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회성 -
dc.contributor.other 전대욱 -
dc.contributor.other 정영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0Z -
dc.date.issued 200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5 RE-0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8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기본_2005_09_정회성.pdf -
dc.description.abstract It is normally accepted that SDIs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comprises all of our concerns related to our economy, society and institutions as well as the environment.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in past years are separately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measure how far communities progress toward growth or development in each respective area. However, the indicato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SDIs with introduction to the 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fined by the Brundtland Commission in the early 1990’s. Recently, SDIs-related research tends to aim at not only suggesting a more-sophisticated list after collecting appropriate indicators, but also investigating causalities between indicator variables and elaborating a holistic and systematic model that makes it possible to assess longer-term development and social evolu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performs an empirical case study on SDIs. The cases covers national-, regional- and local-level SDIs in foreign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U. K., Germany, Japan, Taiwan and U. S., as well as Korea. The result reveals that SDIs are considerably different by the levels and the locations although the ways to view sustainable development are quite similar in most communities. This difference is attributed to the consequence of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and society in each community distinguished from ones in others. This argument seems to be available in the Korean SDIs, which at a national level have been developed mainly by KPCSD (Korean Presidential Co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hich at regional/local level are by governmental agencies and LA21 (Local Agenda 21) bodies. This study furthermore suggests for the local executive bodies a set of guidelines desired during the process of introduction to and operation of SDIs, based on the holistic and systematic model mentioned above. The holistic and systematic model is abundant of feedback between econom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and therefore indicator developers and operators should make sense of the local environment, coupled by economic and social components, and consider the dynamics of the feedback. In the stage of applying SDIs and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ies, local bodies should recognize it gets feedbacks from any political actions, and SDIs takes a role to find policy leverage so a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regions/localities.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among the indicators in the cases and the statistics available, and present a comprehensive list of core indicators as a prototype SDI set of Korean regions/localities. Some candidate indicators are firstly selected in the list after a comparison/contrast analysis of the cases mentioned above, and then the list are condensed into one with fewer and more representative indicators by the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in the statistical factor analysis. The list is then refined to complete the prototype set of core indicators by consultation from field experts engaged in LA21 and to include more future-oriented indicators. It is sure that, in case of being applied