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화진 -
dc.contributor.other 안소은 -
dc.contributor.other 최은진 -
dc.contributor.other 한기주 -
dc.contributor.other 이정택 -
dc.contributor.other 김해동 -
dc.contributor.other 손요환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윤정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9Z -
dc.date.issued 200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5 RE-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8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5-01S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tation Strategies in Korea.pdf -
dc.description.abstract In recent years, parties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daptation policies in addition to the mitig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At the eleventh Conference of Parties (COP-11; Montreal 2005), the five-year work program on adaptation has been adopted, and the main discussion theme of the COP is being shifting from mitigation to adaptation. Adaptation is a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communities, and countries seek to cope with th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and climate variability (UNDP, 2005). For developing countries,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can be an urgent issue because these countries tend to lack the tools to deal with consequent climate risks. Although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s widely acknowledged and practical guidelines to adaptation policy-making is provi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DP and OECD, the issue of adaptation is relatively new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sectoral levels, to identify climate vulnerability, and to develop an integrated and effective nationwide adaptation strategic framework for Korea. The project is set for three-year (2005-2007), and this report pres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s effort. In the first year, the concepts of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and the related negotiation process under the Conven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we examin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relation to impact assessments of and adaptations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e, forest, health, and industry/energy sectors. In the second year, the sectoral assessment will be continued for water and coastal zones. Further,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will be followed by the outcomes from the sector-level impact assessments. In the third year, we will develop integrated and effective adaptation strategies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enhance adaptive capacity for identified vulnerable secto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irst and second year.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yea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agriculture and forest sectors, related statistics and case studies are relatively well established in Korea. In the agricultural sector, it is expected that the boundaries with the potential for cultivation will move toward the north for major crops. The rice yield is reported to increase when CO2 concentration increases in the atmosphere, while decreasing wit the fall of average air temperature (Shin, 2000). However, the effects of crop productivity are largely subject to local conditions other than climate. Agricultural systems are vulnerable to climate extremes such as floods and drought, and the resulting financial damages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after 1980 in Korea. Forest ecosystems and industries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including forest biodiversity, nutrition cycles and productivity,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fire or drought. Jeon et al. (2002) predicted that warm-temperate forests will decline to be replaced by sub-tropical forest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forthcoming) reports similar results, supporting that broad-leaved tree species such as the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Carpinus tschonoskii will increase while the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Fisch. will decrease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 by 1°C in the next 100 years. Heat and heat waves are likely to increase in severity and frequency with increasing average temperatures. In Seoul, an additional 1°C increase from 29.9°C during the summers is estimated to cause a 3% increase in deaths (Kim, 2004). In addition, incidences of diseases related to air pollution such as asthma are increasing among children and elderly people. The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s important. Because heat-related illnesses and deaths are largely preventable through behavioral adaptations including use of air conditioning and increased