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유동 및 부유사 확산의 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광우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3Z -
dc.date.issued 200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3 RE-1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2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3_RE19]해수유동및부유사(조광우)1.pdf -
dc.description.abstract Studies on Improvement of Costal Flow and Suspended Solid Predictions in the Coastal Zone Developments In order to direct the reasonable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reports and eco-friendly development of projects which give impacts on coastal zone, we found problems on the impact prediction of coastal flow and suspended solids(SS) based on existing EIA reports and suggested the guidelines for the reasonable improvement for the problems through qualitative experiences, quantitative modeling, and foreign case study. The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includes 1) investigation of coastal flow and SS phenomena, 2) analysis of status and problem for the existing ocean-related EIA, 3) foreign case study such as USA and Japan, and 4) improvement direction of coastal flow and SS predictions in EIA process. The dynamics of coastal processes include coastal flow regimes, weather system, sedimentation transport as well as hydrological link between coast and its boundary. The processes in the coastal zone link all factors physically and biogeochemically, and thus influence the ecosystem in the area. The major flows involved into the processes are tidal flow, wind-driven, density-driven, and wave-driven currents, which influence the biogeochemical system of coastal zone through advection and diffusion processes. Previous fiftee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mainly for the harbor development, are selected with regional consideration along the coast of Korea and analysed for prediction processes on coastal flow and suspended solid(SS), We found the significant lack of site observation and model verification in the impact predictions of coastal flow, lowering overall confidence level of the previous EIA reports for ocean-related projects. The only tidal flows have been mainly considered in previous EIA but with rare verification through flow observ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non-tidal components in the coastal flow mentioned above are required due to its dynamical characteristics (coastally trapped and non-peridiocal ones compared to tidal flow) and relative density of energy spectra. In the present study, the importance of the non-tidal component in the coastal flow are shown in terms of previous experience and study, numerical modeling, and foreign case study. We suggest the EIA in the ocean-related projects requires to consider flows due to wind, wave, density and offshore current through comprehensive spatio-temporal observations and then verification processes. However, the reasonable prediction of coastal flow through comprehensive observation entails realistic difficulties for separate EIA project due to the vulnerable system of current EIA such as poor EIA cost, lack of specialist, difficulty of ocean observation, and so on. Thus it is suggested that national efforts be also needed to accumulate coastal information such as flow data systematically and thus provide a variety demand including EIA community. The national efforts corresponding effectively to the demand of coastal information in Korea includes the compilation of previous coastal information along the Korean coasts, periodic observation and monitoring of coastal ocean including weather system which drives coastal ocean, real-time coastal reproduction and forecasting of coastal flow (through data, model, and their assimilation), and formation of integrated organization to deal with the coastal information issu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1 <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br>2. 연구 목적 3 <br>3. 연구 내용 3 <br>4. 연구 방법 5 <br> <br>제2장 연안의 유동 및 부유사 개요 7 <br>1. 연안의 특성 및 현황 7 <br>2. 연안의 유동 10 <br>가. 조석과 조류 13 <br>나. 취송류 18 <br>다. 밀도류 21 <br>라. 파동류(해빈류) 22 <br>마. 해류 26 <br>3. 부유사 29 <br> <br>제3장 유동 및 부유사 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 39 <br>1. 현지 조사 39 <br>가. 조사 항목 및 방법 43 <br>나. 조사 정점 선정 및 정점수 44 <br>다. 조사 범위 44 <br>라. 조사 시기 45 <br>마. 조사 결과 46 <br>2. 영향 예측 51 <br>가. 항목 52 <br>나. 모델 선정 52 <br>다. 모델 구성 53 <br>라. 검증 54 <br>3. 연안 유동 예측 57 <br>가. 조류 및 취송류 58 <br>나. 파동류 83 <br>4. 유동 비교 및 정량화 108 <br>가. 유동장 비교 108 <br>나. 입자추적 모형실험 117 <br> <br>제4장 유동 및 부유사 조사 및 예측 사례 129 <br>1. 미국 129 <br>가. 사업 배경 및 목적 129 <br>나. 