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경관가치평가와 관리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광임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최재용 -
dc.contributor.other 박재근 -
dc.contributor.other 박소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0Z -
dc.date.issued 200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5 RE-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8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5-04S Estim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Value and Management Policy.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Korean land development policy, characterized by its supply-oriented policy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has driven rapid economic development. Yet, it has a negative side effe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across the country. Especially, when the quasi-farmland system was introduced with deregulation of agricultural land development in the late 1990s, this deregulatiozz resulted in building restaurants, motels and pensions, and in construction of roads in areas with favorable natural landscapes. Numerous development projects have damaged agricultural landscapes and consequently, agricultural areas near city areas came to lose the amenity and their traditional culture. Despite the fact that agricultural landscape is irreversible due to the nature of a scenic view, precautionary policies for conserving agricultural landscapes in Korea have not developed well. Meanwhile, social demand for well-being and expectation of rural environment have greatly increased, and thi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social needs and expectations on rural developmental policies. This study, thus, evaluates esthetic and economic values of agricultural landscape and proposes environmental policy for con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For that, we firstl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s and surveyed on the foreign polices for agri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Secondly, we estimated scenic and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landscapes based on the public preference survey. Lastly, we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policy on agricultural landscapes conservation. The public preference survey, which became a basis for the evaluation of aesthetic value, consists of 2 groups: one with a group of 50 people whose majors are landscape or landscape-related studies, and the other with a group of 68 people who did not study either of these. Respondents are asked to rank 30 different photos of rural areas in Korea. Among these, 9 photos of building, road, artificial waterways and power transmission tower-known to damage scenic views in suburban areas the most- were modified and asked again. In this survey, respondents ranked on a scale of -3 to 3 based on the shown beauty in each pictur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s of two groups are almost identical except group 3 or group 4 photo out of 30. Respondents who majored in landscapes or related field of study show more confidence with their preferences with clearer reasons than who did not. Responses to the modified photos are also similar between those two groups. Over 60% of respondents believes that agricultural landscapes are damaged, and the inappropriate use of land is considered as a main cause. Planning without landscape consideration in the first stage of the project, and absence or insufficiency of the related institutions are also regarded as one of the reasons. To the question of how to overcome the present situation, participants respond that enactment of landscapes rules in the Si, Do levels, enactment of independent law in landscapes and activation of landscapes deliberation systems are important. We surveyed 1,200 people nationwide to evaluate economic values of agricultural landscape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e