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면 지표 개발과 적용(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contributor.other 장수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7Z -
dc.date.issued 2004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4 RE-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5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4_RE08]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층 지표개발과 적용(최지용).pdf -
dc.description.abstract Even though the changes in the use of watershed land are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water, they have been rarely taken into account in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s the land uses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watershed are increasing, we can no longer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water environment only with the old mean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uch as sewage treatment. Also, the need for developing and using new watershed management indicators that enable us to better manage land use is growing. Among these new indicators, Impervious Cover is being considered as a factor that closely affects water quality in a negative way, and its importance in water quality management is being highlighted.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s of increased Impervious Cover on the water quality and volume in watersheds. In addition, the practices of using Impervious Cover Indicators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methods for reducing impervious covers are examined. As a plan to reduce impervious covers to cut down their negative effects on watershed environment, considerations that must be taken at the land use planning stag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land were introduced. Particularly, various methods of land use and its management to reduce impervious covers were examined, and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se methods in actual watershed planning activities were also presented. To summarize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Chapter 2 describes a positiv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impervious covers and reviews various effects from the increasing impervious covers.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impervious covers was carried out for Gyeongan stream, Anyang stream, and Bokha stream watersheds. Chapter 3 describes the methods adopted in some countries to manage impervious covers and reduce their influence on water environment. These countries are trying various methods to relieve their negative effects on water quality, water volume, and ecosystem. These effects include difficulties of water circulation resulting from the increasing impervious covers due to growing economic activities, buildings and pavements in watersheds. Chapter 4 describes various measures to apply the impervious cover reduction methods. These measures for facilitating water circulation and cutting down pollutant runoff in watershed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measur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auses and influence of impervious covers in the land use planning stage in advance and the measures to reduce rainwater runoff and pollutions by using physical facilities after the land is developed. Advance measures include limiting the percentage of imperviousness in the land use plan or considering water circulation in site planning. The posterior measures include the installation of pervious areas and undercurrent facilities to reduce impervious covers. The last chapter, "Conclusions and Policy Suggestions" presents the methods to cope with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d impervious covers in watersheds such as the growing runoff ratio, the reduced time of flood concentration, infiltration (internal water exclusion), increased peak runoff, reduced underground water infiltration, and increased nonpoint pollutant runoff. In summary, three basic suggestions are