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커뮤니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평가방법론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공장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2Z -
dc.date.issued 20070228 -
dc.identifier A 환1185 2007 WO-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0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지역커뮤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평가 방법론 연구(조공장).pdf -
dc.description.abstract Study of Public Participa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attain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the task of the time not only to improv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olicy, but also to enhance social acceptance, environmental awareness, credibility, responsibility, legitimacy, and openness to public. During the development centric era, it was common to see major policy decisions being made without a slightest participation of those whose lives would actually be influenced by the policy. Tendency was to settle the conflict afterward through persuasion and compensation rather than seeking mutual agreement prior to making decisions. The claim was that making the process open to public would obstruct the project from moving forward. However, environmental conflicts and tensions experienced in numerous national projects in 1990’s taught us a lesson that we need to formulate a social agreement process for the future policy decisions. For this process to be meaningful it is of vital importance to consider such factors as openness of process, enhancement of credi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social acceptance in policy decision.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plan to enhance the func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environmental conflicts. Particularly, the study proposes a number of methods with a core focus on public participation. While preceding researches involving public participation were limited to minimum subject matters, serving as a restricted indicator, this study provides numerous options for business entities to choose from and practice based on their own will. Accordingly, fundamental improvement on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will not be the scope of this study. The study focuses on improvement scheme that is feasible under current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Following is the synopsis of this research and policy proposal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1. Limitation of system unable to countermeasure against environmental conflicts There are numerous instances of national projects that failed to prevent environmental conflicts even th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had been conducted. In 1990’s there was a fundamental problem that such assessment scheme excluded administrative planning as a whole, however, revision of law on environmental policies in 2006 enabled a debate on purpose and necessity of planning by enforcing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PERS) that contains concept of Strategy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Despite the change, there are still limitations with the current system. Following three points abstract the limitations. (See section 2.4) First, current environmental assessment standard based on a ’pass-on-basic requirement’ is being perceived as limited means of environmental control that anyone can pass by maintaining only the minimum requirement. It is urgent to introduce valuation on curve through establishment of specific goals, and comparison and analysis of alternative solutions. Second, there is a general perception that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s a system to consult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sultation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an be perceived as mere conciliation within the government. It would not win credibility from the public in case of conflicted situ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even though the resolution came from the result of consultation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step out of the system serving the mediatory role within the government and to pursue a social level of consent formation. Third, current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stresses itemized assessment based o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It is a pressing task that the focus be placed on democratic aspects as well. It is necessary to achieve the primary purpose of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y increasing public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opened to public. For instance,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public participation and scoping are not being revitalized; however, it is not simply due to the in sufficient methods of public participation or lack of scoping technique. The cardinal problem is that the system needs a revision of its fundamental direction. 