presented the photos, ranked high in the aesthetic value evaluation as an aim to be achieved, and asked whether they are willing to pay for the con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The results of Logit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variables such as family member in farm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 living experiences in the rural areas, affect public preference. To be more specific, the likelihood to agree to make a financial contribution is higher when the questionnaire is better understood. The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landscapes is calculated as average 8,412 won/month/household and maximum 11,637 won/month/household, but when their willingness to pay is reflected, this is converted to 100,944 won/year/household and 139,644 won/year/household respectively. When the number of national households is considered, the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landscape rises to 1,452,725 million won/year at average price, and 2,009,673 million won/year at maximum price. If we use the semi-log function, minimum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landscape is average 7,349 won/month/household and maximum 10,657 won/month/household. This is converted to 88,188 won/year/household and 127,884 won/year/household respectively. The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landscapes goes up to 1,269,149 million won/year at average price, and 1,840,430 million won/year at the maximum price when the number of national households are ref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First, the improvement of land use planning system in agricultural area is critical in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areas. Designation of land use by the characteristics of land, land reservation for landscapes conservation, and a distribution of the guidance on landscapes conserv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regional government to participate in agri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to reflect environmental values on rural land use planning, and to differentiate the landscape management polic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br>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연구의 범위 <br> 나. 연구의 방법 <br> <br> 3. 선행연구 <br> <br>제2장 농촌경관 현황 및 관리의 문제점 <br> <br> 1. 농촌경관 개념의 이해 <br> 가. 농촌경관의 개념 및 정의 <br> 나. 경관의 구성인자 <br> 다. 자연경관자원의 구분 <br> <br> 2. 국내 농촌경관 현황 <br> 가. 산간부 농촌경관 현황 <br> 나. 평야부 농촌경관 현황 <br> <br> 3. 농촌경관 관리 정책 현황과 문제점 <br> 가. 농촌경관 관련법률 <br> 나. 농촌경관 관련제도 <br> <br>제3장 외국의 농촌경관 관리제도 및 농업 환경정책 <br> <br> 1. 외국의 농촌경관 관리제도 <br> 가. 영국 <br> 나. 일본 <br> 다. 미국 <br> 라. 외국 경관보전관리제도의 시사점 <br> <br> 2. 선진국의 농업 환경정책 <br> 가. 미국 <br> 나. 핀란드 <br> <br>제4장 농촌경관의 심미적 가치 평가 <br> <br> 1. 평가방법 <br> 가. 평가대상지 선정 <br> 나. 사진촬영 <br> 다. 설문방식 <br> 라. 설문용 사진선정 <br> 마. 사진 수정 <br> <br> 2. 설문 설계 및 시행 <br> 가. 설문지 구성 <br> 나. 농촌경관에 대한 친근성·농촌다움·선호도 평가 <br> 다. 농촌경관에 관한 인식 <br> 라. 표본설계 및 본조사 <br> <br> 3. 설문조사결과 분석 <br> 가. 친근성, 농촌다움, 선호도 평가 <br> 나. 군집(Cluster) 분석 <br> 다. 상관관계 <br> 라. 사회경제적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 <br> 마. 수정사진에 대한 경관미 평가 <br> 바. 농촌경관 훼손 주요요인 및 실천과제 <br> <br>제5장 농촌경관의 경제적 가치 평가 <br> <br> 1. 추정 가치의 종류 <br> 가. 사용가치 <br> 나. 비사용가치 <br> <br> 2. 가치추정 방법의 선정 <br> <br> 3. 설문 설계 및 설문 조사 시행 <br> 가. 설문지 구성 <br> 나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 국문요약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연구의 범위 <br> 나. 연구의 방법 <br> 3 선행연구 <br> <br> 제2장 농촌경관 현황 및 관리의 문제점 <br> 1. 농촌경관 개념의 이해 <br> 가. 농촌경관의 개념 및 정의 <br> 나. 경관의 구성인자 <br> 다. 자연경관자원의 구분 <br> 2. 국내 농촌경관 현황 <br> 가. 산간부 농촌경관 현황 <br> 나. 평야부 농촌경관 현황 <br> 3. 농촌경관 관리 정책 현황과 문제점 <br> 가. 농촌경관 관련법률 <br> 나. 농촌경관 관련제도 <br> <br> 제3장 외국의 농촌경관 관리제도 및 농업 환경정책 <br> 1. 외국의 농촌경관 관리제도 <br> 가. 영국 <br> 나. 일본 <br> 다. 미국 <br> 라. 외국 경관보전관리제도의 시사점 <br> 2. 선진국의 농업 환경정책 <br> 가. 미국 <br> 나. 핀란드 <br> <br> 제4장 농촌경관의 심미적 가치 평가 <br> 1. 평가방법 <br> 가. 평가대상지 선정 <br> 나. 사진촬영 <br> 다. 설문방식 <br> 라. 