to a specific community, these prototype SDIs should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loc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the community. It is obvious that the subsystems and their coupling structures in a community are different from ones in others. For that reason, this study firstly categorizes regions/locatities into some characteristic groups, and then derives more detailed indicators from the prototype set by each characteristic group. These detailed-indicator sets also should be adjusted into more practical one in case of application, the prototype and its detailed sets for characteristic groups should be regarded as generic indicators that are generally acceptable for average region/localities in Korea. Conclusively, this study illustrates and recommends local executive bodies to try to find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instruments with elaborating a generic system dynamics model of which components are the prototype SDI variables. In this model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achieved only by the balanced growth of all subsystems, such as economy, society, institution and environment, because every subsystem gets feedback from each other. The hole system could be collapsed if one of the subsystems fails to function properly, and sustainability can be regarded as a long-term stability of the hole system coupled by its subsystems. Therefore, local bodies are strongly recommended to adopt such a way of system thinking and to evaluate, with a indicator-system model/causal loop diagram, their own sustainability during the utilization of the SDI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장 <br> <br>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br> 가. 연구의 배경 <br> 나. 연구의 필요성 <br> <br> 2. 연구의 목적과 구성 <br> <br>제2장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의 이론적 고찰 <br> <br> 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개념 및 전개 <br> 가. 지표와 지수의 개념 <br> 나. 지속가능발전지표의 발달과정 <br> <br> 2.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선행지표 <br> 가. 환경 혹은 생태변수 위주의 접근 <br> 1) 이론적인 측면 <br> 2) 주요 지표모형 <br> 가)1차생산성 지표 <br> 나) 생태족적 <br> 다) 에머지 <br> 나. 사회지표와 환경의 질 지표 <br> 1) 대두배경 <br> 2) 주요 지표 <br> 가)사회지표 <br> 나) 환경질 지표 <br> 다) 삶의 질 지표 <br> 다. 경제지표 수정형의 접근 <br> 1) 개요 <br> 2) 주요 경제지표 수정형 지표 사례 <br> 가)녹색국내총생산 <br> 나) 지속가능경제복지지수 <br> <br> 3. 지속가능발전 평가지표와 지수 <br> 가. 개요 <br> 1) 지속가능한 발전론의 특징과 평가지수 <br> 2) 지속가능발전지표와 지수의 개념 <br> 가)지속가능발전지표 <br> 나) 지속가능발전지수 <br> 나.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전제조건 <br> 다.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접근방법 <br> 라.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시스템적 접근 <br> 1) 시스템 접근의 특징 <br> 2) OECD의 PSR 구조와 UNCSD의 DSR 구조 <br> 가)OECD의 PSR 구조 <br> 나) UNCSD의 DSR 구조 <br> 다) PSR 구조의 환경지속성지수(ESI) <br> 3) 체계분석적인 접근모형 <br> 가) 지속가능사면체 모형 <br> 나) 지속가능성 시스템 모형 <br> <br> 4. 종합평가 <br> <br>제3장 지역 지속가능발전 평가지표의 주요 사례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장 <br> <br>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br>가. 연구의 배경 <br>나. 연구의 필요성 <br> <br>2. 연구의 목적과 구성 <br> <br>제2장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의 이론적 고찰 <br> <br>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개념 및 전개 <br>가. 지표와 지수의 개념 <br>나. 지속가능발전지표의 발달과정 <br> <br>2.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선행지표 <br>가. 환경 혹은 생태변수 위주의 접근 <br>1) 이론적인 측면 <br>2) 주요 지표모형 <br>가)1차생산성 지표 <br>나) 생태족적 <br>다) 에머지 <br>나. 사회지표와 환경의 질 지표 <br>1) 대두배경 <br>2) 주요 지표 <br>가)사회지표 <br>나) 환경질 지표 <br>다) 삶의 질 지표 <br>다. 경제지표 수정형의 접근 <br>1) 개요 <br>2) 주요 경제지표 수정형 지표 사례 <br>가)녹색국내총생산 <br>나) 지속가능경제복지지수 <br> <br>3. 지속가능발전 평가지표와 지수 <br>가. 개요 <br>1) 지속가능한 발전론의 특징과 평가지수 <br>2) 지속가능발전지표와 지수의 개념 <br>가)지속가능발전지표 <br>나) 지속가능발전지수 <br>나.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전제조건 <br>다.