유동 관측 계획 130 <br>다. 유동 관측 및 결과 134 <br>라. 유동 예측 140 <br>2. 일본 143 <br>가. 사업 개요 143 <br>나. 유동 관측 및 결과 144 <br>다. 유동 예측 152 <br>3. 시사점 161 <br> <br>제5장 개선방안 163 <br>1. 유동 관측 및 예측 164 <br>가. 유동 관측 164 <br>나. 유동 예측 및 검증 171 <br>2. 부유사 관측 및 예측 189 <br>가. 부유사 관측 191 <br>나. 부유사 확산 예측 193 <br>다. 예측결과 분석 2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br><br>국문요약 <br><br>제1장 서 론 1<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br>2. 연구 목적 3<br>3. 연구 내용 3<br>4. 연구 방법 5<br><br>제2장 연안의 유동 및 부유사 개요 7<br>1. 연안의 특성 및 현황 7<br>2. 연안의 유동 10<br>가. 조석과 조류 13<br>나. 취송류 18<br>다. 밀도류 21<br>라. 파동류(해빈류) 22<br>마. 해류 26<br>3. 부유사 29<br><br>제3장 유동 및 부유사 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 39<br>1. 현지 조사 39<br>가. 조사 항목 및 방법 43<br>나. 조사 정점 선정 및 정점수 44<br>다. 조사 범위 44<br>라. 조사 시기 45<br>마. 조사 결과 46<br>2. 영향 예측 51<br>가. 항목 52<br>나. 모델 선정 52<br>다. 모델 구성 53<br>라. 검증 54<br>3. 연안 유동 예측 57<br>가. 조류 및 취송류 58<br>나. 파동류 83<br>4. 유동 비교 및 정량화 108<br>가. 유동장 비교 108<br>나. 입자추적 모형실험 117<br><br>제4장 유동 및 부유사 조사 및 예측 사례 129<br>1. 미국 129<br>가. 사업 배경 및 목적 129<br>나. 유동 관측 계획 130<br>다. 유동 관측 및 결과 134<br>라. 유동 예측 140<br>2. 일본 143<br>가. 사업 개요 143<br>나. 유동 관측 및 결과 144<br>다. 유동 예측 152<br>3. 시사점 161<br><br>제5장 개선방안 163<br>1. 유동 관측 및 예측 164<br>가. 유동 관측 164<br>나. 유동 예측 및 검증 171<br>2. 부유사 관측 및 예측 189<br>가. 부유사 관측 191<br>나. 부유사 확산 예측 193<br>다. 예측결과 분석 204<br>3. 해양평가 관련 작성지침 개선안 206<br>가. 현지조사 206<br>나.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예측 211<br>4. 유동예측 신뢰도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214<br><br>제6장 결 언 223<br><br>참고문헌 227<br><br>Abstract 233<br> -
dc.format.extent 228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해수유동 및 부유사 확산의 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ies on Improvement of Costal Flow and Suspended Solid Predictions in the Coastal Zone Development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3-19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기존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해수 유동 및 부유사 확산 예측의 전반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합리적인 영향평가서 작성 및 친환경적인 사업 계획 유도를 목적으로 1)연안의 유동 및 부유사 현상 조사, 2)유동 및 부유사 영향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 도출, 3)미국 및 일본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사례조사, 4)유동 및 부유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안은 운동량, 에너지 및 각종 물질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해역으로 연안의 제 과정(coastal processes)은 물리적, 생물적, 화학적 및 지질학적 과정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연안의 유동은 이류(advection) 및 확산(diffusion) 과정을 통하여 화학적, 지질학적, 생물학적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해안 및 연안의 각종 개발 사업에 따른 환경변화와 그 영향을 예측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는 해양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 15건의 해양관련사업 환경영향평가서를 검토한 결과 현장조사, 모델 구성, 검증 및 예측의 과정에서 현장조사 및 검증이 간과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해양관련사업의 영향평가의 신뢰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동의 경우 조류를 제외한 파동류, 밀도류, 취송류, 해류 등에 대하여 관측 및 예측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못하였으며, 조류의 경우에도 유동 관측을 통한 검증은 매우 적었다. 기존 영향평가서의 문제점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동해, 남해, 서해에 대하여 조류, 취송류 및 파동류 모델을 구성하여 이들 유동을 분석한 결과 조류 외에도 취송류 및 파동류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송류 및 파동류는 그 역학 특성상 대부분의 사업이 일어나는 연안에 집중(coastally trapped)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해양영향평가시 이들 유동을 고려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및 일본의 사례조사 결과 연안에 특정 사업으로 인한 유동 영향 예측의 제 과정에 대하여 관측을 통한 사업 대상 해역의 계절별 유동장 파악, 사업의 중요 영향 및 관측 유동장을 토대로 예측 모델 구성, 예측 모델 결과와 관측자료와의 비교 검증, 사업으로 인한 영향 예측의 과정이 합리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해양관련 영향평가의 가장 취약점으로 나타난 사업대상 해역의 유동 및 부유사 관측에 대한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업 대상해역에 대한 철저한 시공간적인 관측계획이 요구되며, 계절별 장기 관측 및 적절한 수평 및 연직 관측이 필요하다. 또한, 유동 및 부유사 예측에 있어 모델 구성, 검증 및 예측의 과정 중 검증의 중요성이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시행하는 각종 해양관련사업의 영향예측을 위한 유동 조사에 대한 현행 평가제도의 구조적인 문제 즉 평가비용의 한계, 전문 인력의 부족, 해양 관측의 현실적인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국가적인 정책 방향으로 연안의 유동 정보를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확보하여 영향평가 등의 다양한 수요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1) 기존에 다양한 기관(영향평가업체 포함)에 의하여 관측된 자료를 수집 정리 작업이 필요하며 2) 유동의 구동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기상자료의 관측과 더불어 연안 유동 관측망을 설정하여 주기적인 관측 및 실시간 모니터링 관측이 요구되며, 3) 다양한 자료 및 예측 모델을 결합(자료 동화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연안의 실시간 유동 재현 및 계절별 해류도 산출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위에서 제시한 3가지 업무를 주관할 수 있는 정부조직의 구성과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wa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