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효율성 향상을 위한 원시자료 공유체계 구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하종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2Z -
dc.date.issued 200705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7 WO-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0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연구효율성 향상을 위한 원시자료 공유체계 구축(전성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specialized in the study of environmental- related subject, performs around 100 researches every year. At this time, a lot of statistical data are necessary for research and corrected by purchasing or requesting from the outside. However KEI dose not operate the process of managing statistical data and brings about the wastes of research resources under the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s of the situation of statistical data usage for the last two year and shows the management schema of it in the best way for KEI. This study followed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we considered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environmental statistics data, raw data and meta data. After that, we partially revised the theoretical definition for this study. Second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electronic approval system and survey research a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situation of statistical data usage. Third case studies about the process of managing statistical data of other research institute are carried out to show the management schema of it in the way that is best for KEI.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raw data usage in KEI, it is corrected continuously and many researchers agreed on its necessity. The statistical raw data for major or occasional research is less than commissioned research. But the statistical raw data for all research was around 90 for the last two year. As the result of case study for procedures of management, every institute put regulation on data management and allowed a specific department to manage it. Above all, they have kept consistency in its management policy. Finally we showed our data management based on usages of statistical data and case studies. Our researchers continuously have been in demand of statistical raw data from outside. So we should make a specific department for statistical raw data management and carry out survey of preference in the data, a role of provider of it. Also we concluded that the regulation of it is a necessary component. Based on this research, we derived n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policy as follows; ’Management department of statistical raw data’ in an institute should lead to the national institute or system, i.e. the national environmental statistical information center. In this view, there are three policy direction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social capit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tatistical data in environment.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and manage an institute or system tentatively named "environment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Third, national institutes and statistical data production instruments should put regulation on management, provision and usages of statistical data. Also we suggest that Eco-STAR Projects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eed urgently to manage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in a similar research. Our study has implication of providing preliminary research directions that manage useful knowledge or information on the national leve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개요 <br> 2. 연구의 내용 <br> 3. 연구의 흐름 <br> <br>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사례조사 <br> 1. 개념정립 <br> 2. 국내 환경통계 개념 정립 및 범위 <br> 3. 본 연구에서의 정의 <br> 4. 타 기관 사례조사 <br> <br>제3장 분석 및 고찰 <br> 1. KEI 연구보고서 분석 <br> 2. KEI 설문조사 분석 <br> 3. KEI 전자결재시스템 분석 <br> 4. 분석 결과 <br> <br>제4장 원내 원시자료 통합 관리 방안 <br> 1. 원내 원시자료 관리 우선순위 선정 <br> 2. 제도적 공유 절차 및 관리 방안 <br> 3. 통계 생산 기관의 외부제공에 대한 관리 내부 규정 <br> <br>제5장 요약 및 결론 <br> 1. 요약 <br> 2. 향후 연구 방향 <br> <br>참고문헌 <br> <br>부 록 <br> A. 통계청 통계 메타정보시스템 메타항목 <br> B. 환경통계연감의 자료 목록별 출처 <br> C. KLI ‘통계자료 DB관리지침 <br> D. KEI 2004년, 2005년 기본, 수시과제 연구결과보고서 목록 <br> E. 과거 연구결과보고서의 통계자료 이용 현황 <br> F. 전자결재시스템에 저장된 원시자료 <br> G. 설문지 세부 내용 <br> <br>Abstra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개요 <br>2. 연구의 내용 <br>3. 연구의 흐름 <br>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사례조사 <br>1. 개념정립 <br>2. 국내 환경통계 개념 정립 및 범위 <br>3. 본 연구에서의 정의 <br>4. 타 기관 사례조사 <br> 제3장 분석 및 고찰 <br>1. KEI 연구보고서 분석 <br>2. KEI 설문조사 분석 <br>3. KEI 전자결재시스템 분석 <br>4. 분석 결과 <br> 제4장 원내 원시자료 통합 관리 방안 <br>1. 원내 원시자료 관리 우선순위 선정 <br>2. 제도적 공유 절차 및 관리 방안 <br>3. 통계 생산 기관의 외부제공에 대한 관리 내부 규정 <br> 제5장 요약 및 결론 <br>1. 요약 <br>2. 향후 연구 방향 <br> 참고문헌 <br> 부 록 <br>A. 통계청 통계 메타정보시스템 메타항목 <br>B. 환경통계연감의 자료 목록별 출처 <br>C. KLI ‘통계자료 DB관리지침 <br>D. KEI 2004년, 2005년 기본, 수시과제 연구결과보고서 목록 <br>E. 과거 연구결과보고서의 통계자료 이용 현황 <br>F. 전자결재시스템에 저장된 원시자료 <br>G. 설문지 세부 내용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4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Research -
dc.title 연구효율성 향상을 위한 원시자료 공유체계 구축 -
dc.title.alternative KEI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Building raw data sharing system for improving research efficiency -Focused on the KEI research paper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7-02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원은 환경관련 연구 전문기관으로서 매년 100여개의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 수행 중에 많은 통계자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구입 또는 공문요청으로 수집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원에서는 입수된 통계자료에 대한 적절한 관리 과정 및 절차의 부재로 통계자료의 수집이 중복으로 발생하여 경제적·행정적 낭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원내 수집 통계자료 현황을 파악하고 가장 적합한 자료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제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연구초기 환경통계, 원시자료, 메타 항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번 연구의 원내 연구자료 공유체계에 대한 적절한 정의를 하였다. 이후 과거 연구자료 사용 현황은 연구보고서 정리, 설문조사, 전자결재시스템 문서 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타 기관의 통계자료 관리 절차에 대해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 연구원에서 도입 가능한 관리 공유방안을 제시하였다. 원내 연구자료 사용현황으로서 2004년과 2005년에 연구 수행으로 원시자료가 지속적으로 수집되고 있었으며 그 필요성 역시 많은 연구원들에게 있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원내 과제인 기본, 수시과제에 사용한 원시자료는 그 규모가 외부 수탁과제에 비해서 현저히 적었지만 전체적으로 과거 2년 동안 약 90여개의 원시자료(중복포함)가 수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타 연구기관의 사례조사에서는 자체 내부 규정을 통하여 주관부서의 통계자료 관리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일원화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원내 과거 연구자료 사용 현황과 외부 기관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연구원에서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 연구원에서는 통계 원시자료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에 대해 원내 특정 주관부서가 주도적 선호도 조사 및 자료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적절히 운영 할 원내 내부 규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에 대한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연구원 차원, 연구책임자 차원 그리고 연구원내 자료 관리자 차원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일개 연구원의 내부적 통계 원시자료 공유체계는 국가 차원의 정보관리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즉 연구원 차원의 ‘통계 원시자료 관리부서’가 국가적 차원에서 주요 특성별, 환경관련 통계 자료를 통합 관리 제공하는 기관 또는 시스템의 기능이 있는 단계로 발전해 나아가야 한다. 이에 관련된 국가 정책적 기본 연구 방향으로 다음의 3가지를 열거하였다. 첫째 국가 환경 통계에 대한 관리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국가적 차원의 가칭 환경통계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연구원뿐만 아니라 외부 연구 기관별로 또는 국가적으로 통계자료에 대한 공유 및 관리에 대한 자료 관리 및 사용 규정을 명확화 작업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국가적 차원의 정보관리 방향으로서 환경 관련 통계자료에 한정하여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2001년부터 실시된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 사업 연구결과물 중 유용한 정보에 대한 통합 관리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차원에서 지식화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연구결과의 관리 및 제공을 위한 초기 연구의 기능에서 큰 의미가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