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역생태-경제모형개발Ⅱ

Title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역생태-경제모형개발Ⅱ
Authors
정회성
Co-Author
윤갑식
Issue Date
2003-12-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3-07
Page
166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16
Language
한국어
Abstract
A Study on Ecological-Economic Model Development for Sustainability Evaluation Ⅱ This study is the second year outcome of a study to review and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ecosystem-economy integrated model using the system analysis approach. In the first year study,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society and the nature and learned that we must construct and practise a new paradigm to harmonizing the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all together if humanity want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fter reviewing various methodologies to develop the environment - economy integration models, this study examined the integration of both the ecology and economic systems using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and developed a demonstration model to assess the ecology-economy impacts of the clap discharge projects that Chung-Cheong and Kyong-Ki provinces have implemented for several years. Based on the previous year's study outcomes, this study directly address the way how we can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a region or nation. Methodologically, there are three approaches to measure and evaluate sustainability of a region and nation; they are analysis of environmental capacity,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or index), systems analysis, etc. All these approaches have their own merits and demerits. However, considering both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ecological economic systems, the systems approaches command great interest and potentials that we have witnessed last year. After reviewing the structures and growth mechanisms of an ecosystem and an economic syste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this study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on sustainability evaluation based on an integrated ecological-economic system approac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model would be applicable for both regional and national scales with small modifications. The ecological-economic model is composed of four sub-systems: economic activities, production factors and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nagement, and social development. Along with the framework of the theoretical model,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model on integrated ecological-economic system for Korea. The model is an only primary model on Korea's ecological-economic system. However, it demonstrated some very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development, when we simulated the model with scenarios. The model, we believe, has a lot of potentials of further expansion and can be applied various policy simulation and scenario analysis. Some of the implications are; with decreased rate of population growth and aging of the people, economic growth rate of Korea would be decreased resulting reducing environmental burdens; the water quality would be improved with increased environmental investment, but air quality would not. The natural purification capacity of water pollution would be reduced along with the reduction of agricultural lands, but that of air pollutants would not as the increased bio-mass of forest although the amount of forest land would be decreased continuously. Concluding two years study on ecological-economic modelling, this study strongly believes that the system analysis approaches have a great possibility and could be a useful method to evaluate if an ecological-economic system is sustainable. However, we also suggest that the system analysis technique should be used with other techniques such as econometrics, GIS if some want to get better models to address various issues related with the sustainability.

Table Of Contents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제2장 국가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 진단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7
1.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성 평가 7
가.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유형 7
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발전과정 9
다. 지속가능성 진단방법 개관 12
2. 지속가능성의 물리적 평가기준: 환경용량 14
가. 생태학적 지속가능성과 환경용량의 기준 14
1) 적정규모 이론 14
2) 인간활동 수용체로서의 환경용량 15
3) 자원의 공급자로서의 환경용량 16
나. 환경용량의 제 개념과 평가방법 17
1) 환경용량의 제 개념 17
2) 지속가능성 및 환경용량의 평가방법 18
3) 주요 국가의 생태족적 및 생물용량 분석 사례 20
다. 환경용량에 대한 종합평가 23
3. 지속가능성 진단수단: 지속가능성 지표와 지수 24
가. 지속가능성지표 개발의 의의 24
나. 지속가능성 지표의 개발 동향 24
1) 국제적 차원의 지표 개발 24
2) 국가적 차원의 지표 개발 28
3) 지역적 차원의 지표 개발 29
4) 국가 지속가능성 지수의 비교 사례 30
5) 지속가능성 지표 종합 32
4.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체제분석법 33
가. 체제이론과 체제분석법 33
나. 체계분석을 위한 접근방법 34
1) 위치분석과 지속가능성 평가지도 34
2) 체계동태 모형의 개요와 특성 39
다.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체계동태모형의 개발사례 43
1) 서울시의 환경용량 분석 모형 43
2) 낙동강수계의 환경분쟁 모형 46
3) 인간-생태계 통합 동태모형 48
4) 중국 엘하이호 지속가능개발모형 50
5) GAP 생태-경제통합 모형 54
6) 파투전트강 생태-경제통합 동태모형 56
5. 요약 59

제3장 생태-경제 통합 체계동태 모형화의 기초이론과 모형 61
1. 개관 61
2. 생태계의 구조와 성장이론 63
가. 생태계의 구조와 특성 63
나. 단일 개체의 성장이론 64
다. 에너지흐름과 먹이사슬: 포식자-피식자(Predator-Prey) 모델 66
3. 경제계의 구조와 성장모형 69
가. 경제계의 구조와 성장 69
나. 시장가격의 결정 구조 69
다. 수요측면의 성장이론 72
라. 공급측면의 이론 74
1) 지역의 생산기술 75
2) 요소 가격 75
3) 요소스톡의 변화 76
4. 생태계와 경제계의 상호작용 모델 76
가. 공유지의 비극 76
나. 최적 수확시기(optimal harvesting timing) 79
다. 사회발전과 지속가능성 80
5.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생태-경제 통합모형의 구축방법 82
가. 통합 모형의 일반적 특성과 구조 82
나. 생태-경제 통합 모형의 하부구조와 특징 84
1) 경제활동부문 84
2) 생산요소부문 86
3) 환경 및 생태부문 91
4) 사회발전부문 94

제4장 시범모형: 한국의 생태-경제 통합체계동태 모형 96
1. 개관 96
2. 한국의 생태-경제 통합 체계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97
가. 자연자원 97
나. 인구규모와 구조 98
다. 경제활동 99
라. 환경오염 물질 배출량 추이 101
마. 사회발전 102
3. 모형의 분석과 평가 103
가. 모형의 개요 103
나. 변수 및 파라메타의 초기값 107
4. 정책 시나리오의 설정 및 효과분석 111
가. 시나리오 구성의 원리 111
나. 시나리오의 설정 113
다. 시나리오별 효과분석 114
1) 기준(BAU) 시나리오: 현재의 생산 및 소비체계 등을 유지할 경우 114
2) 시나리오 1: 생산투자와 환경투자의 비중을 조정할 경우 117
3) 시나리오 2: 사회발달로 인한 경제효율성 향상이 있을 경우 119
4) 시나리오 3: 환경목표 설정과 관리대안을 모색하는 경우 122
라. 모델분석과 모의실험 결과의 시사점 124

제5장 요약 및 결론 126
1. 연구의 요약 126
2. 향후 과제 128

참 고 문 헌 130

140
한국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생태-경제 통합모형의 수식 140
지속가능성 지표의 사례 144
주요 지표와 자료 148

Abstract 165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