fluid intake. Assess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uman health is complicated task. It requires significant time to identify clear relationship between diseases and climate variables. In Korea, research on the impact on human health due to climate change is in its infancy. More research is definitely warranted. In the industry sector, research efforts are largely ignored except for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 industries. Because these industries are directly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the reasons to undertake impact assessments are relatively straightforward. However, assessments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re a different story because the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are not clearly defined. It is likely that climate change modifies the behavioral patterns of consumers and producers. However, the direction and the extent of influence is uncertain. Presumably, there will be behavioral changes in the consumption of summer products such as air-conditioning and cold drinks. In addition, the summer recreational industry will conceivably expand. Nevertheless, little empirical research is found in Korea as far as this study is concerned. In the industry sector, impact assessments will be an urgent research agend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기후변화 현상과 기후예측 시나리오 <br> <br> 1. 기후변화 현상 관측을 위한 IPCC 평가 기준 <br> <br> 2. 우리나라의 이상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br> 가. 지상기온의 변동 <br> 나. 대도시의 지상기온의 경향 <br> 다. 강수의 변동 <br> 라. 풍속의 변동 <br> 마. 상대습도의 변동 <br> <br> 3.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br> <br> 4. 지역기후모델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br> <br>제3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에 관한 개요 <br> <br> 1.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의 개념 <br> 가. 영향 <br> 나. 취약성 <br> 다. 적응 <br> <br> 2. 기후변화의 영향 <br> 가. 기후변화의 영향: IPCC 제3차 보고서 요약 <br> 나. 기후변화의 부문별 영향 <br> <br> 3.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방법론 <br> 가. 기후변화 영향평가 개요 <br> 나.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 종 또는 지표 시스템을 활용한 <br> 영향평가 <br> 다. 기후변화 영향평가: 통합적 영향평가 <br> 라. 기후변화 적응 방법론: OECD 적응 분석방법 <br> 마. 기후변화 적응 방법론: UNDP 적응정책체계 <br> <br>제4장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동향 <br> <br> 1. 기후변화협약상의 적응논의 <br> 가. 기후변화협약상의 적응관련 이슈 논의 전개과정 <br> 나. 적응 5개년 작업계획에 대한 각국의 입장 <br> <br> 2. 주요국가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대응체제 <br> 가. 일본 <br> 나. 영국 <br> 다. 미국 <br> <br> 3. 건강/보건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br> 가. IPCC 지역별 건강영향 평가 연구사례 <br> 나. 세계보건기구의 건강영향평가 연구사례: 기후변화로 <br> 인한 질병부담 <br> 다. 국가별 건강영향평가 연구사례 <br> 라. 국가별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기후변화 현상과 기후예측 시나리오 <br>1. 기후변화 현상 관측을 위한 IPCC 평가 기준 <br>2. 우리나라의 이상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br>가. 지상기온의 변동 <br>나. 대도시의 지상기온의 경향 <br>다. 강수의 변동 <br>라. 풍속의 변동 <br>마. 상대습도의 변동 <br>3.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br>4. 지역기후모델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br> <br>제3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에 관한 개요 <br>1.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의 개념 <br>가. 영향 <br>나. 취약성 <br>다. 적응 <br>2. 기후변화의 영향 <br>가. 기후변화의 영향: IPCC 제3차 보고서 요약 <br>나. 기후변화의 부문별 영향 <br>3.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방법론 <br>가. 기후변화 영향평가 개요 <br>나.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 종 또는 지표 시스템을 활용한 영향평가 <br>다. 기후변화 영향평가: 통합적 영향평가 <br>라. 기후변화 적응 방법론: OECD 적응 분석방법 <br>마. 기후변화 적응 방법론: UNDP 적응정책체계 <br> <br>제4장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동향 <br>1. 기후변화협약상의 적응논의 <br>가. 기후변화협약상의 적응관련 이슈 논의 전개과정 <br>나. 적응 5개년 작업계획에 대한 각국의 입장 <br>2. 주요국가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대응체제 <br>가. 일본 <br>나. 영국 <br>다. 미국 <br>3. 건강/보건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br>가. IPCC 지역별 건강영향 평가 연구사례 <br>나. 세계보건기구의 건강영향평가 연구사례: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부담 <br>다. 국가별 건강영향평가 연구사례 <br>라. 국가별 적응대책: 주요도시의 heat warning system 사례 <br>4. 산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br>가. 영향평가 분석방법: 비용-편익분석 <br>나. 영국의 연구사례: 제3차 국가보고서를 중심으로 <br>다. 캐나다의 연구사례 <br>라. 일본의 연구사례: JPCC 보고서를 중심으로 <br>5.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br>가. IPCC 연구사례 <br>나. 일본의 연구사례 <br>다. 영국의 연구사례 <br>라. 호주의 연구사례 <br>마. 캐나다의 연구사례 <br>6. 산림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연구 <br>가. 미국의 연구사례 <br>나. 캐나다의 연구사례 <br>다. 영국의 연구사례 <br>라. 일본의 연구사례 <br> <br>제5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조치 동향 <br>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대응체제 <br>가. 지구온난화 대응체제 <br>나. 영향평가 대응체제 <br>다. 적응대응체제: 제2차 국가보고서 <br>2. 건강/보건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조치 <br>가. 건강/보건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br>나. 건강/보건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조치 <br>3. 산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조치 <br>가. 