설문용 사진선정 <br> 마. 사진 수정 <br> 2 설문 설계 및 시행 <br> 가. 설문지 구성 <br> 나. 농촌경관에 대한 친근성.농촌다움.선호도 평가 <br> 다. 농촌경관에 관한 인식 <br> 라. 표본설계 및 본조사 <br> 3. 설문조사결과 분석 <br> 가. 친근성, 농촌다움, 선호도 평가 <br> 나. 군집(Cluster) 분석 <br> 다. 상관관계 <br> 라. 사회경제적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 <br> 마. 수정사진에 대한 경관미 평가 <br> 바. 농촌경관 훼손 주요요인 및 실천과제 <br> <br> 제5장 농촌경관의 경제적 가치 평가 <br> 1. 추정 가치의 종류 <br> 가. 사용가치 <br> 나. 비사용가치 <br> 2. 가치추정 방법의 선정 <br> 3. 설문 설계 및 설문 조사 시행 <br> 가. 설문지 구성 <br> 나. 농촌경관의 현황과 개선 목표 수준 <br> 다. 지불수단과 제시금액 <br> 라. 표본설계 <br> 마. 예비조사 <br> 바. 본 조사 <br> 4. 설문 조사 결과 요약 <br> 가.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 <br> 나. 농촌경관의 가치 <br> 다. 농촌경관의 구성 요소와 훼손하는 요소 <br> 라. 농촌 경관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 <br> 마.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br> 5. 농촌 경관의 경제적 가치 추정 <br> 가. 추정 모형과 변수 선정 <br> 나. 지불의사함수 추정 결과 <br> 다. 지불의사금액 추정 <br> <br> 제6장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br> 1. 농촌경관의 가치 평가 결과 요약 <br> 가. 심미적 가치평가 <br> 나. 경제적 가치평가 <br> 2. 경관을 고려한 농촌 토지 이용 정책 추진 <br> 가. 농촌토지이용에 대한 계획체계의 정비 <br> 나. 특성별 토지용도 지정 <br> 다. 경관 보전 토지유보 <br> 라. 경관 보전 지침과 우수 사례 보급 <br> 마. 지원 체계 마련 <br> 바. 도시 주변 농촌 경관 관리 - 환경친화적 개발 <br> 3. 농촌 경관관리에 지자체의 참여 유도 <br> 4. 농촌 토지이용계획에 환경 가치 반영 <br> 5. 농촌 지역 특성별 경관 관리 정책의 차별화 <br> <br> 참고문헌 <br> 부록 <br> [부록1] 프랑스의 농촌경관 관리정책 <br> [부록2] 경관현황 조사지역 선정 절차 <br> [부록3] 국내 경관 관련 주요 조례 현황 및 예시 <br> 자연경관보전조례 예(마산시) <br> 경관형성조례 예(양구군) <br> Abstract -
dc.format.extent xiii, 18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Regional planning -
dc.title 농촌의 경관가치평가와 관리 방안 -
dc.title.alternative 심미적·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Estim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value and management policy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5-04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p우리나라의 근대화 과정 속에 토지 정책은 공급위주의 국토개발 정책이 특징이며, 이러한 정책기조는 급속한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했지만 자연환경과 쾌적한 환경을 훼손시키는 등 부정적 영향도 컸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준농림지가 무분별하게 개발되는 과정에서 자연경관이 양호한 지역 곳곳에 택지 개발, 도로, 음식점, 러브호텔 등이 들어섰다. 크고 작은 개발사업들은 농촌경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자연경관과 자연스카이라인 훼손의 주범이 되었고, 결국 많은 농촌지역이 고유의 쾌적함을 잃게 되었다. 농촌경관은 인공적 요소와 함께 자연적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며 불가역성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훼손된 이후에는 사실상 복원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농촌경관을 훼손하는 개발사업은 훼손이후의 문제점이나 후손이 사용하는 데 피해의 가능성을 신중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사회에는 농촌경관의 훼손을 예방할만한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반면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농촌 환경의 유지 및 보전에 대한 기대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개발정책에 높은 삶의 질과 환경보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경관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외 농촌경관관리를 위한 법률 및 제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농촌경관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호도 조사 결과를 기초로 전국적인 수준에서 농촌 경관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심미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농촌경관 관리를 위한 환경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촌경관 현황과 관리제도 농촌경관은 자연생태과정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즉 농촌경관이란 시각적 가치나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느낄 수 있는 농촌지역 토지와 그에 부속된 지표상의 자연경관요소 등이 어우러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농촌경관은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을 비롯해 [농어촌정비법], [농업.농촌기본법], 그리고 경관관련 조례와 같은 다양한 법률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제도 대부분은 우수한 자연경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농촌경관과 같은 소규모 특정경관에 대해서는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지자체 단위에서는 효과적인 경관관련 조례 이행을 위해 근거법을 명확히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상과 같은 농촌경관 관련 법률 외에도 [논농업직불제]와 [경관보존직불제] 같은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들 제도는 논의 공익적 기능 유지를 위해 정부가 농민들에게 보조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영국에서는 자연경관 보전을 위해 환경.