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로 인한 지하수 영향 저감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정호 -
dc.contributor.other 이영준 -
dc.contributor.other 이수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2Z -
dc.date.issued 200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5 RE-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0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5-20S A Study on Mitigation Plan for Environmental Impacts of Groundwater in Tunnels.pdf -
dc.description.abstract Recent road and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show prominent trend to design most of the routes linearly, for the purpose of increase of the running speed and reduction of transportation time. Moreover, it has been more and more increasing that most of the routes in the projects are composed of tunnels and bridges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s by slope cutting and to perform the real construction to be environmentally sound. However, some road and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which were started after 2000 provoked delay of the projects and lawsuit problems, because the impacts of the groundwater outflow during tunnel excavation was dealt with superficial experiences rather than scientific ver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establishment of overall improvement plan for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rock tunnel excavation, taking 1) the forecast of environmental impacts on tunnel groundwater outflow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criteria and 2) the real operation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s into consider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erform; 1) systematic analysis and rearrangement of groundwater impact by tunnel excavation during road and railroad construction, 2) provision of applicable mitigation plan and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tunnel groundwater outflow, 3) formation of the schemes which can be applied to future EIA, and 4) provision of reasonable guideline for appropriate impact forecast, assess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mitigation plans during EIA of tunnel-includ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our environmental conflict cases related tunnel groundwater outflow, representative caused of the groundwater impacts were; 1) the failure of effective mediation among the stakeholders, 2) inadequate decision of optimal execution time for the groundwater impact investigation, 3) overall drop of the investigation results caused by omission of several investigation items, 5) imperfection of related legal items, and 6) the absence of environmental audit plan during tunnel operation. Moreover, the environmental audits, which are mainly composed of regular measurement of tunnel outflow rate, will be more and more important because it can help to grasp the change of secondary natural environment due to tunnel groundwater outflow.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unnel groundwater has the target to forecast the drawdown and amount variation of the domestic groundwater near the planned routes due to tunnel excavation. As usual, numerical method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is used for the EIA of tunnel groundwater. The program packages used for the groundwater modeling are different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ase of regional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whole tunnel or small-scale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narrow fracture zone.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two real EIA cas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unit amount of groundwater outflow per the length of tunnel was comparatively large according to the applied modeling programs. The analogue study of Japan and America showed that numerous discussion and mediation among stakeholders with sufficient time and extensivve scale of scientific impact investigation supporting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were indispensable for solving the environmental conflict due to tunnel groundwater outflow. As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the study results coul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tunnel groundwater. detailed items of the improvement plan were as follows; 1) elucidation of detailed investigation method for tunnel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on current laws and systems, 2) decision of timing of the tunnel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under current EIA system, 3)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and mitigation criteria for review organization, and 4) improvement factors for the side of the project leader. Considering the systems, processes, and required time of current EIA, it could be firmly decided that tunnel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appropriate scientific investigation procedures, especially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tunnel excavation. The draft stage of EIA could be the most appropriate timing for the tunnel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br>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 2. 연구 목표, 내용 및 범위 <br> 가. 연구목표 <br> 나. 주요 연구내용 및 범위 <br> <br>제2장 터널로 인한 환경적 분쟁 사례 현황 <br> <br> 1. 터널 지하수 유출 관련 환경분쟁 사례 분석 <br> 가. 경부고속철도 제 8-1공구 (상촌터널) <br> 나. 경부고속철도 13-3 및 13-4 공구 (원효터널 천성산 통과구간) <br> 다. 서울외곽순환도로 (사패산터널) <br> 라. 서울강남순환도로 <br> <br> 2. 분석 결과 및 시사점 <br> 가. 분쟁 진행 과정상의 시사점 <br> 나. 조사 방법에서의 문제점 <br> 다. 사후 관리에 대한 문제점 <br> <br>제3장 터널 공사 현장의 지하수 변동 분석 <br> <br> 1. 