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화진 -
dc.contributor.other 안소은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5Z -
dc.date.issued 200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RE-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3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6-01S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II.pdf -
dc.description.abstract In recent years, the parties of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s(UNFCCC)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daptation policies in addition to the mitig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has announced that climate change is already in progress around the world, and it is pressing to assess vulnerability and establish adaptation measures in order to minimize adverse impacts. Given the recognition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tenth Conference of Parties(COP10; Argentina 2004) established the five year work program on adaptation , and twelfth Conference of Parties(COP12; Nairobi 2006) finalized the program ’the Nairobi Work Program on Impacts,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five year work program aims to assist the parti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climate change impacts,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adaptation and for an informed decision on adaptation measures. Climate change impacts appear in diverse forms by regions and sectors. It is pressing to have reliable assesment measures and adequate adaptation systems. Also, a national adaptation strategy should be agreeable to the international agreement. Thus, this study assesses sectoral impacts by climate change, identifies vulnerability, and establishes an integrate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ystem. It also takes a multi- disciplinary approach on sectoral impact assessment with the consideration on its variety and complexity. In the first year, specialized groups closely studied five sector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n agricultural sector; Korea University on forest sector; Korea Institute of Industry and Technology Information on industry secto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n public health; and Sejong University on water resource sector. In the second year(current year),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from sever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re reviewed such as UNFCCC, IPCC, UNEP. Selecting the most applicable method, sectoral vulnerability has been predicted with A2 scenario for all the sectors. In addition, data and other conditions in each sector differs from another, which leads to adopting quantitative analysis on agriculture, forest, and water resource sect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n public health and industry sectors. Agriculture sector analysed domestic rice yield using CERES- Rice model wi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based on A2 scenario. The baseline years are from 1971-2000.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South Korea only) will rise approximately 5℃ and 17%, respectively, by 2080s. It will cause the decrease of rice yield mainly in coastal areas. Average rice yield throughout South Korea will decrease by 14.9%. Analysis by climate regions shows that out of 19 regions, south-west coast will be ranked first with 20.1% decrease. Forest sector projected future distribution of vegetation using CEVSA model that is the most applicable model selected through this study. Existing conifers will cover only 7,037.74 ㎢(current coverage is 21,483.63 ㎢) and will be likely observed in areas with high altitude in Gangwon-do. Broad-leaved trees will be found mainly in South-west coastal area and will cover 64,697.83 ㎢ increasing from the current 7,408.15 ㎢ coverage. Mixed forest now covers 7,408.15 ㎢ and is projected to occupy 65,809.05 ㎢ appearing inland area of Gangwon-do and the Baekdo Mountain range. Mixed forest is also projected to be seen in some of the South coastal areas and Jeju island. Assuming vulnerable areas to climate change where its tree types are projected to be transformed among current forest, the coverage will be 44,201.95 ㎢, 30.24% of the total 146,187.45 ㎢ study area.