식량.지역개발부(DEFRA)가 중심이 되어 환경관리인제도, 경관우수지역제도, 환경민감지역제도, 전원보전사업과 같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영국 경관보전정책은 이해당사자 참여를 강조하고, 농촌지역과 자연지역을 포괄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민간단체들도 자연경관보전에 큰 몫을 차지한다. 미국에서는 내무성 국립공원청과 토지관리국이 경관관리의 중심주체이다. 시각자원관리 및 지역지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각 주 정부는 연방정부와 별개로 지역별 경관보전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일본은 환경성과 농림수산성이 공동으로 경관협의회, 경관인정제도, 경관협정을 운영한다. 지역의 주체성과 독립성을 중시하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자연경관보전조례를 마련하고 있다. 2) 농촌경관의 심미적 가치 평가 농촌경관의 심미적 가치평가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농촌경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경관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설문조사의 표본은 전공자 50명과 비전공자 68명으로 총 118명으로 구성하였다. 전공자 그룹과 비전공자 그룹을 구분한 이유는 그룹간에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우선 국내 일반적인 농촌경관 유형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경관사진을 찍었으며 이들 사진을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농촌경관 대표성을 가지는 30장의 사진을 선택하여 설문조사에 활용했다. 즉 응답자들에게 선별한 사진 30컷을 한 컷씩 제시하면서, 친근성, 농촌다움, 선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농촌경관 훼손 요인 중 가장 대표적인 건축물, 도로, 인공하천, 송전탑이 담긴 사진을 수정하였다. 그리고 수정 전 사진과 수정 후 사진을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7점 척도(-3에서 3까지)로 아름다움과 추함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몇몇 사진을 제외하고는 전체 사진에 대한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응답에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다만 전공자는 비전공자에 비해 선호 또는 비선호를 명확히 밝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이나 도로와 같은 인공시설물에 대한 평가도 전반적으로 일치했다. 단지, 인공하천에 대한 선호도만 전공자는 -0.8로 평가한 반면, 비전공자는 0.26으로 평가함으로써 선호가 나뉘었다. 농촌경관관리에 대해서는 훼손됐다고 응답한 비율이 60%를 넘었고 주요원인으로 부적절한 토지이용을 선택했으며, 세부원인으로는 경관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과 관련제도의 부재와 미비를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시.도 차원의 경관조례 제정, 경관에 관한 독립 법 제정, 경관심의제도 활성화 순으로 응답하였다. 3) 농촌경관의 경제적 가치 평가 농촌경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전국 15개 시도를 대상으로 총 1,200명의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경제적 가치 추정 방법은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택하였고, 목표수준으로는 심미적 가치평가 결과에서 선정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양호한 농촌경관 사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사진과 같은 수준으로 농촌경관 유지 또는 보전하기 위해 농촌경관보전기금을 마련하고자 할 때, 제시금액을 기꺼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를 질문했다. 지불의사함수를 Logit 분석을 통해 회귀분석 결과 소득, 직계가족의 농업 종사 여부, 설문 이해도, 농촌거주 경험 등이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직계가족이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 제시금액을 수용할 확률이 높고, 농촌에 거주한 경험이 많을수록 역시 제시금액을 수용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득과 설문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농촌경관의 가치는 평균값 기준 8,412원/월/가구이며,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면 11,637원/월/가구이다. 이를 연간 지불의사로 환산하면 평균값 기준 100,944원/년/가구 ~ 최대값 기준 139,644원/연/가구이다. 가구당 연간 이용가치를 전국 가구수로 합산하면 농촌 경관 보전의 가치는 1,452,725 백만원/연이다. 제시금액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면 농촌경관 보전의 가치는 2,009,673 백만원/연이 된다. 세미로그형 함수를 이용하여 농촌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면 최소 7,349원/월/가구 ~ 최대 10,657원/월/가구이다. 이를 연간 이용가치로 환산하면 최소 88,188원/연/가구 ~ 최대 127,884원/연/가구이다. 전국 가구 수를 곱하여 전국적인 가치로 환산하면 평균 1,269,149백만원/연 ~ 최대 1,840,430백만원/연이 된다. 4) 농촌경관 관리와 환경정책제언 농촌 경관에 대한 심미적.경제적 가치를 도출한 결과 국민들은 양호한 경관에 대한 선호가 명백하고 이를 유지.보전하기 위해 경제적 비용을 부담할 의사도 구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수요를 바탕으로 할 때 농촌 개발에서 농촌 경관을 유지 보전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정책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농촌토지이용에 대한 계획체계의 정비, 특성별 토지용도 지정, 경관 보전 토지유보, 경관 보전 지침과 우수 사례 보급, 규제에 대한 지원 체계 마련, 경관가치를 고려한 도시 주변 농촌 경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외에도 농촌경관관리에 지자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농촌 토지이용계획에 환경가치를 반영하며, 농촌 지역 특성에 맞도록 경관관리정책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wang-Yi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