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노백호 -
dc.contributor.other 박해경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6Z -
dc.date.issued 200411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4 WO-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5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4_WO03]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_노백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With a variety of topographic features and climatic conditions, Korea has extremely diverse habitat types such as coastal wetland, estuary, island, paddy field, cropland and woodland, which provide nesting and feeding sites for migratory birds and carnivorous predators (i.e., Siberian tiger). These habitats are now deteriorated and fragmented due to extensive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therefore, many endemic species are faced with extinction in Korea by habitat loss,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wildlife habitat model applied in Korea to quantify and protect suitable habitat for the Korean fauna and flora. Four major steps toward building a wildlife habitat model were used in this study: (1) overview and designation process of protected area to preserve wildlife habitat, (2) review of management strategy for protecting wildlife species and its habitat, (3) introduc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model developed by the United States and now applied worldwide, and (4) case study to evaluate the preliminary habitat model. All the procedures described above were integrated to develop GIS-based habitat models for Korean fauna and flora, especially considering spatially-explicit habitat variables derived from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EIS). Biotic and abiotic featur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habitat model. Only a few biotic factors and most abiotic factors were available to use in developing the habitat model.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ve conducted 3 extensive surveys to acquire biotic characteristics, only the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was used to construct nationwide GIS dataset for wildlife species in Korea. Abiotic characteristics such as rainfall, temperature, topography, soil and others have strong impacts on habitat preference of each species. The spatial pattern of abiotic features was distributed with NGIS and EIS; therefore, the GIS-based habitat model of this study took most of abiot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Given the paucity of biotic database as well as insufficient knowledge on habitat requirements of wildlife species, preliminary procedures for habitat model development were prepared. Habitat models for bullfrog (invasive alien species) and mallards (wintering visitor) were developed as case study to examine whether the preliminary habitat model and development procedures are realistic in current situation. In data-poor situations, expert opinion and literature review should be used to identify habitat variable and habitat preference. If more time is available, field survey and experimental observation could also be conducted to derive the HSI model. In conclusion, developing procedures of GIS-based habitat model for the Korean fauna and flora were suggested as follows: (1) organizing 3-5 panelist of experts related to landscape ecology, conservation biology, environmental planning, plant biology, animal behavior and wildlife