2. Need for fundamental research on the EIA system (See complete section 2) In many of preceding researches the scope was limited to EIA system itself, excluding the system’s relationship to the planning process and social decision making structure. Also these researches were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all assessments to be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consequences, there has not been a single assessment on the consultation right itself hel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future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adopt a different point of view centering on the planning proces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to EIA system. Researches could investigate the roles and functions of conference organizations and assessment organization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those organization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it, a new approach driven by necessity based on ’what?’ and ’why?’is indispensable rather than a research of mechanism that focuses on ’how?’. A new type of research that re-evaluates transi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during the past 25 years and re-analyzes the fundamental flaws of the system, and hence, building a solid ground for project-specific conflic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s urgently needed. This research should also be able to take a step further and propose an innovative blueprint for future-oriented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3. Problems with public participation under current system (See section 2.5) To abstract the problems with public participation under current EIA system and the proposal for improvement, 1) Scope of participants should not be limited to specific group of inhabitants. Instead it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general population. 2) Participation needs to be guaranteed throughout all phases of project including scoping stage, preliminary assessment report, and actual assessment report. 3) Various participation vehicles such as Internet and public hearings need to be utilized. 4) Lastly, participation must not end with collecting public opinions. Obligation to explain the reasons for inclusions and exclusions of public opinions needs to be respected and exercised. In order to abolish the qualification criteria set on participant selection, this study uses the term ’public participation’ in place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general, public participation practice is divided into two forms, general civic participation (in forum format) and council (arena format). (See section 3.1) 4. Proposal for general public participation method (See section 3) 1) As a general public participation mechanism for information exchange, it is more effective to exercise conference format than documentation format, bi-directional information exchange format than one-directional information provision, and to utilize public hearings and workshops that enable on-site discussions. (See section 3.2)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research on manual prepar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for explanation sessions, public hearings, and public workshops. 2) Public hearings need to be revised as form of mediation. (See section 3.3)Existing public hearings play the role of collecting views and opinions, however, do not provide means to mediation and integration. With absence of 3rd party intervention scheme, public hearings lose the ability to mediate in case conflicts rise between public and business entity. Public hearings must stop acting as a basic channel through which business entities listen to public opinions and transform into an authorized mediatory agent between business entities and public. 