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질별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및 수질 관리실태 비교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문유리 -
dc.contributor.other 유은혜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8Z -
dc.date.issued 200611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WO-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6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O-06_주요_지질별_지하수_개발·이용_특성_및_수질_관리실태_비교연구.pdf -
dc.description.abstract Comparative Study for the Ground Water Management Based on Geological Condition Ground water is located beneath the ground surface and moves through soil pores and rock fractures. It is not affected directly by weather condition and artificial pollutants. In addition, it is the sustainable resource refilled by precipitation and infiltration and may contain useful minerals for human health dissolved from geologic formations. Hence, a great percentage of population have depended their drinking water on ground water in United States (51%) and Europe (75%) and their management plan and systematic policy were established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hey also have specified its origin or mineral contents and made profits by exporting them. On the contrary, in Korea, ground water has not been appreciated as the major water resource during last a few decades, as the government has provided most of the water supply from the surface water such as river, stream, and reservoir. However,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threatened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and some water supply facilities had to be closed by its serious contamination, so public health concerns have arisen regarding guarantee of ’good water’. Thus, the policy of water supply needs to shift its gear.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such as flow and quality are determined initially by geologic condition. If the pore ratio is relatively high and the pores are well connected, it shows the extended ground water movement and the large amount of withdrawal. The ground water extracted from granite contains lots of silicides, while that from limestone shows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This study aims (1)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eologic condition in ground water management and (2) to suggest the relevant policies and researches. If the ground water could be characterized by its geologic condition, it could be easier to collect, organize, and analyze the data and information of ground water by categorizing them into analogous geologic formations. This study, however, shows the limitations of this generalization in Korea,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inconsistent data. Besides of these, the system of ground water management in Korea shows another dilemma. It has been supervised by the incompatible policies of five ministries, which results in the inefficient management. Therefore, its system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contrast, most managements and researches regarding ground water are based on its geologic condition in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amount of ground water withdrawal in United States has been compiled by the ’principal aquifers’, and this database has provided the standard for its henceforth usage. The geostatistical method was employed to standardize the hydrogeolgic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and specific capacity, for each major aquifer in New Jersey, the U.S. It was the state project to integrate the data and information of ground water, leaded by the New Jerse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Likewise, these compilation and standardization have been achieved in Europe.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has been utilized to make the judgement for ground water quality, which is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tself’ caused by the water-rock interactions in the aquifer. The "BRIDGE Project" using this background concentration has been performe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In this project,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quality for each principal aquifer has been investigated and organized, and it was applied to develop the method determining ’good water’. These ongoing project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 water. The above-mentioned projects are also required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increasing amount of ground water usage and demands of ’good water’. First, the units for ground water management should be reconstituted by its geologic condition, so the exist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reorganized and the future measurements could be compiled by these. Seco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should be investigated and organized into its database, which could be employed to determine the ground water quality and its application. Furthermore, the guideline for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consistency among the research resul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지질별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 <br> <br> 1. 지질별 지하수 유동특성 <br> 가. 유동특성 결정인자 <br> 나. 우리나라 지하수 유동 <br> <br> 2. 지질별 지하수 수질특성 <br> 가. 수질특성 결정인자 <br> 나.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 <br> <br> 3. 지질별 지하수 관리의 필요성 <br> <br>제3장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리 <br> <br> 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 <br> 2. 지하수 관리현황 <br> 가. 관련 조직 및 법 <br> 나. 지하수 관리 현황 <br> 1) 지하수관리기본계획 <br> 2) 지하수기초조사보고서 <br> 3) 지하수 수질측정망 <br> 4) 오염취약성 분석 <br> <br> 3.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의 문제점 <br> <br>제4장 선진국의 지하수 관리 <br> <br> 1. 미국 <br> 가. 관련 조직 및 법 <br> 나.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 다. 지질별 지하수관리 <br> 1) 뉴저지주 <br> 2) 고지대 대수층 <br> <br> 2. 유럽 <br> 가.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 나. 지질별 지하수 관리 <br> 1) 지하수 관리단위 <br> 2) 수질특성 관리 <br> 가) BaSeLiNe 사업 <br> 나) BRIDGE 사업 <br> <br> 3. 선진국 사례의 시사점 <br> <br>제5장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br> <br> 1. 연구결과 <br> 가. 지질별 지하수 특성 <br> 나. 지하수 관리단위 <br> 다. 배경수질 <br> 라. 통일된 자료의 공유 <br> <br> 2. 정책제언 <br> 가. 대수층 특성 중심의 지하수 관리 <br> 나. 지질별 배경수질 자료구축 <br> 다. 관련 자료의 통일성 마련 <br> <br>참고문헌 <br> <br> 남한의 수문지질단위 <br> 지질유래 유해물질 <br> DRASTIC 평가기법 <br> 유럽 국가별 지하수체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2. 