management; (2) acquisition of ecological knowledge with literature review, delphi, field survey and others by panelist; (3) definition of spatial/temporal scales, which means study area and species’ life cycles interested; (4) selection of available habitat variables based on life requisites of wildlife species; (5) development of suitability index curve; (6) evaluation of the habitat model against a real-world measure; (7) production of habitat suitability map of individual species; finally (8)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habitat model by adding/removing habitat variables and changing suitability index curv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가. 연구의 배경 <br>나. 연구의 목적 <br> <br>2. 연구의 범위와 방법 <br>가. 연구의 범위 <br>나. 연구의 방법 <br> <br> <br>제2장 이론적 고찰 <br> <br>1. 용어의 정의 <br>가. 경관생태학 <br>나. 야생동?식물 <br>다. 생물서식공간 <br> <br>2. 서식공간 설정을 위한 고려사항 <br>가. 자원과 조건 <br>나. 서식공간 구성요소 <br> <br>3. 비오톱지도와 서식적합성지도 <br>가. 지리정보를 활용한 생물서식공간 평가 <br>나. 비오톱지도의 제작 <br>다. 서식적합성모형 및 서식적합성지도 <br>라. 비오톱지도와 서식적합성지도의 비교 <br> <br> <br>제3장 생물서식공간 조사 및 설정현황 <br> <br>1. 야생동?식물 및 서식공간 조사 현황 <br>가. 생물상 현황 <br>나. 자연생태계 및 야생동?식물 관련 조사 <br>다. 조사자료의 전산화 현황 <br> <br>2. 국내 서식공간 설정 현황 <br>가.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관련 제도 <br>나. 야생동?식물 관련 보호구역 지정현황 <br>다.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관련 조사지역 설정현황 <br> <br>3. 서식공간 조사 및 설정에 따른 문제점 <br>가. 서식공간 조사의 한계 <br>나. 서식공간 설정의 한계 <br> <br> <br>제4장 서식모형의 사례 구축 <br> <br>1. 생물종 및 사례지역 선정 <br>가. 생물종의 선정 <br>나. 개체수 변동 추이 <br>다. 사례지역 선정 <br> <br>2. 서식변수와 공간자료의 활용 <br>가. 서식변수의 선정 <br>나. 공간자료 구축현황 <br>다. 공간자료 활용 <br> <br>3. 서식모형의 구축 <br>가. 황소개구리의 서식적합성모형 구축 <br>나. 청둥오리의 서식적합성모형 구축 <br> <br> <br>제5장 생물서식공간 설정방안 제시 <br> <br>1. 서식모형의 설정방법 및 비교평가 <br>가. 서식모형 및 접근방법 <br>나. 서식모형의 비교평가 <br> <br>2. 서식모형의 설정과정 <br>가. 단일 생물종에 대한 서식모형 <br>나. 생물군집에 대한 서식모형 <br> <br>3. 서식모형의 평가 및 활용방안 <br>가. 서식모형의 평가 <br>나. 서식모형의 활용방안 <br> <br> <br>제6장 결론 <br> <br>1. 연구의 요약 <br> <br>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가. 연구의 배경 <br>나. 연구의 목적 <br> <br>2. 연구의 범위와 방법 <br>가. 연구의 범위 <br>나. 연구의 방법 <br> <br> <br>제2장 이론적 고찰 <br> <br>1. 용어의 정의 <br>가. 경관생태학 <br>나. 야생동?식물 <br>다. 생물서식공간 <br> <br>2. 서식공간 설정을 위한 고려사항 <br>가. 자원과 조건 <br>나. 서식공간 구성요소 <br> <br>3. 비오톱지도와 서식적합성지도 <br>가. 지리정보를 활용한 생물서식공간 평가 <br>나. 비오톱지도의 제작 <br>다. 서식적합성모형 및 서식적합성지도 <br>라. 비오톱지도와 서식적합성지도의 비교 <br> <br> <br>제3장 생물서식공간 조사 및 설정현황 <br> <br>1. 야생동?식물 및 서식공간 조사 현황 <br>가. 생물상 현황 <br>나. 자연생태계 및 야생동?식물 관련 조사 <br>다. 조사자료의 전산화 현황 <br> <br>2. 국내 서식공간 설정 현황 <br>가.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관련 제도 <br>나. 야생동?식물 관련 보호구역 지정현황 <br>다.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관련 조사지역 설정현황 <br> <br>3. 서식공간 조사 및 설정에 따른 문제점 <br>가. 서식공간 조사의 한계 <br>나. 서식공간 설정의 한계 <br> <br> <br>제4장 서식모형의 사례 구축 <br> <br>1. 생물종 및 사례지역 선정 <br>가. 생물종의 선정 <br>나. 개체수 변동 추이 <br>다. 사례지역 선정 <br> <br>2. 서식변수와 공간자료의 활용 <br>가. 서식변수의 선정 <br>나. 공간자료 구축현황 <br>다. 공간자료 활용 <br> <br>3. 서식모형의 구축 <br>가. 황소개구리의 서식적합성모형 구축 <br>나. 청둥오리의 서식적합성모형 구축 <br> <br> <br>제5장 생물서식공간 설정방안 제시 <br> <br>1. 서식모형의 설정방법 및 비교평가 <br>가. 서식모형 및 접근방법 <br>나. 서식모형의 비교평가 <br> <br>2. 서식모형의 설정과정 <br>가. 단일 생물종에 대한 서식모형 <br>나. 생물군집에 대한 서식모형 <br> <br>3. 서식모형의 평가 및 활용방안 <br>가. 서식모형의 평가 <br>나. 서식모형의 활용방안 <br> <br> <br>제6장 결론 <br> <br>1. 