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접근방법 <br>라.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시스템적 접근 <br>1) 시스템 접근의 특징 <br>2) OECD의 PSR 구조와 UNCSD의 DSR 구조 <br>가)OECD의 PSR 구조 <br>나) UNCSD의 DSR 구조 <br>다) PSR 구조의 환경지속성지수(ESI) <br>3) 체계분석적인 접근모형 <br>가) 지속가능사면체 모형 <br>나) 지속가능성 시스템 모형 <br> <br>4. 종합평가 <br> <br>제3장 지역 지속가능발전 평가지표의 주요 사례 <br> <br>1.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사례: 해외사례 <br>가. 개관 <br>나. 영국 <br>1) 국가 동향 <br>2) 광역 혹은 지역지표 <br>3) 런던시의 지표 <br>다. 미국 <br>1) 국가지표 <br>2) 시애틀 <br>3) 산타모니카 <br>라. 일본 <br>1) 국가지표 <br>2) 가나가와현 <br>마. 독일 <br>1) 국가지표 <br>2) 베를린 <br>바. 대만 <br>1) 국가지표 <br>2) 도시지표 <br> <br>2. 지역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사례: 국내추이 <br>가. 개관 <br>1) 발달과정 <br>2) 국가 지속가능성지표의 개발 동향 <br>나. 서울특별시 <br>1) 서울특별시청의 발전지표 <br>2) 서울의제21의 의제지표 <br>다. 대전광역시 <br>1) 대전광역시청의 발전지표 <br>2) 대전의제21의 의제지표 <br>라. 경기도 <br>1) 경기도청의 발전지표 <br>2) 경기의제21의 의제지표 <br>마. 수원시: 수원의제21 의제지표 <br>바. 안산시: 안산의제21 의제지표 <br>사. 충남 연기군: 연기의제21 의제지표 <br> <br>4. 평가와 시사점 <br> <br>제4장 지역 지속가능발전지표체계 개발과 운용 <br> <br>1. 체계론적인 관점에서의 지속가능발전지표 <br>가. 체계의 구성인자와 상호작용 <br>나. 체계의 동태성과 진화경로 <br>1) 체계의 제약조건과 접근가능영역 <br>2) 동태적 진화경로와 본원적 행태 <br> <br>2. 지역의 지속가능성 체계분석 <br>가. 지속가능발전지표 수립의 개요 <br>나. 지속가능발전지표 수립의 준비단계 <br>1) 지표작업 계획 <br>2) 지표작업 참여집단 선정 <br>3) 작업집단 구성 <br>다. 지역발전 비전 및 목표설정 <br>1)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비전과 목표 <br>2) 해당지역의 생태-경제체계 분석 <br>3) 지속가능 목표의 설정 <br>라. 지속가능성 지표의 선정과 분석 <br>1) 지표의 선택과 자료수집 <br>2) 핵심지표로의 압축과 지수화 <br>3) 지역 지속가능 체계모형 구축 <br>마. 진단과 활용 <br>1) 목표달성도 진단 <br>2) 평가와 환류 <br> <br>3.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체계모형 개발 및 활용절차 <br>가. 개요 <br>나. 지역의 생태-경제 체계의 구조 <br>다. 지표의 설정 및 자료조사 <br>라. 지표간 인과지도 작성 <br>마. 체계모형의 구축과 활용 <br>바. 본 연구의 접근 <br> <br>제5장 지역 지속가능발전지표 체계모형의 개발과 활용 <br> <br>1. 개요 <br> <br>2. 지역의 지속가능발전 지표의 선정 <br>가. 지역의 생태-경제 구조파악과 시스템 영역 <br>나. 지표의 선정을 위한 사례 비교분석 <br> <br>3. 핵심지표 후보군 구축을 위한 통계분석 <br>가. 자료원의 조사 <br>나. 요인(주성분)분석 결과 <br>다. 핵심 기본지표체계의 제안 <br>라. 지속가능지수화의 방법과 활용 <br> <br>4.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속가능지표의 작성 <br>가. 개요 <br>나. 광역자치단체1: 광역시 <br>1) 지역특성 <br>2) 지속가능지표체계 (안) <br>다. 광역자치단체2: 도 <br>1) 지역특성 <br>2) 지속가능지표체계 (안) <br>라. 기초자치단체1: 시 <br>1) 지역특성 <br>2) 지속가능지표체계 (안): 도농통합시 <br>3) 지속가능지표체계 (안): 공업도시 <br>마. 기초자치단체2: 군 <br>1) 지역의 특성 <br>2) 지속가능지표체계 (안) <br> <br>5. 지속가능발전 체계 동태모형의 개발 <br>가. 동태적 인과관계와 인과지도 <br>나.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성 <br>다. 시스템행태와 정책지렛대로서 지속가능발전지표 <br>1) 사회경제적 진화와 정책수단의 탐색 <br>2) 환경생태적 진화와 정책수단의 탐색 <br> <br>제6장 요약 및 결론 <br> <br>1. 연구결과의 요약 <br> <br>2. 향후 과제와 발전방향 <br> <br> <br>참고문헌 <br> <br>〈부록 1〉 본 연구의 지표체계 도출을 위한 사례비교 <br>〈부록 2〉 우리나라 지속가능 발전지표의 자료수집 결과 <br>〈부록 3〉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요인분석과 대표지표 선정 <br>〈부록 4〉 지속가능발전 지표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델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xiv, 23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Sustainable development -
dc.title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regionallocal SDIs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5-09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는 경제지표, 사회지표, 그리고 환경지표로 발달하여온 사회의 성장이나 발달을 측정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그러다가 1990년 초부터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대두되면서 지속가능발전지표는 환경용량 즉 생태계의 수용용량이라는 개념의 정립과 함께 다양한 사회발전을 포괄하는 지표로 개발되었다. 그런데 최근의 동향은 이러한 개별지표의 조합을 단순 개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 지표간의 상호작용관계를 모형화하여 인과관계를 밝혀서 장기적인 사회변화를 평가해 보려는 시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인 발달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지방단위 지속가능한 발전지표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여 보았다. 영국, 미국, 일본 등의 국가들은 국가단위의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개발과 함께 지방단위 특히 지방자치단체 나름의 지속가능발전지표를 개발하여 정책성과를 평가하는 시도를 하고 있었다. 