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 sector was assessed with an indicator approach using flood and drought data. This study focuses on Geumgang Bas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sts of six modules. The first three modules are grouped under current climate assessment(bottom-up approach): analysing past extreme events, constructing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analy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xtreme events and indicators. The rest can be grouped under future climate assessment(top-down approach): sett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 assess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 and analysing variability of extreme events. All six module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he result in Geumgang Basin shows increase of flood damage in most of the basin area. Also, the damage will expand in 2065s comparing to 2025s. Damages from drought will rise 33% of the basin area(9 of the total) while the rest will be less affected by drought. In 2065s, only 10 areas of basin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droughts. Fewer areas with drought-specific vulnerability is due to increasing precipitation. Public Health sector categorizes health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into intense heat, infectious diseases, and flood damage. As in the many developed countries, Korea too will have major public health problems: early deaths of the aged population due to the intense heat and damages from floods. According to the Korea Meterological Research Institute, the threshold temperature will rise as a result of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most vulnerable two groups to intense heat will be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al diseases and populations with socioeconomic vulnerability. Particularly, the aged population is of concern in this sector since the group is expected to grow in numb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differentiat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factor and health from others. Infectious diseases are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terms of their carriers. However, Korea shows relatively low rates of such diseases. Climate change impacts are industry-specific. Three factors are to be evaluated in vulnerability assessment in industry sector: climate change impact,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capacity. The details of each factor should be specified beforehand. Unlike other industries, it is complicated to objectively assess the factors in manufacture industry. Also, the vulnerability may be hardly distinguishable due to the continuing adaptation efforts from the industry. This study presents factors assessing vulnerability of manufacture industry referring to vulnerability assessment of other industries. Year 2007, the 3rd year for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ectoral impacts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with the results from the 1st and 2nd year and to construct the national adaptation strategy framework. Particularly, adaptation policy framework will be established to enhance adaptation capacity of already identifie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sectors. The adaptation policy framework will establish sectoral adaptation program, prioritize adaptation measure, and recommend methodologies to enhance the adaptation capability in Kore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주요 연구내용 <br> 나. 연구 추진체계 및 방법 <br> <br> 3. 기후변화협약 상의 적응논의 동향 <br> <br>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접근법 <br> <br> 1.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용어 정의 및 평가지침 <br> 가.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용어 정의 <br> 나. 취약성 평가지침 <br> <br> 2. 부문별 취약성의 통합적 평가방법 <br> <br>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아시아 지역 사례 연구 <br> <br> 1. 국가 기후변화 대응체계 <br> 가. 일본 <br> 나. 중국 <br> <br> 2. 부문별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사례 <br> 가. 일본 <br> 나. 중국 <br> <br>제4장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기법 <br> <br> 1. 농업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 가. IPCC <br> 나. UNEP <br> 다. US Country Studies Program <br> <br> 2. 산림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 가. IPCC <br> 나. UNFCCC <br> 다. UNEP <br> 라. PNNL <br> 마. 모델 접근법 <br> <br> 3. 수자원부문의 영향평가 사례 및 취약성 평가기법 <br> 가. 국내ㆍ외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사례 <br> 나. 극한사상의 취약성 평가방법 <br> <br> 4. 보건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 가. IPCC <br> 나. UNFCCC <br> 다. WHO <br> 라.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기법 분류 <br> <br> 5. 산업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 가. 취약성 평가 접근법2 <br> 나. ACG의 오스트레일리아 산업에 대한 영향 및 취약성 평가 <br> 다. 보험산업의 취약성 평가 <br> <br>제5장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국내적용 <br> <br> 1.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br> 가. IPCC 배출 시나리오 개요 <br> 나. 지역기후 A2 시나리오 <br> <br> 2. 농업생태부문 취약성 예측 <br> 가. 농업 기상재해 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제1장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가. 주요 연구내용 <br>나. 연구 추진체계 및 방법 <br>3. 기후변화협약 상의 적응논의 동향 <br> 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접근법 <br>1.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용어 정의 및 평가지침 <br>가.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용어 정의 <br>나. 취약성 평가지침 <br>2. 부문별 취약성의 통합적 평가방법 <br> 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아시아 지역 사례 연구 <br>1. 국가 기후변화 대응체계 <br>가. 일본 <br>나. 중국 <br>2. 부문별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사례 <br>가. 일본 <br>나. 