터널 지하수 유출 지배 요인 분석 <br> 가. 수리지질학적 파라미터 분포 <br> 나.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량 <br> <br> 2. 터널 시공 현장 수집자료 분석 <br> 가. 시공 현장 현황 <br> 나. 터널 유출량 실측자료 분석 <br> <br>제4장 터널 공사시 지하수 영향평가 과정 <br> <br> 1. 지하수 영향평가 관련 법·제도적 근거 분석 <br> <br> 2. 터널 지하수 유출 영향평가 방법 <br> <br> 가. 지하수 유동 모델링 기법의 개념적 특징 <br> 1) 지하수 유동 모델링 프로그램 : MODFLOW <br> 2) 지하수 불연속체 유동 모델링 : MAFIC <br> <br> 나. 모델링 결과의 적용 및 모델별 문제점 <br> <br> 다. 환경영향평가서 사례 분석 <br> 1) 태백선 제천-입석리간 복선전철 건설사업 <br> 2) 신북~북산간 국도개량공사 <br> <br>제5장 국외 터널공사 지하수 영향평가 사례 <br> <br> 1. 일본의 사례 <br> 가.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 도쿄도 구간 건설사업 <br> 나. 아이치 만국박람회장 조성사업 <br> <br> 2. 미국의 사례 <br> <br>제6장 터널 지하수 영향 저감 및 개선방안 <br> <br> 1. 법·제도적 개선방안 <br> 가. 터널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 목표, 내용 및 범위 <br>가. 연구목표 <br>나. 주요 연구내용 및 범위 <br> <br>제2장 터널로 인한 환경적 분쟁 사례 현황 <br>1. 터널 지하수 유출 관련 환경분쟁 사례 분석 <br>가. 경부고속철도 제 8-1공구 (상촌터널) <br>나. 경부고속철도 13-3 및 13-4 공구 (원효터널 천성산 통과구간) <br>다. 서울외곽순환도로 (사패산터널) <br>라. 서울강남순환도로 <br>2. 분석 결과 및 시사점 <br>가. 분쟁 진행 과정상의 시사점 <br>나. 조사 방법에서의 문제점 <br>다. 사후 관리에 대한 문제점 <br> <br>제3장 터널 공사 현장의 지하수 변동 분석 <br>1. 터널 지하수 유출 지배 요인 분석 <br>가. 수리지질학적 파라미터 분포 <br>나.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량 <br>2. 터널 시공 현장 수집자료 분석 <br>가. 시공 현장 현황 <br>나. 터널 유출량 실측자료 분석 <br> <br>제4장 터널 공사시 지하수 영향평가 과정 <br>1. 지하수 영향평가 관련 법·제도적 근거 분석 <br>2. 터널 지하수 유출 영향평가 방법 <br>가. 지하수 유동 모델링 기법의 개념적 특징 <br>1) 지하수 유동 모델링 프로그램 : MODFLOW <br>2) 지하수 불연속체 유동 모델링 : MAFIC <br>나. 모델링 결과의 적용 및 모델별 문제점 <br>다. 환경영향평가서 사례 분석 <br>1) 태백선 제천-입석리간 복선전철 건설사업 <br>2) 신북~북산간 국도개량공사 <br> <br>제5장 국외 터널공사 지하수 영향평가 사례 <br>1. 일본의 사례 <br>가.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 도쿄도 구간 건설사업 <br>나. 아이치 만국박람회장 조성사업 <br>2. 미국의 사례 <br>제6장 터널 지하수 영향 저감 및 개선방안 <br>1. 법·제도적 개선방안 <br>가. 터널 지하수 영향평가의 제도적 지침 수립 <br>나. 터널 지하수 영향평가의 수행 시기 <br>2. 환경영향평가시 저감 및 개선방안 <br>가. 협의기관 시각에서의 저감방안 제시 <br>나. 사업 주체 시각에서의 개선방안 <br> <br>제7장 결론 및 제언 <br> <br>참고문헌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xi, 14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Tunneling (Physics) -
dc.title 터널로 인한 지하수 영향 저감방안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mitigation plan for environmental impacts of groundwater in tunnel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5-20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은 물동량 수송 시간의 단축 및 운행 속도 증가를 목적으로 노선 자체를 가급적 직선화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반 국민들의 환경 마인드가 급격히 향상된 최근에는 절토 등으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터널 또는 교량 등의 구조물을 건설하여, 건설 공사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수행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수행된 대형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 중 파생된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 영향에 관해 과학적인 검증보다는 피상적인 경험으로 다루고 있어서, 법정 소송 및 사업의 지연까지 야기되는 등 많은 사회적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객관적-과학적인 기준 하에서, 또한 공사 현장의 실제 시공 상황을 충분히 감안하여 암반 터널 굴착이 계획된 건설사업에서의 지하수 영향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방안을 수립할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는 바, 이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 중 터널 굴착으로 인한 지하수 영향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여, 터널 지하수 유출에 따른 환경적 영향의 규명과 실제 적용 가능한 저감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향후 환경영향평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여, 터널 공사가 포함되어 있는 사업에 있어서 환경영향평가 시 적절한 영향예측, 평가 및 저감방안 수립에 대한 합리적인 지침의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과 관련된 환경분쟁 사례 4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이해당사자간의 효과적인 조정 실패, 지하수 영향조사의 적정 수행 시기 결정 미흡 및 일부 조사항목 시행 누락에 따른 전반적인 조사 결과의 신뢰성 저하, 관련 법 조항의 미비, 터널 운영시 사후관리대책 부재 등이 문제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터널 유출량 상시 계측 등을 위주로 하는 사후환경영향조사는 터널 지하수 유출에 따른 2차적인 자연환경 변화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매우 증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터널 공사현장 1곳의 터널 유출량 계측 자료 분석 결과, 환경영향평가시 예측되었던 유출량의 14% 정도만 유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터널 지하수 유출에 따른 환경적 분쟁은 보다 정확한 지하수 영향조사와 사후환경영향조사의 상시 실시로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터널로 인한 지하수 변동 환경평가는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하수위 강하 및 계획노선 주변 생활용 지하수의 수량 변화 예측을 주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영향평가를 위해 수치해석적 지하수유동모델링 방법을 사용한다. 모델링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터널 연장 전체의 광역적인 지하수 변동을 예측하는 경우와 계획터널 내 특정 파쇄대 구간에서의 지하수 유출을 예측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 상이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2건의 실제 환경영향평가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볼 때, 적용된 모델링 프로그램에 따라서 터널 굴착 길이당 단위 유출량이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터널로 인한 지하수 영향과 관련, 일본과 미국의 유사 해외사례를 조사, 분석한 결과, 직접적인 지하수유동모델링을 실시하는 사례는 없었으며, 충분한 시간을 두어 이해당사자간의 협의 및 의견 조정, 협의된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과학적 사전 영향조사를 실시하여 환경분쟁을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터널 지하수 영향 저감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현행 법·제도상에 터널 지하수 영향평가에 대한 세부 조사 방법 명시 및 환경평가제도 하에서의 지하수 영향평가 시기 결정, 검토기관에서의 평가 및 저감에 관한 기준, 사업자 입장에서의 터널 지하수 영향평가에 관한 개선점 등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결국,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제도적 체계, 절차, 소요 기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터널 굴착이 계획되어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지하수 영향평가를 과학적인 조사 절차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2차적인 환경분쟁 방지를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행 시점은 환경영향평가 초안 단계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터널 지하수 영향평가에 대한 보다 기술적인 접근은 후속 연구를 통해 발전되어야 하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g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