산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개요 <br>나.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제조업 투입구조 및 산업구조 변화 분석방법 <br>다. 산업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정책에 대한 시사점 <br>4.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조치 <br>가. 우리나라의 농업생태계 <br>나.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농업기상재해 발생현황 <br>다. 국내 농업부문 적응관련 연구동향 <br>라. 한반도 기후변동에 따른 농업부문의 대응방안 <br>5. 산림부문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조치 <br>가.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 <br>나. 한반도 주변 및 국내 관련연구 동향 <br>다. 기후변화에 대한 산림부문 적응정책분석 및 평가 <br> <br>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계획 <br>참 고 문 헌 <br> <br>부록 <br>〈부록 1〉동아시아의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현황 <br>〈부록 2〉미래의 기후변화 예측 <br>〈부록 3〉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네트워크 웹 사이트 <br>〈부록 4〉국내·외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관련 연구 사례 DB <br> <br>Abstract -
dc.format.extent xvi, 38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Climatic changes -
dc.title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Ⅰ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5-01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협약 제2조에 의하면 협약의 궁극적 목적은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기후체계가 인위적 간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수준으로 안정화하는 데 있다. 또한 동 조약은 온실가스 안정화가 생태계가 자연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식량생산이 위협받지 않으며,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시간 프레임 안에 달성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협약의 당사국총회는 협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기 중의 온실가스 안정화, 즉 완화(mitigation)조치에 역점을 두어 왔으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을 지고 있는 선진국에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의무화하는 교토의정서 이행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최근 온실가스 저감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adaptation)의 중요성이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이슈화되었고, 제7차 당사국총회 이후 그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특히 제8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을 위한 지원과 기술이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델리선언(Delhi Ministerial Declaration)이 채택되었고, 제10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조치에 대한 5개년 작업계획이 수립되어 2005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11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되었다. 따라서 적응은 온실가스 저감과 함께 기후변화협약의 2개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후에도 쟁점 이슈로써 논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적응은 개인, 공동체, 또는 국가차원에서 극단적인 기상재해를 포함한 모든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대처해가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의 위험에 탄력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여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국가경제가 기후변화 영향에 민감한 농업, 수자원 등에 의존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적응은 위급한 이슈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대책위원회’를 설립하여 기후변화협약 대응 종합대책을 3차에 걸쳐 마련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온실가스 저감에 치중하고 있어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분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그동안 국내 관련연구는 특정부문에 대하여 단기적이고 기초과학차원의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적응정책과 연계하여 수행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그 결과 기후변화 대응의 큰 축인 적응전략 마련을 위한 국가차원의 종합대응책 수립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의 부문별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취약부문을 확인하며, 취약부문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이고 비용효과적인 기후변화 국가 적응정책 시스템 구축에 있다. 본 연구는 2005, 2006, 2007년에 걸쳐 3년 동안 연차적으로 수행되며, 아래 그림과 같은 연구추진계획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사실은 물론,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수자원, 생태계(농업생태계, 산림생태계), 해양/해안, 산업/에너지, 보건/건강부문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 중 1차년도(2005)에는 기후변화 현상, 영향 및 적응에 대한 개념 소개와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에 대한 국내·외 논의동향 파악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농업생태, 산림생태, 산업/에너지, 보건/건강의 4개 부문을 중심으로 영향평가 관련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2차년도(2006)에는 수자원, 해양/해안부문의 관련연구 동향파악과 함께 1차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의 취약부문 확인과 평가를 위한 구체적 기법을 마련하고 한반도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마지막 3차년도(2007)에는 1차, 2차년도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 취약부문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우리나라의 적응정책 프레임워크를 마련한다. 특히 확인된 취약부문의 피해저감을 위한 부문별 적응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적응대책의 우선순위를 밝혀내며, 적응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1차년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문별 영향평가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학제적 접근을 원칙으로 하고 부문별로 전문성을 갖는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협동연구의 형태로 과제가 추진되었다(위의 그림참조). 