made. The first suggestion is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at the land use planning stage; in particular, some measures to minimize hydrological influence generated by site development through site design, and to relieve or restore the inevitable disturbance to the hydrologic system. The second suggestion is that we need institutional support; in other words, we should improve the specifications and regulation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that increases impervious covers. In particular, we should revise the regulations on the collection and exclusion of rainwater falling on the ground so that the rainwater would not directly flow into rainwater baskets but pass through surrounding pervious areas such as greens. In this way, we can expect to reduce runoff as well as cultivate underground water through rainwater infiltration. Furthermore, we should consider expanding pervious pavements that are used in some areas, such as bicycle paths, parking lots, and roads in housing areas that have a low traffic load. The third suggestion is that we should expand anti-inundation projects in cities. As measures for decreasing the total volume of inundation, we should actively consider such measures as the preservation of rainwater infiltration and natural areas, use of roof rainwater, as well as anti-inundation measures using rainwater undercurrent such as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reams a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These measures for facilitating the rainwater infiltration, runoff control and reuse will not only normalize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 watersheds but reduce the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as well as giving positive effects to the overall water environment including the water quality, water volume, and ecosystem of watershed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불투수면의 수환경영향 및 지표 활용성 검토 <br>1. 불 투수면의 환경영향 분석 <br>가. 수리·수문 영향 <br>나. 수질 영향 <br>다. 경제·사회적 영향 <br>2. 불투수면지표의 유역관리지표 활용성 검토 <br>가. 유역관리와 불투수면 지표 <br>나. 유역관리에서의 불투수면지표 활용방안 <br> <br>제3장 국내·외 불투수면 관리 실태 <br>1. 우리나라의 불투수면 관리실태 <br>가. 우수배제 체계 <br>나. 관련 시방서 및 지침 검토 <br>다. 국내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방안의 문제점 <br>2. 주요국의 불투수면 관리실태 <br>가. 일 본 <br>나. 미국 <br>다. 독일 <br>3. 외국의 불투수면 관리 시사점 <br>가. 불투수면지표 활용 <br>나. 유역 물순환 제고를 위한 불투수면 관리 정도 <br>다. 불투수면 저감에 의한 편익 <br> <br>제4장 불투수면 저감대책의 도입방안 <br>1. 제도개선 방안 <br>가. 물순환을 고려한 토지이용 개념 도입 <br>나. 불투수면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단지계획 <br>다. 불투수면 관리 강화를 위한 관련 지침보완 방안 <br>2. 시설설치 방안 <br>가. 불투수면 효과 저감을 위한 시설 <br>나. 저감시설의 선정과 설계 절차 <br>다.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도시지역 적용 <br> <br>제5장 결 론 <br> <br>참고문헌 <br>Abstract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br>국문요약<br><br>제1장 서 론<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br> 2. 연구내용 및 방법<br><br>제2장 불투수면의 수환경영향 및 지표 활용성 검토<br> 1. 불 투수면의 환경영향 분석<br> 가. 수리?수문 영향<br> 나. 수질 영향<br> 다. 경제?사회적 영향<br> 2. 불투수면지표의 유역관리지표 활용성 검토<br> 가. 유역관리와 불투수면 지표<br> 나. 유역관리에서의 불투수면지표 활용방안<br><br>제3장 국내?외 불투수면 관리 실태<br> 1. 우리나라의 불투수면 관리실태<br> 가. 우수배제 체계<br> 나. 관련 시방서 및 지침 검토<br> 다. 국내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방안의 문제점<br> 2. 주요국의 불투수면 관리실태<br> 가. 일 본<br> 나. 미국<br> 다. 독일<br> 3. 외국의 불투수면 관리 시사점<br> 가. 불투수면지표 활용<br> 나. 유역 물순환 제고를 위한 불투수면 관리 정도<br> 다. 불투수면 저감에 의한 편익<br><br>제4장 불투수면 저감대책의 도입방안<br> 1. 제도개선 방안<br> 가. 물순환을 고려한 토지이용 개념 도입<br> 나. 불투수면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단지계획<br> 다. 불투수면 관리 강화를 위한 관련 지침보완 방안<br> 2. 시설설치 방안<br> 가. 불투수면 효과 저감을 위한 시설<br> 나. 저감시설의 선정과 설계 절차<br> 다.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도시지역 적용<br><br>제5장 결 론<br><br>참고문헌<br>Abstract<br> -