3) Utilizing participatory technology assessment (See section 3.4)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participatory technology assessment is being utilized. Consent conference, civil jury system, scenario workshop, and public survey make typical examples. It is the trend movement of technology assessment that attempts to move away from elitism centered on experts and administrators. Based on step-by-step circumstances and localized traits learned from assessment of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flicts (cause of conflict or differences between the involved parties), an appropriate model needs to be applied. For example, it would be effective to utilize a scenario workshop or a consent conference in scoping stage of SEA while focus group interviews or public surveys would be more appropriate in EIA. 5. Validity of participation method using a committee in the form of delegation (See section 4) A council that general public participates serves a purpose as to increase information exchange, however, the impact on decision making is relatively slight. On the contrary, a council in which many specialists and interested parties participate holds substantial political power and therefore makes heavy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Both in Korea and in Japan, validity of participation in council format has been verified. However, not every committee can be successful. Terms and conditions for 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mittee are vitally important. 1) Process of Council Formation Prior to foundation of a committee, a ground for public participation through open forum and survey on the committe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needs to be arranged. Critical decisions such as characteristics, functions, organization, selection mechanism, management rules, and the core body of foundation of the committee, should reflect as many ideas and opinions of public as possible. 2) Characteristics of committeecommittee must assume a characteristic of planning support that engages itself in a wide spectrum of planning aspects ranging from examining the necessity for a proposed plan to forming an alternative solution rather than simply determining validity of proposal submitted by business entity or making decisions. For instance, a committee reviewing a proposal for a new dam under a presupposition that the dam is to be built is likely to fail.Instead committee should be formed as a ground on which problems such as measures for flood control in river area or appropriate forms of public participation and consent formation process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ublic input. In essence, committee must start the work without any pre-assumptions. 3) Constitution of CommitteeIt is important to involve various bodies (i.e., specialists, citizen’s group) in a committee in order to collect, discuss, and include various ideas and view points. ce also needs an involvement of members experienced in research or practice on public participation and consent development as well as technical experts and people with ability to make sound judgement and maintain a neutral position in the course of debate. Sound and rational measures for member selection and member selection process need to be studied. 4) Management of CommitteeCommittee must operate based on open management principal and organize various open forums and communicate with wide range of public using appropriate channels. Committee must maintain uninterrupted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local society in order to earn credibility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o achieve agreements on debates. Committee bureau must practice a sound management through participation of 3rd parties such as NPO or specialist. 6. In order to prevent conflicts, it is ideal to utilize multiple methods in combination of general public participation and conferences. Exercising one format doesn’t eliminate the need for the other. It is important that both formats be exercised in conjunction in order to cope with complex nature of conflict elements. Considering that EIA and PERS are both systems centering on planning, adopting various participation of forum format could yield significant impacts. Presume a situation in which the goal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or alternative solutions are determined through various forums such as scenario workshop or conference organized by scoping committee. It will help us move away from existing system centered on consultation with specific organization and mark the first step toward planning-centric assessment system. Various bodies constituting the scoping committee would be the guarantee for forum’s neutrality. However, it is not feasible under the current practice where the scoping committee is perceived as a disposable advisory committee. It is time to drastically change this percep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머리말 <br> <br> 1.1 연구의 배경 <br> 1.