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공장 -
dc.contributor.other 최준규 -
dc.contributor.other 박영민 -
dc.contributor.other 송영일 -
dc.contributor.other 사공희 -
dc.contributor.other 이상범 -
dc.contributor.other 정주철 -
dc.contributor.other 임영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1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RE-1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8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8-12.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_조공장.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EIA over the last 30 years As of 2008, Korea has been implementing EIA for thirty years.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IA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o defin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EIA by conceptualizing and analyzing EIA limits, and then to present long-term development plans regarding EIA in Korea. Amendments to EIA in Korea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Korean EIA process based on major EIA chang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Korean EIA changes based on trial and error and frequent process modification. After the EIA law was enacted as an individual law in 1993, the EIA law has been modified 14 times in order to introduce EIA drafts, scoping processes, PERS, etc. 2. Korean EIA was adopted as a process without the clarification of EIA objects or definitions. It was an inevitable choice to introduce EIA processes due to political pressure (i.e., conflict between environmental division and development division). 3. Unlike EIA laws in foreign countries, Korean EIA has a feature to regulate the content because EIA is considered a concertation process and regulates the contents of the fields and items for EIA review. 4. The regulation feature of Korean EIA is intensified by increas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concertation authority and defining limited responsibility to developers and the approval authority. 5. Korean EIA emphasizes functions as a coordinated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 Analysis of EIA effects In this chapter, the effects and factors of EIA are analyzed by using the proposed analysis model of EIA effects. 1. Plans are modified to consider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the EIA process. 2. The quality of a development planning draft is enhanced progressively because of the systemized EIA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 3. The enhanced quality of a development planning draft is the result of these three causes: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guidance, the improved status of an environmental divis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d review quality of KEI as an EIA review institut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he result of these continuous efforts: the alternative comparison of PERS, the improved status of the EIA agency, and the modification of laws (i.e., provision to establish EIA review institute, KEI). EIA Implementation problems This study adopts Germany's policy evaluation methodology, FUTUR, to identify EIA implementation problems.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roblems: discrete problems and fundamental problems conceptualized from individual problems. The discrete problems include mechanical public participation, irresponsibility of an approval authority, the implementation problems of a concertation authority and review institute, unreliable EIA reports, and the reduced effectiveness of EIA caused by routine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five problems conceptualized from the discrete problems represent the fundamental problems of EIA in Korea. 1. Concertation process with regulation features 2. Limited planning support functions 3. Limited public participation and social-conflict management 4. Limited information disclosure and transparency in decision-making 5. Repeated and inefficient EIA process EIA development planning The concertation process and PERS are crucial subjects with regard to any discuss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EIA and its achievements. In the 1980s, when there was limited concern for the environment, EIA was sustained through the concertation proces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at the same time, EIA demonstrates limited functions to impose responsibility on developers and the approval authority and insufficiently regulates government-run (government financed) projects. Thus the EIA features of a concertation process are referred to as the limitedness of EIA development.