5개 전문기관, 즉 계명대(기후평가), 농업과학기술원(농업), 고려대(산림/임업), 산업연구원(산업/에너지), 보건사회연구원(건강/보건)과의 협동연구를 통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결과, 국내에서는 관련통계 구축정도 뿐만 아니라 관련연구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은 미래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2-3차년도 연구에 토대가 되므로 영향평가에 대한 현황파악은 2차년도에도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생태계 영향평가의 일부로 진행된 농업 및 산림생태계 부문은 다른 부문에 비해 비교적 자료축적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농업생태계 부문의 영향평가연구 검토결과를 보면, 기후변화가 주요 과수의 만개일, 지역별 서리발생일, 벼의 이앙기 및 출수기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작물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호우나 태풍의 빈도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액 역시 198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농업기후학적 측면에서 작물재배 가능지역이 대부분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의 작물별 재배적지에서의 생산성과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1981; 윤성호와 이정택, 2001; 서형호, 2003; 심교문 외, 2004; 김영국 외, 2005). 현재 농업부문에는 기후변화 관련연구 수행을 위해 농촌진흥청 산하에 ‘기후변화협약 특별대책단’이 구성되어 연구사업을 기반구축사업, 부문저감사업, 적응기반사업으로 구분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 중 적응기반사업은 농업 기상재해를 포함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후변화가 산림/임업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 및 지역에 따라 그리고 연구 혹은 모니터링의 수준과 기간에 따라 매우 다르다. 그러나 크게 산림생태계, 산림생장 및 생산성, 산림재해, 임업에의 영향으로 구분지어 생각할 수 있다. 국내 관련연구를 살펴보면 국립산림과학원의 자체연구사업과 과학기술부 연구사업으로 식생대 이동, 산림생산성 변화예측, 생물계절변화, 생물다양성 예측 등이 수행되었으며, 일부 적응전략도 제시된 바 있다(신준환·임종환, 200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는 한반도식생대 변화를 예측한 바 있고(전성우, 2002, 2003), 일부 학계에서 특정지역의 생태계에 대해 민감성과 취약성을 평가한 바 있다(공우석, 1999, 2000). 한편 정부차원에서는 산림청이 탄소흡수원 10개년 계획(2005.3)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동 계획은 기후변화협약대응 제3차 종합대책과 환경부와 기상청이 공동으로 구축한 한국기후변화협의체(Korea Panel on Climate Change, KPCC)와 연계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탄소흡수원 10개년 계획에는 산림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역할 증대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태계 영향평가 및 적응 관련연구와 모니터링 체계구축 강화도 중요한 연구 분야로 포함되어 있다. 특히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통한 적응정책 수립은 산림부문에 있어서 지속가능발전의 틀 안에서 적응을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보건부문의 영향평가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제한적이다. 특히 기후변화와 질병발생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은 상당한 기간과 통계학적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연구에 대한 장기적인 로드맵 작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집단별 유병(有病) 현황을 중심으로 기후변화가 건강/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분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오염 증가로 호흡기계통의 질환이 취약계층인 노인과 어린이를 중심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실제로 2000년 이후 천식 및 아토피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03). 한편, 일반적으로 열 스트레스로 인한 사망은 최고기온이 나타난 1-2일 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우리나라 서울의 경우 29.9°C에서 1°C 상승할 때마다 사망률이 3% 증가하고 혹서가 7일 이상 지속될 때 사망률은 9%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김소연, 2004). 산업부문에 있어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적응관련 국내 사례연구 역시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문의 영향평가 및 적응 방법론의 개요를 설명하고 관련연구에 대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지금까지 기후변화로 인해 산업부문이 받는 영향평가는 대부분 농업, 임업, 수산업과 같은 일차산업에 국한되어 왔으며,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에 미치는 영향은 그 방향과 정도가 불명확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제조업의 경우 기후변화는 최종 소비재 특히 냉방장치, 청량음료, 여름의류와 같은 여름상품에 대한 소비패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소비패턴의 변화는 곧 생산과정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후변화는 건설업 및 서비스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여름철 레크리에이션 산업이 평균기온 상승으로 보다 활기를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문에 있어서는 적응정책 수립보다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어디서,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떤 경로로 발생하는지에 대한 이해와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2006년도의 2차년도 연구는 1차년도 연구에서 제외된 수자원, 해양/해안부문의 관련연구 동향파악과 함께 1차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의 취약부문 확인과 평가를 위한 구체적 기법을 마련하고 한반도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우선 IPCC와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권장하는 취약성 평가방법을 조사하는 동시에, 취약부문 선정을 위한 기준을 검토하고 한반도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이끌어내는 작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미래 기후변화 현상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지역기후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역기후모델은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접목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자연생태계와 같이 미세지형이나 기후에 민감한 부문은 그 영향이 국지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지역기후모델의 활용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2차년도에는 2005년 12월 제11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바 있는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조치에 대한 전 지구적 차원의 ‘5개년 작업계획’의 전개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본 연구와 연계, 추진할 예정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Wha-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