중국 <br> 제4장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기법 <br>1. 농업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가. IPCC <br>나. UNEP <br>다. US Country Studies Program <br>2. 산림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가. IPCC <br>나. UNFCCC <br>다. UNEP <br>라. PNNL <br>마. 모델 접근법 <br>3. 수자원부문의 영향평가 사례 및 취약성 평가기법 <br>가. 국내ㆍ외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사례 <br>나. 극한사상의 취약성 평가방법 <br>4. 보건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가. IPCC <br>나. UNFCCC <br>다. WHO <br>라.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기법 분류 <br>5. 산업부문의 취약성 평가기법 <br>가. 취약성 평가 접근법 <br>나. ACG의 오스트레일리아 산업에 대한 영향 및 취약성 평가 <br>다. 보험산업의 취약성 평가 <br> 제5장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국내적용 <br>1.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br>가. IPCC 배출 시나리오 개요 <br>나. 지역기후 A2 시나리오 <br>2. 농업생태부문 취약성 예측 <br>가. 농업 기상재해 취약지역 <br>나. 취약성 평가모델 비교분석 <br>다. CERES-Rice 모델 개요 <br>라. CERES-Rice 모델 국내 적용 <br>마. CERES-Rice 모델 국내 적용 사례 연구 <br>3. 산림생태부문 취약성 예측 <br>가. 취약성 평가모델 비교분석 <br>나. CEVSA 모델 적용방안 <br>다. CEVSA 모델 국내 적용 <br>라. Holdridge 모형을 이용한 취약성 평가사례 <br>4. 수자원부문 취약성 예측 <br>가. 과거 극한사상 조사 및 분석 <br>나. 취약성 지표 도출 <br>다. 기후변화로 인한 취약성 지표의 변화 <br>라.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사상의 변동성 평가 <br>5. 보건부문 취약성 예측 <br>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자료 <br>나. 기후변화의 영향과 건강 <br>다. 기후변화 취약성 예측 <br>6. 산업부문 취약성 예측 <br>가. 취약성 평가요소 <br>나. 제조업의 취약성 평가 접근법 <br>다. 일반 산업의 취약성 예측 <br>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계획 <br> 참고문헌 <br> 부록 1 UNEP 협동연구 개요 <br>부록 2 기후변화적응 포럼 <br>부록 3〉국제 워크샵 결과 <br>부록 4 수자원부문 취약성 평가 절차 <br> 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39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Climatic changes -
dc.title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Ⅱ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II)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1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협약 제2조에 의하면 협약의 궁극적 목적은 기후체계가 인위적 간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수준으로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하는데 있다. 또한 동 조약은 온실가스의 안정화를 통하여 생태계가 자연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식량생산이 위협받지 않으며,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시간 프레임 안에 달성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하기 위한 활동 즉, 완화(mitigation)조치에 역점을 두어 왔으며, 특히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의무화하는 교토 의정서 이행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최근 온실가스 저감과 함께 기후변화의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그리고 적응(adapt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IPCC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줄이기 위한 완화조치의 이행여부와는 별도로 이미 전 세계적으로 관측되고 있는 현상이며, 기후변화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약성 평가 및 적응조치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기후변화가 사회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나, 각 국가 또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취약성(vulnerability)은 달라질 수 있다. 기후변화협약에서 적응의 중요성은 제7차 당사국총회 이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2002년 제8차 당사국총회에서 적응이슈를 강조하는 델리선언문이 채택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제10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조치에 대한 5개년 작업계획이 수립되어 2006년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12차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에 관한 나이로비 작업 프로그램(Nairobi Work Programme on Impacts,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5개년 작업계획의 목표는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취약성 평가 및 적응에 대한 당사국들의 이해를 돕고 각국이 처한 과학적, 기술적, 사회·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적응조치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은 온실가스 저감과 함께 기후변화협약의 2개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후에도 쟁점 이슈로써 논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의 영향은 피부로 실감할 정도로 나타나고 있고, 지속가능발전과 연계되어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기후변화협약 대책위원회’를 설립하여 기후변화협약 대응 종합대책(1, 2, 3차)을 마련하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아직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기후변화 완화에 치중하고 있어 기후변화의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후변화는 지역별, 부문별로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척도가 먼저 마련되어야 하고 적절한 적응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국가의 적응프로그램은 국제사회 프로그램의 추진 방향과 보조를 맞추는 것도 필요하다. 기후변화 영향이 자연생태계를 시작으로 야기되었으나 사회·경제적 인간 시스템에 다양하게 영향을 주므로 결국 계획된 적응대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부분과의 연결고리가 중요하다. 적응이슈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취약성 평가의 과학적이고 기술적 분야 및 경제, 사회 등 국가 지속가능발전의 전반적인 요소에서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므로 관련 연구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은 사회적 통합과 형평성, 그리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일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부문별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취약부문을 확인하며, 부문별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기후변화 국가 적응시스템 구축에 최종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005년, 2006년, 2007년 3년에 걸쳐 진행되며, 농업생태, 산림생태, 수자원, 산업, 그리고 보건/건강 부문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한다. 1차년도에는 농업생태, 산림생태, 산업, 보건/건강의 4개 분야에 대해 정보수집 및 선행연구의 현황을 파악하며, 2차년도부터는 수자원부문을 포함시켜 부문별 취약성 평가기법을 조사하고 국내 적용 타당성을 분석한다. 3차년도에는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의 통합 그리고 종합적인 국가 적응정책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추진된다. 