국가와 지방은 그 업무의 성격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 비록 환경-경제-사회를 포괄적으로 보는 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지표의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었으며, 지자체별로 고유의 특성이 가미된 지표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된 지표를 준비하기 위해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며 몇몇 지방자치단체도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의 지속가능발전 지표체계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지침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우선 지속가능발전 지표체계는 체계론적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하였다. 국가나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이라 함은 그 대상의 환경-경제-사회 체계가 상호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장기적으로 진화하여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환경-경제-사회체계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품질이 나이진다면 지속가능발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장기적으로 이러한 하부구조간의 균형상태가 불안정해 지고 어느 한 하부체계가 그 본질적인 특성을 상실하고 붕괴되면 지속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접근방법을 지표의 수립준비, 비전과 목표의 수립, 지표의 선정과 분석, 그리고 진단과 활용 등의 단계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통상의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체계는 이러한 절차로 마무리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이라는 것은 장기적인 지역의 체제적인 안정성으로 파악하여야 한다고 보아 지역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체계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과정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체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생태-경제 체계를 우선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표를 선정하고 지표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 후 지표간의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계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적합하다고 인식되는 경우 이를 활용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론에 따라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지표 체계모형을 실재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범적인 시도를 하였다. 우선 각종 사례연구에서 활용된 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적정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 지표간의 대표성을 평가하기 위해 요인(주성분)분석을 하여 특정분야를 표현하는 핵심인자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지표체계를 가지고 지역의 활동가, 지표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평가하는데 핵심이 되는 지표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물론 여기에서 제출된 지표안은 완전한 것이 아니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리 구성되어야 할 것이지만 우선 핵심적인 지표체계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을 선택한 것이다. 이러한 지표체계는 지역간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나야 한다. 각 지역마다 생태-경제-사회 구조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지속가능발전문제를 다룰 지표체계도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를 광역시, 도, 시, 군 등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그 특색과 특색에 걸 맞는 지표체계를 구상해 보았다. 물론 이러한 지표체계는 구체적인 지역이 선정되면 다시 연구되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제시한 것은 본질적인 측면에서 공유할 부문이 있을 수 있다는 차원에서 그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지표 개발이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필요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 모형을 개발을 시도하였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라고 하는 것은 다양한 하부체계가 상호작용하면서 장기적인 전체체계가 변화해 가는 모습이 그 체계의 안정성을 증진시켜 나가는 것을 말한다. 현재의 생태-경제 체계가 불완전하여 그 하부체계간의 불협화음이 있는 경우를 우리는 체계가 지속 불가능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하부체계간의 상호작용관계가 장기적인 전체체계의 안정성의 증진으로 발전하고 있느냐의 여부가 지속가능성 평가 또는 진단의 핵심이다. 여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체계동태 모형은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된 것이지만, 이 역시 구체적인 적용지역이 선정될 경우에는 동 지역의 특성에 맞게 다소 변형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oi-S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