연구 범위 및 방법 <br> 제2장 지질별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 <br>1. 지질별 지하수 유동특성 <br>가. 유동특성 결정인자 <br>나. 우리나라 지하수 유동 <br>2. 지질별 지하수 수질특성 <br>가. 수질특성 결정인자 <br>나.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 <br>3. 지질별 지하수 관리의 필요성 <br> 제 3 장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리 <br>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2. 지하수 관리현황 <br>가. 관련 조직 및 법 <br>나. 지하수 관리 현황 <br>1) 지하수관리기본계획 <br>2) 지하수기초조사보고서 <br>3) 지하수 수질측정망 <br>4) 오염취약성 분석 <br>3.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의 문제점 <br> 제 4 장 선진국의 지하수 관리 <br>1. 미국 <br>가. 관련 조직 및 법 <br>나.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다. 지질별 지하수관리 <br>1) 뉴저지주 <br>2) 고지대 대수층 <br>2. 유럽 <br>가.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br>나. 지질별 지하수 관리 <br>1) 지하수 관리단위 <br>2) 수질특성 관리 <br>가) BaSeLiNe 사업 <br>나) BRIDGE 사업 <br>3. 선진국 사례의 시사점 <br> 제 5 장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br>1. 연구결과 <br>가. 지질별 지하수 특성 <br>나. 지하수 관리단위 <br>다. 배경수질 <br>라. 통일된 자료의 공유 <br>2. 정책제언 <br>가. 대수층 특성 중심의 지하수 관리 <br>나. 지질별 배경수질 자료구축 <br>다. 관련 자료의 통일성 마련 <br> 참고문헌 <br> 부록 1 남한의 수문지질단위 <br>부록 2 지질유래 유해물질 <br>부록 3 DRASTIC 평가기법 <br>부록 4 유럽 국가별 지하수체 -
dc.format.extent 9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Water quality management -
dc.title 주요 지질별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및 수질 관리실태 비교연구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Comparative Study for the Ground Water Management by Its Geologic Condition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6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지하수는 지하의 지층 또는 암석 내의 공극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지표수에 비해 기상변화나 지표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그 수질이 비교적 안전하며 안정적이다. 또한 빗물 또는 강물 등의 침투현상에 의해 재충전되므로, 올바른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자원인 것이다. 더욱이 지하수에는 암석으로부터 용해된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일찍부터 이러한 지하수의 장점을 인식하고, 이를 음용수의 주요 공급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지별 또는 미네랄 함량별로 특성화시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다양한 연구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노력과 지원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수자원을 하천과 저수지 등의 지표수로부터 공급하고 있으며, 지하수는 일부 상수도시설이 보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진행된 도시화와 산업화는 각종 오염원을 유발시켰고, 상대적으로 오염원에 노출이 많은 지표수는 그 수질이 점차 악화되어 용수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반 국민들은 ’좋은 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보다 나은 수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표수에 비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수질을 가진 지하수를 음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정책 수립하기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노력이 시급하다.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의 유동형태와 수질특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대수층이 분포되어 있는 지질이 일차적인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고결 퇴적층에 분포되어 있는 대수층의 지하수 산출량이 변성암에 분포되어 있는 대수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미고결 퇴적층의 공극이 변성암에 비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석회암에서 산출된 지하수에서는 칼슘이온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화강암에서 산출된 지하수에서는 규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물과 암석간의 반응에 의해 지하수로 용해되는 물질이 지질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리정책을 살펴보면 지질특성을 고려한 방안은 부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질별 지하수 특성을 지하수 관리정책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관련 정책 및 연구사업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 · 분석을 통해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지하수 관리에 필요한 연구사업과 관리정책을 제시하여 지질 특성을 반영한 지하수 관리체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의 2장에서는 우선 지질별로 나타나는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과 더불어, 기존의 이용 가능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지질별 지하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하수 산출량의 경우 4대강 유역과 제주도 등의 1차공극이 발달된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질의 경우는 기존 자료의 부족과 자료간의 통일성 결여로 인해, 지질별 수질특성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 · 이용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의존도는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11%에 불과한 반면, 이를 관리하는데 8개의 법과 5개의 부처가 관련된 분산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부처정책 간의 통일성부재, 유사업무의 반복수행, 동일지역에 대한 중복투자 등 그에 따른 부작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수 관련 행정집행 및 연구사업의 대부분은 지하수의 특성을 고려한 단위가 아닌 인위적인 행정구역단위나 지표수 중심의 하천유역단위별로 시행되고 있어, 실제로 지하수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하수 특성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장에 서술된 선진국 사례를 살펴보면 지하수 특성중심의 지하수 관리를 위해 이를 결정하는 일차요인인 지질별로 관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지하수 관리를 위해 조사 · 수집된 자료들을 지질별로 분류된 주요대수층 또는 지하수체 단위로 분류 · 정리하고 있다. 이처럼 지질별로 분류된 단위를 사용하면 지질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으며, 통일된 수리지질상수 등을 산정하여 향후 연구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유럽에서는 배경수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지하수 관리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BRIDGE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 사업에서는 유럽 대수층의 배경수질을 조사하여 총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좋은 물 판별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에서는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개발 · 이용을 위해 지하수 관리에 지질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증대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양질의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하수 관리의 개선이 시급하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행정구역이나 하천유역 대신, 선진국 사례에서 제시된 주요대수층이나 지하수체와 같은 대수층 특성 중심의 관리단위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현재 유럽에서 진행 중인 배경수질 자료 구축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여, 지하수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련된 관리단위와 기초자료는 향후 다양한 연구사업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문지식이 부족한 담당공무원들의 이해를 도와 지하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관련사업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들은 통일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지하수 조사지침서’를 마련하여 배포함으로써 향후에 시행되는 지하수 관련사업의 일관성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 이들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담당부처의 재정적인 지원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적으로 요구되어진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u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u R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