연구의 요약 <br> <br>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br> <br> <br>참고문헌 <br>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viii, 116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to Determine Wildlife Habitat Model in Korea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4-03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야생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멸종위기종을 지정하고 주기적으로 개체군의 크기와 변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서식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의 부족으로 인해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를 평가하고 보호하기 위한 지식기반이 취약한 상태이다. 최근 환경 및 국가지리정보의 구축,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상용화에 따라 비생물학적 환경요소에 대한 자료획득이 가능함으로써, 공간정보를 이용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공간 설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적 접근방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야생 동?식물의 공간적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특히 생물 서식공간에 대한 지식기반 강화를 위해 서식변수의 선정, 서식모형의 설정 절차 및 활용분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식공간 설정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생물종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소와 비생물학적 요소에 대한 자료 가용성 및 외국의 서식공간 설정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비생물학적 요소에 대한 자료로는 기후, 식생, 임상, 수계, 유량, 수질, 지형, 토양 등이 조사되고 있으며, 개체군의 규모 및 군집구성 등 생물학적 요소는 (1) 전국자연환경조사, (2) 야생동물실태조사, 그리고 (3)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등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비생물학적 환경요소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공간 DB로 구축되어 생물 서식공간 설정에 활용할 수 있으나, 생물학적 요소는 생태?자연도를 제작하는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전산화 단계가 낮은 상태이다. 생물학적?비생물학적 자료의 조사 및 구축현황, 그리고 외국사례의 검토를 통해 서식적합성모형을 서식공간 설정을 위한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서식적합성모형은 단일 생물종에 대한 서식모형으로써 생물군집에 대한 서식공간을 유형화하는 비오톱과는 구별된다. 서식적합성모형을 기반으로 서식적합성지도를 제작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도면화를 위해서는 생물종에 대한 행동권 등 생태적 지식기반과 함께 물리적 환경을 나타내는 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 서식적합성모형의 실제적인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황소개구리와 청둥오리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한 결과, 야생 동?식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로는 미흡하며 관련문헌이나 전문가를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야생동물실태조사 및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에 대한 전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야생 동?식물의 생활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변수 특히 지형, 토양, 수계, 기후, 유량 및 수질 등 대부분의 비생물학적 환경변수는 공간정보로 구축되었으나 서식적합성모형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자료구축 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낸 문제점을 감안하여, 서식적합성모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여섯 단계의 서식공간 설정절차를 제안하였다. 첫째, 서식모형 설정에 참여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한다. 지질 및 지리학, 경관생태학, 동물행동학, 환경계획학, 보전생물학, 식생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며, 특히 분석 대상지의 지역 전문가도 참여토록 한다. 둘째, 현지조사, 문헌조사, 전문가조사, 센서스자료, 연구 참여자의 경험 및 지식을 활용하여 대상 생물종에 대한 생태학적 정보를 획득한다. 셋째, 개발하고자 하는 서식모형의 공간적, 시간적 범위를 설정한다. 공간적 범위로는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지역으로 한정할 것인지 결정하며, 시간적 범위로는 대상 생물종의 전체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생애주기나 계절만을 대상으로 서식모형을 개발할 것인지 결정한다. 넷째, 서식적합성모형에 의거하여 생물종에 대한 서식모형을 구축한다. 생물종의 성장을 제한하는 서식변수를 밝혀내고, 겨울철 먹이자원이나 번식 및 잠자리 등 생활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서식변수를 도출한다. 다섯째, 개발된 서식모형을 지표면상에 도면화한다. 여섯째, 서식모형을 토대로 제작된 서식적합도에 실제 관측값(예, 개체수)을 적용?비교함으로써 서식모형을 평가한다. 또한, 서식모형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함으로서 서식모형의 정확성, 보편성 그리고 자료가용성을 향상시킨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R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ik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