Groundwater pathway) 평가 167<br>나. 지표수 이동경로 (Surface wate pathway) 평가 164<br>다. 토양노출경로 (Soil exposure pathway) 평가 171<br>라. 공기 이동경로 (Air pathway) 평가 173<br>마. 부지평가 결과 산정 174<br> -
dc.format.extent ix, 193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이동성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chemes Considering Fate and Transport of Soil Contaminant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3-20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토양환경은 인체 및 생태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환경영향평가인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서 환경영향평가과정에서 토양분야의 역할과 중요성을 제고하고, 현황 분석을 통해 차후 환경영향평가 기법개발에 필요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토양환경이 미칠 수 있는 인체, 환경 및 사회영향에 대해 조사함으로서 토양환경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둘째, 현재 환경영향평가서 토양분야 작성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합리적인 환경영향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이동성을 이해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2차 오염과 위해성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에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토양오염이 개발사업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오염토양은 개발사업자 또는 오염원인자에게 시간적·경제적 손실과 법적인 책임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개발사업 전 토양환경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대책수립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토양오염은 그 자체에 그치지 않고 지하수오염, 지표수오염, 공기오염 등을 야기하여 인체 및 생태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의 이동성과 위해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현황 분석결과, 방대한 사업부지에 비해 토양현황조사는 2-3개 지점의 단편적인 토양조사만 실시하고 있는 현실이었고, 이 마저 오염의 개연성이 적은 논·밭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환경영향평가 작성지침에서 요구하고 있는 토양오염예측 및 저감방안과 사업시행으로 인한 토양환경영향예측 및 대책은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토양부문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에 대해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토양현황조사시 토양조사지점을 단순히 늘리는 것보다는 먼저 탐문조사, 자료조사, 환경측정자료 분석 등의 토양오염 개연성 조사를 통해 토양오염원을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토양현황조사 방안을 제시하였다. 토양오염예측과 저감방안에 대해서 시간적으로는 '개발사업 중 토양오염 발생 가능성', '운영 중 토양오염 발생 가능성'으로 구분하였고, 공간적으로는 '토양오염발생 후 미칠 수 있는 환경영향 예측'으로 모두 3가지 경우로 구체화하여 각 사업별 주요평가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토양오염물질과 이들의 이동성에 따른 토양오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 토양 및 지하수 측정망 운영결과를 분석하여 토양현황조사에 필요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중금속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토양표토층의 토양조사로서 오염여부를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지만, 유기오염물질에 대해서는 토양조사로서의 오염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내 이동성을 가진 유기오염물질(유류, TCE, PCE)에 대해서는 주변 지하수 수리조사 및 수질조사와 연계한 토양현황조사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차후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이동성 및 위해성을 고려한 평가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필요한 기본 개념의 정립을 위해 미국의 기초토양환경평가기법의 구성요소, 평가기준, 평가방법들을 분석하여 차후 우리실정에 맞는 토양 환경영향평가 기법의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게 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u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