과제의 효율적인 연구수행과 대상 부문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통합적, 다학제적 접근을 원칙으로 협동연구로 추진한다. 협동연구 추진체계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와 더불어 산·학·연·정 위원으로 ‘기후변화 적응포럼’을 구성, 본 연구를 지원하는 성격을 갖는 동시에 본 연구와 함께 학제 간 협력 연구를 가능하게 해주는 수평적 연구체계를 만들고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하여 과제의 이행역량을 제고한다. 금번 2차년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문별 영향평가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학제적 접근을 원칙으로 하고, 부문별로 전문성을 갖는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협동연구의 형태로 과제가 추진되었다. 5개 전문기관, 즉 농업과학기술원(농업생태), 고려대학교(산림생태), 산업연구원(산업), 보건사회연구원(건강/보건), 세종대학교(수자원)와의 협동연구를 통해 부문별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평가기법의 국내 적용 타당성 분석 및 초동적 예측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일반적인 접근법과 함께 부문별로 UNFCCC, IPCC, UNEP 등 공신력있는 국제기구에서 제안하는 취약성 평가기법을 조사하였다. 다음은 어떤 기법이 국내에 적용 가능한지 검토하고, 적용 타당성이 높은 기법을 선정하여 부문별 취약성 예측을 시도하였다. 먼저 분석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A2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로 한반도 지역으로 다운스케일링 된 지역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자료의 구축상황 및 주어진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정량적 취약성 예측이 가능한 부문인 농업생태, 산림생태, 수자원 부문은 모델링 접근 또는 지수 접근법을 적용하고, 정량적 예측이 여의치 않은 부문인 보건, 산업부문은 정성적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농업생태부문은 A2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한반도 기온 및 강수량 편차자료와 CERES-Rice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2081-2090)의 국내 쌀 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업기후지대별 기온상승은 크게 중북부내륙, 중부내륙, 중서부평야, 소백산간, 동해안북부, 소백서부내륙, 태백준고냉, 태백고냉, 영남분지, 노령소백산간, 차령남부평야, 영남내륙산간, 노령동서내륙, 동해안중부, 영남내륙, 호남내륙, 남서해안, 남부해안, 동해안남부의 순으로 나타났고, 강수량 증가는 중북부내륙, 중서부평야, 동해안북부, 중부내륙, 동해안중부, 태백준고냉, 태백고냉, 소백산간, 소백서부내륙, 영남내륙, 동해안남부, 영남내륙산간, 영남분지, 남부해안, 차령남부평야, 노령동서내륙, 남서해안, 노령소백산간, 호남내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후시나리오에 따르면, 현재(1971-2000년)에 비하여 2080년대의 기온은 약 5℃(남한평균) 증가하며, 강수량은 약 1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로 인한 쌀의 수확량은 해안지역을 위주로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전라남도와 충청남도에서 감소 폭이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국 평균 벼 수확량은 14.9%(80.2 kg/10a)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기후지대별로 살펴보면, 19개 기후지대 중 남서해안지대가 20.1%(108 kg/10a) 감소로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도별로는 전라남도가 19.4%(104.9 kg/10a)로 감소 폭이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추운지역인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는 감소 폭이 각각 10.2%, 12.4%로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산림생태부문은 국내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 CEVSA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2100년)의 잠재 식생분포를 예측하였다. 기존 침엽수림의 경우 현재 21,483.6 ㎢에서 7,037.74 ㎢으로 감소하며 주로 강원도 고지대에 일부 분포할 것으로 나타났다. 활엽수림은 주로 서남해안지역에 분포하며 면적은 현재 28,768.31 ㎢에서 64,697.83 ㎢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혼효림은 현재 7,408.15 ㎢에서 65,809.05 ㎢으로 면적이 증가하며 주로 강원도 내륙지역과 백두대간에 분포하고 일부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도 분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현재 산림지역 중에서 미래에 임상이 변화하는 지역을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지역으로 가정하면, 해당하는 면적은 44.201.95 ㎢로 전체 연구대상지 면적 146,187.45 ㎢(남한전체와 북한의 일부지역)의 30.2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자원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지표(indicator) 접근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기상재해 중 극한사상인 홍수와 가뭄에 따라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대상으로는 금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취약성 평가는 현재기후에 대한 평가(상향식 접근)와 미래기후에 대한 평가(하향식 접근)로 크게 이분되며, 현재기후에 대한 평가는 다시 과거 극한사상 조사 및 분석, 취약성 지표 도출, 극한사상과 취약성 지표간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세분된다. 또한 미래기후에 대한 평가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수자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극한사상의 변동성 평가로 다시 구분된다. 따라서 취약성 평가는 6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금강유역의 평가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유역에서 홍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거 많은 홍수피해를 기록했던 금강하류와 삽교천유역 등지에서 홍수피해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피해는 2025s 기간에 비해 2065s 기간에서 더욱 증가될 것으로 나타난다. 가뭄의 경우 2015s 기간에서 전체유역 중 9개 유역(약 33%)이 가뭄피해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나머지 유역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65s 기간에서도 강수량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전체유역 중 10개 유역만이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부문은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취약성을 혹서, 전염성 질환, 그리고 수해로 구분하여 전망한다. 