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br> <br>제2장 환경갈등과 환경평가 <br> <br> 2.1 환경갈등의 발생 및 시대별 전개과정 <br> 2.2 환경갈등의 유형 및 발생원인 <br> 2.3 국책사업의 환경갈등 사례 <br> 2.4 갈등예방의 시점에서 본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한계 <br> 2.5 환경평가제도와 주민참여 <br> <br>제3장 일반시민 참여 수법 <br> <br> 3.1 환경평가와 공중참여 <br> 3.2 정보교류를 위한 회의형 시민참여수법 <br> 3.3 공청회 방식의 제안 <br> 3.4 과학기술분야의 시민참여수법 <br> <br>제4장 협의회 형식의 참여수법 <br> <br> 4.1 일본의 협의회 형식 참여 사례 <br> 4.2 시화 MTV 사업 사례 <br> 4.3 협의회형식의 참여방식의 유의사항 <br> <br>제5장 결론 <br> <br> 5.1 환경갈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제도적 한계 <br> 5.2 근본적인 제도연구의 필요성 <br> 5.3 현행제도에서의 주민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 5.4 일반시민참여 수법의 제안 <br> 5.5 대표성을 가지는 협의회형식 참여수법의 유효성 <br> <br>참고문헌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제1장 머리말 <br>1.1 연구의 배경 <br>1.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br> 제2장 환경갈등과 환경평가 <br>2.1 환경갈등의 발생 및 시대별 전개과정 <br>2.2 환경갈등의 유형 및 발생원인 <br>2.3 국책사업의 환경갈등 사례 <br>2.4 갈등예방의 시점에서 본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한계 <br>2.5 환경평가제도와 주민참여 <br> <br>제3장 일반시민 참여 수법 <br>3.1 환경평가와 공중참여 <br>3.2 정보교류를 위한 회의형 시민참여수법 <br>3.3 공청회 방식의 제안 <br>3.4 과학기술분야의 시민참여수법 <br> 제4장 협의회 형식의 참여수법 <br>4.1 일본의 협의회 형식 참여 사례 <br>4.2 시화 MTV 사업 사례 <br>4.3 협의회형식의 참여방식의 유의사항 <br> 제5장 결 론 <br>1. 환경갈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제도적 한계 <br>2. 근본적인 제도연구의 필요성 <br>3. 현행제도에서의 주민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4. 일반시민참여 수법의 제안 <br>5. 대표성을 가지는 협의회 형식 참여수법의 유효성 <br> 주요 참고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8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Sustainable development -
dc.title 지역커뮤니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평가방법론 연구 -
dc.title.alternative 주민참여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f public participa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7-01 -
dc.description.keyword 환경영향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지역커뮤니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평가제도의 역할과 과제를 문헌조사, 제도분석과 기존사례분석을 통하여 밝혀내고, 환경평가 제도가 사회적 갈등예방을 위한 계획지원기법으로 전환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주민참여 수법에 착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커뮤니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환경평가제도가 갈등의 사전예방에 기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환경평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주민참여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현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필요로 하는 부분은 제외하고, 운영방식의 개선 또는 방법론의 개선으로 보완 가능한 부분을 위주로 제안한다. 즉, 최소한 지켜야할 사항을 규정한 제도적인 규제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현 제도내에서도 사업자의 자율적인 노력으로 가능한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지금까지 주민참여연구는 최소한 지켜야 할 사항에 국한되는 이른바 규제적인 지침의 성격이 강했다면, 이번 연구는 시업자의 자율의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 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제공하는 내용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근본적인 환경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은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기로 하며, 현 제도 내에서 할 수 있는 여러 방법론을 제안하는 쪽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내용과 정책제언 내용을 보고서 목차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환경갈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환경평가의 제도적 한계 여러 국책사업의 사례를 보면 환경영향평가가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갈등의 사전예방에는 큰 도움이 안 된 사례가 많다. 1990년대에는 행정계획은 평가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나, 2006년부터는 환경정책기본법의 개정으로 전략환경평가의 개념이 들어간 사전환경성 검토가 실시되어 계획의 목적,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제도의 한계를 지적하면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2.4절) 첫째, 환경평가의 기준이 절대평가 위주의 기준통과형으로 되어 있어, 최소한의 기준만을 지키면 통과되는 규제형의 환경관리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다. 목표설정과 대안비교를 통한 상대평가의 도입이 시급하다. 둘째, 환경평가제도가 환경부와의 협의를 위한 제도로 인식되어 있다. 환경부와의 협의는 결국 정부 내 조정에 불과할 뿐이므로, 정부와 주민과의 갈등상황에서는 환경부와의 협의결과라고 해도 주민으로부터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정부 내 협의를 위한 제도에서부터 벗어나 사회적 합의형성을 추구해야 한다. 셋째, 지금의 환경평가제도는 자연과학과 공학을 중심으로 한 항목별 검토에 치중되어 있다. 이러한 과학성만이 아닌 민주성의 강화가 시급하다. 