dc.format.extent xi, 159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면 지표 개발과 적용(II)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pervious Cover Indicators for Efficient Watershed Managemen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4-08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유역의 토지이용변화는 하천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수질관리에 있어서 유역의 토지이용변화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특히 유역의 토지이용이 고도화 되고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해 하수처리 등 기존의 환경관리 수단만으로는 수 환경 악화를 방지할 수 없어 토지이용 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유역관리 지표를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표 중 불투수면은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이 밝혀지고 있으며, 수질관리에 있어서 불투수면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 불투수면 등의 유역인자와 수질 및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역의 물순환과 수질개선에 도움이 되는 불투수면 저감방안을 발생전과 발생 후 저감방안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불투수면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불투수면 확대에 따른 다양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불투수면 영향에 대한 수질 및 수량측면에서의 분석을 경안천, 안양천, 복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2-2002년 대상의 복하천, 안양천, 경안천 유역의 수질 및 유출에 대한 연구결과, 불투수면의 증가는 유출계수를 증가시키고, 수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질에 대한 패널분석결과, 유역별로는 불투수면의 비율이 가장 높은 안양천 유역에서 불투수면에 의한 수질 값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경안천의 경우는 수질 지표에 따라 안양천 유역의 지표보다는 약하지만 불투수면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복하천의 경우는 불투수면에 의한 수질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장에서는 해외에서 유역관리에서 적용하고 있는 불투수면 지표 활용사례와 저감방안 등을 고찰하고 불투수면의 증가에 의한 유역의 수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불투수면 저감방안으로 토지이용계획단계에서 고려할 사항과 개발 후 저감방안에 대한 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특히 불투수면 저감을 위한 다양한 토지이용 및 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유역계획에서 이들의 기법이 적용하였을 경우의 환경적 경제적 편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주요국의 불투수면 관리방안과 불투수면의 증가에 의한 수환경 영향 저감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최근 유역내 각종 경제활동 증가로 건물과 포장 등 불투수면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유역의 물순환에 장애 등 수질, 수량, 생태에 대한 악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처 기법을 시도 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우수저류침투시설을 유역단위로 보급시키는 사업은 초기에는 홍수대책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후에는 평상 유지유량확보대책을 포함한 물순환계로서 검토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토지이용계획이나 개발시 오염부하를 줄이고, 자연지역을 보존하고, 개발 및 관리비용을 줄이고 자산가치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를 불투수면을 감소시키는 유역관리방안으로 인식하여 최근 들어 이에 대한 연구와 집행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개선된 단지계획(better site design)" 또는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로 부르는데(이후 BSD/LID로 표시), 이 방법은 총 포장 면적을 줄이고 유출수를 분산하고, 자연적인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4장에서는 각종 불투수면 저감기법의 적용방안을 고찰하였다. 즉, 유역의 물순환을 촉진시키고 오염유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각종 불투수면 저감대책은 토지이용계획에 의해 불투수면 발생이나 영향을 사전에 고려하는 대책과 물리적 시설물을 이용하여 발생된 우수유출수 및 오염물질을 사후에 저감하는 대책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가 있다. 사전 대책은 토지이용계획에서 불투수율이 일정 수준을 넘지 않게 한다든가 또는 단지계획시 단지의 물순환을 고려토록 계획하는 방법이고 사후대책은 불투수면 저감을 위한 투수지대 설치, 저류시설 설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정책제언에서는 유역의 불투수면의 증가에 따른 유출율의 증대, 홍수 유달시간 감소, 침수(내수배제)문제, 첨두유출량 증가, 지하수 침투량 감소, 비점오염원 유출 증가 등의 문제에 대응하여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우수순환을 토지이용계획시부터 고려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단지 설계를 통하여 단지 개발에 의해 만들어진 수문학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수문학적 체계에 대한 피할 수 없는 교란을 완화하거나 복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불투수면을 증가시키는 도시개발 관련 시방서 및 규정이 개선되어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지표면에 내린 빗물의 집수와 배제를 우선으로 하는 관련 규정을 개정하여 지표면의 빗물이 직접 우수받이로 유입되지 않고 주변의 녹지 등 투수성 지역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유출량 저감과 아울러 우수침투에 의한 지하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시범적으로 일부 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투수성 포장을 확대 시행하여 차량통행에 의한 하중이 크지 않는 자전거도로 및 주차장, 단지내 도로 등에 확대 시공하는 방안도 검토하여야 한다. 세 번째는 물순환 대책사업의 확충이다. 유출총량을 감소시키는 대책으로 우수침투와 자연지역의 보전, 지붕우수의 이용 등과 우수저류에 의한 대책으로 지하하천·지하조정지의 설치 등의 대책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우수의 침투촉진과 유출억제 및 재이용은 유역의 물순환을 정상화시킴과 동시 비점오염원의 유출도 저감시켜 유역의 수질, 수량, 수생태 등에 물 환경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