여름철 고온일수의 증가로 인한 혹서, 전염성 질병의 양상 변화, 강수증가로 인한 수해 모두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선진국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도 혹서로 인한 노인인구의 조기사망, 수해로 인한 피해가 가장 주된 보건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최근의 기상연구소의 발표를 참고할 때 향후 임계치온도(threshold temperature)는 적응으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성질환자, 노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혹서로 인해 가장 피해를 겪을 수 있는 취약인구집단으로 판단되며, 특히 노인인구는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2050년 65세 노인인구, 전체인구의 38.2%)되기 때문에 그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취약인구집단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기후 요소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관련 변수에 대한 자료의 축적 및 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여러 인자 중 기후인자와 건강간의 상관관계를 분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염성 질환을 발생하게 하는 매개동물의 서식 및 생태와 기후변화는 많은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전염성질환의 유병이 낮은 선진국형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보면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 출혈열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균성이질은 1999년, 2000년, 2003년에 상당히 높아졌던 기록을 보이고 있다. 말라리아는 6월에서 9월까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질병이며, 1990년대 후반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2000년 이후 약간씩 감소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말라리아의 발생가능성은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전염성 질병통제시스템의 발달로 취약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는 농업, 축산업, 어업 등 1차 산업과 건설, 에너지 및 관광, 보험 등 서비스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각 산업의 취약성도 서로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문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산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과 민감도, 그리고 적응 능력 등 세 가지 요소를 평가하여야 한다. 각 요소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보고서의 평가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우선 각 요소의 세부 내용을 결정해야 한다. 제조업의 경우에는 여타 산업과는 달리 이러한 요소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지속적인 적응 노력으로 인해 취약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도 있다. 제조업을 대상으로 취약성을 평가한 사례가 거의 없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타 산업을 대상으로 한 취약성 평가 사례를 참조하여 제조업 부문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요소들을 제시하여 보았다. 한편, 취약성 평가요소의 성격에 있어 제조업 부문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른 산업과 다소 차이가 있다. 첫째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물에 대한 수요 변화 효과가 공급 변화 효과와 더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제조업 부문의 적응 능력은 자생적(autonomous)인 것이기 보다는 계획적(planned)인 성격이 강하며,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적응 능력을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기후변화에 대한 제조업의 취약성이 여타 부문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것임을 시사한다. 산업별 취약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어업분야는 일부 어류 생물종이 변화하고, 관광분야는 기후변화로 위협받는 자연환경에 의존적인 일부 지역의 취약성이 높다. 물산업분야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취약성이 높으며 지표수 유량 감소는 거주지와 관개 농업의 물 공급량에 영향을 미친다. 에너지분야는 특히 극한 기후상황에 처하는 일부지역의 송배전 인프라가 상당히 취약하다. 건축 및 기반시설은 해수면 상승, 홍수, 태풍, 사이클론, 열파 및 산불과 관련하여 취약하다. 농업분야에서 가뭄의 증가는 작물 수확과 축산업에, 수량의 감소는 관개 농업과 건조지역 작물 수확에, 그리고 서리 일수의 감소는 원예업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온다. 마지막으로 임업분야는 화재 위험의 증가, 해충 분포의 변화, 건조화 추세와 극심한 강우로 인한 토양 침식의 증가로 산림 생산이 취약성을 보인다. 2차년도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인 부문별 취약성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농업생태, 산림생태, 수자원 부문은 모델링 또는 지수 접근법과 같은 정량적 취약성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론 국내에서는 아직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가 걸음마 단계이긴 하나, 지속적인 관련 자료의 축적, 평가기법의 개선에 대한 노력, 관련 연구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 등이 확보된다면, 본 연구에서 시도한 초동적 수준의 취약성 예측에서 벗어나 민감도 분석을 통한 보다 구체적인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보건/건강부문과 산업부문은 아직 기후변화와 취약성 인자간의 연결고리가 분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량적 평가는 이른감이 있으며, 본 연구의 정성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관련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어디서, 어느 정도, 어떤 경로로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관련 자료의 축적도 시급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보건/건강부문의 경우 기후변화와 질병발생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은 상당한 기간의 관찰과 통계학적 분석이 필요하므로 관련연구에 대한 장기적인 로드맵 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3차년도인 2007년도는 1차, 2차년도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문별 영향과 취약성 평가의 통합 및 국가 적응전략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특히 각 부문별 평가결과로부터 확인된 기후변화 취약부문의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정책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게 된다. 즉, 취약부문의 피해저감을 위한 부문별 적응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적응대책의 우선순위를 밝혀내며, 적응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정책입안자들과 국민에게 홍보함으로써 적응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완화대책 및 국가 지속가능 발전과의 연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2007년 발간될 IPCC 제4차 평가보고서의 내용과 연계, 추진할 예정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Wha-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