주민참여와 정보공개의 강화를 통하여 정보교류시스템으로써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민참여나 스코핑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지적받고 있으나, 이는 주민참여 수법이나 스코핑 기법이 부실해서 만이 아니라, 제도의 근본적인 방향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 근본적인 제도연구의 필요성(2장 전체 참조) 상당수의 기존연구는 연구의 범위가 환경영향평가제도만을 다루었을 뿐, 계획프로세스와의 관련성 또는 사회의 의사결정구조와의 관련성은 배제되어 있었다. 또한, 환경부의 협의를 조건으로 한 평가를 전제로 한 연구만이 실시되었기에, 환경부의 협의기능 그 자체에 대한 평가는 없었다. 지금까지 제도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은 환경부의 협의권 등 우리나라 고유의 특징과 협의기관의 역할 및 검토기관의 역할 등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등 환경영향평가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계획프로세스의 시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어떻게’라는 실현가능성으로부터의 수법연구가 아닌 ‘무엇을’, ‘왜’라는 필요성의 시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지난 25년간의 환경평가제도의 변천과정을 조망하면서 환경평가제도의 근원적 문제점을 재분석하고, 사업과 관련된 갈등관리와 환경평가의 위상을 정립하는 등 미래지향적인 제도의 혁신방향을 제안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현행제도에서의 주민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2.5절 참조) 현행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주민참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간단히 정리하면, 1) 참여자의 범위는 기존의 주민에서 공중(누구나 참가가능)으로 제한조건을 없애야하며, 2)참여시기는 기존의 평가서 초안단계에서 보다 빠른 스코핑 단계에서의 참여 및 평가서 본안 단계 등 모든 단계에서의 참여가 보증되어야 하며, 3)참여방식은 인터넷, 공청회 등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필요하며, 4)마지막으로 주민의견의 수렴으로만 끝나지 말고, 주민의견에 대한 반영 혹은 미반영의 이유를 밝히는 설명책임이 필요하다. 주민의 범위를 철폐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를 공중참여로 부른다. 공중참여는 일반시민참여(포럼형식)와 협의회형식(아리나형식)의 참여로 크게 나눈다.(3.1절 참조) 4. 일반시민참여 수법의 제안(3장 참조) 1) 정보교류를 위한 일반시민참여 수법으로는 문서형식보다는 회의형식이, 일방향정보제공보다는 양방향정보교류방식이, 그 자리에서 구두에 의한 토론이 가능한 형식의 공청회, 워크샵이 유효함을 알 수 있다.(3.2절 참조)설명회, 공청회, 워크샵의 매뉴얼 작성, 운영기법에 대한 연구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공청회는 의사조정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3.3절 참조)기존의 공청회가 의견수렴은 하고 있으나 의견의 조정 통합의 역할은 못하고 있다. 공청회에서도 제시된 주민의견과 사업자의 의견이 상반될 경우 이에 대한 제3자의 확인 절차가 없기 때문에 이해관계의 조정기능이 상실된다. 사업자가 주민의 의견을 듣기 위한 공청회에서 승인기관 또는 협의기관이 사업자와 주민의 양자의 의견을 듣고 조정하는 기능의 공청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참여형 기술영향평가 수법의 활용(3.4절 참조)과학기술분야에서는 참여형 기술영향평가 수법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합의회의, 시민배심원제도, 시나리오 워크샵, 공론조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전문가나 행정가 중심의 엘리트주의에서 벗어나고 있는 기술영향평가의 새로운 동향이 주는 교훈이다. 환경평가의 각 단계별 상황 및 지역상황, 또는 환경갈등의 성격(갈등 원인이나 당사자의 차이)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SEA의 스코핑 단계에서는 시나리오 워크샵과 합의회의가, EIA의 단계에서는 포커스그룹인터뷰나 공론조사 등이 유효하게 적용가능하다. 5. 대표성을 가지는 협의회 형식 참여수법의 유효성(4장 참조) 일반시민참여의 정보교류의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반면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은 떨어지게 된다. 반면에 여러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회 형식은 정치적인 영향력이 매우 크기에 의사결정에의 영향력도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시화호 사례나 일본의 사례에서 협의회 형식의 유효성은 검증되었다. 그러나 협의회라고 해서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설치와 운영의 조건이 중요하다. 1) 협의회설치까지의 프로세스사전에 협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의견 모집과 공개토론회 등 시민참가의 장을 마련하고 가능한 한 시민 의견을 반영하는 형태로 협의회의 성격, 역할, 구성, 선정 방법, 운영 방법, 설치 주체 등을 정한다. 2) 협의회의 성격사업자가 입안한 계획의 타당성을 판단하거나 의사결정을 하는 게 아니라, 계획의 필요성의 검토부터 대안의 설정까지에도 관여하는 계획지원의 성격을 가진다. 예를 들면 댐건설을 전제로 하는 협의회는 실패하기 쉬우며, 강 유역에서 어떠한 치수 대책을 진행시키면 좋을지, 또는 어떠한 시민참가와 합의 형성의 구조를 만들지에 대하여 시민참가로 검토하는 장으로 협의회를 구성해야 한다. 즉, 결론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시작해야 한다. 3) 협의회의 구성다양한 의견을 수집, 토의한다는 의미에서 다양한 주체(예를 들면 전문가, 시민단체) 등도 참여시킨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공정한 입장에서 논의할 수 있는 사람, 기술적 전문가만이 아닌 주민참여나 합의 형성에 관한 연구나 실천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참여시킨다. 4) 협의회의 운영 방법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독자적인 홍보 수단을 통해서 널리 시민에게 알려 공개토론회 등을 적절히 개최한다. 협의회의 합의 형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협의회와 지역사회는 끊임없이 정보교류를 시도해야 한다. 사무국은 행정 관계자뿐만이 아니라 NPO나 전문가 등 제3자가 가담되어 사무국이 공정하게 운영되도록 한다. 6. 갈등예방을 위해서는 일반시민참여나 협의회 형식의 참여 중 어느 한쪽이 유효한 것이 아니라, 여러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의회방식이 있다고 해서 일반시민참여가 필요 없는 것이 아니다.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갈등요소가 단순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환경영향평가나 사전환경성 검토제도는 계획수립을 위한 시스템이라는 점에 착목하여, 여기에 여러 가지 포럼형태의 참여적 형식을 도입함으로써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코핑 단계에서 스코핑 위원회라는 아리나가 시나리오 워크샵이나 합의회의와 같은 여러 가지 포럼을 주최하여 환경보전목표의 설정이나 대안의 설정이 나온다면, 그것은 협의형 평가가 아닌 계획형 평가를 위한 새로운 첫걸음이 될 것이다. 스코핑 위원회에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기에 포럼의 중립성도 보증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ong-Ja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