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four suggestions regarding the further development of EIA in Korea. 1. EIA must move from being regarded as a concertation process to being a planning process for developers. 2. EIA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screening and the activation of scoping 3. EIA should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an approval authority and enforce the specialization and objectivity of the concertation authority and review institute. 4. EIA functions should include social-conflict management tools and emphasize information disclosure, public participation, and Social Impact Assessments (SIA), et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가. 환경평가제도 30년간의 성과분석 <br>나. 환경평가제도의 발전방향 <br>다. 연구의 구성 <br>3. 선행 연구 고찰 <br> 제2장 환경평가제도의 변천 <br>1. 분석의 프레임 <br>2. 평가제도 기본구조의 변화 <br>가. 법령의 변화 <br>나. 법 구조의 변화 <br>다. 평가제도의 목적 <br>라. 평가의 정의 <br>마. 평가시점 및 기준 <br>바. 대상사업 <br>3. 평가서 작성 관련 내용의 변화 <br>가. 평가서 작성자 <br>나. 작성비용 및 분리발주 <br>다. 검토 및 협의 <br>라. 승인 및 승인 후 절차 <br>4. 제도 운영 관련 내용의 변화 <br>가. 정보공개 <br>나. 주민의견수렴 <br>다. 협의기준초과부담금 <br>라. 사전환경성검토와의 관계 <br>5. 고찰 <br> <br>제3장 환경평가제도의 효과분석 <br>1. 분석의 프레임 <br>2. 효과분석의 모델 및 가설 <br>가. 효과분석모델 <br>나. 효과분석의 가설 <br>다. 조사방법 <br>3. 환경평가의 효과분석 <br>가. 환경평가를 통한 계획내용의 변화 <br>나. 계획내용의 시대적 변화 <br>다. 계획의 변화요인 <br>4. 고찰 <br> 제4장 환경평가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br>1. 분석의 프레임 <br>2. 운영상의 문제점 추출 <br>가. 평가관련 주체에 관한 문제 <br>나. 평가서 작성에 관한 문제 <br>다. 평가제도 운영상의 문제 <br>3. 평가제도 운영상의 근원적 문제 <br>가. 규제적 성격의 협의제도 <br>나. 계획지원 기능의 미약 <br>다. 주민참여와 갈등관리 <br>라. 정보공개와 의사결정의 투명성확보 <br>마. 절차의 중복과 비효율성 <br>4. 고찰 <br>가. 개별 문제점 및 해결방향 <br>나. 구조화된 문제점 및 해결방향 <br> 제5장 환경평가제도의 발전방향 <br>1. 평가제도의 기본방향의 재설정 <br>가. 평가제도의 역할 재설정 <br>나. 전략환경평가의 재설정 <br>다. 평가대상사업의 재설정 <br>2. 환경평가 절차의 개선방안 <br>가. 스크리닝 : 대상사업에 따른 절차의 차별화 <br>나. 환경평가 절차의 통합방안 <br>다. 스코핑의 활성화 <br>라. 계획단계와 승인단계의 분리 <br>마. 사후관리와 사후평가의 분리 <br>3. 주체별 역할의 개선방안 <br>가. 승인기관의 책임 강화 <br>나. 협의기관의 역할 효율화 <br>다. 검토기관의 전문성과 중립성 확보 <br>라. 평가대행자의 컨설팅 역할 강화 <br>4. 의사결정의 투명성 및 합의형성 <br>가. 정보공개 개선 <br>나. 주민참여 개선 <br>다. 사회영향평가의 도입 <br> 제6장 결 론 <br>1. 요 약 <br>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나. 환경평가제도의 변천 <br>다. 환경평가제도의 효과분석 <br>라. 환경평가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br>마. 환경평가제도의 발전방향 <br>2. 향후 연구과제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5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EIA over the last 30 year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8-12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시행된 지 30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특히 우리나라 제도 고유의 특징에 대해서도 장 · 단점을 명확히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제도의 30년간의 성과와 한계를 종합적으로 평가 · 분석하고, 근본적인 문제발굴을 시도하며 평가제도의 한계에 대한 구조화 및 원인분석을 통해,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가 중 · 장기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환경평가제도의 변천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의 주요 변화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평가제도의 변화내용의 특색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잦은 제도의 변화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1993년 환경영향평가법이 개별법으로 제정된 이후에도 14번에 걸쳐 법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가서 초안의 도입, 스코핑제도의 도입, 그리고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도입 등으로 꾸준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 평가제도는 협의제도로 도입되었다. 평가의 목적이나 정의가 불분명한 상태로 도입되었으며, 이는 제도 도입을 위한 정치적인 상황( 환경부처와 개발부처 간의 대립 등)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셋째, 미국, 일본 등 외국의 평가제도가 절차법임에 비해, 우리나라의 제도는 내용을 규제하는 규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는 평가제도를 협의로 인식하고 분야별, 항목별로 내용을 규제하기 때문이다. 넷째, 사업자와 승인기관의 역할이 미비하고 협의기관인 환경부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제적인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다섯째, 환경영향평가제도가 행정부 내에서의 조정절차로서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제3장 환경평가제도의 효과분석 본 장에서는 환경평가제도의 효과 및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평가제도의 효과분석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첫째, 환경평가를 거치면서 Pi는 환경적인 면을 고려한 계획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평가가 제도화되고 환경평가의 시행경험의 누적 및 학습 효과로 인하여 사업자의 계획초안의 질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셋째, 계획내용의 수준향상에는 크게 3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환경친화적인 설계지침의 마련, 사업자 내부에서의 환경팀의 역할 강화, 전문검토기관인 KEI의 설립 및 검토의견의 수준 강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이러한 변화에는 사전환경성검토의 도입으로 대안의 검토가 가능하게 된 점, 분리발주의 실시로 환경영향평가대행자의 위상이 강화된 점, 평가서 전문검토기관인 KEI가 설립을 규정하는 등 법개정을 통한 꾸준한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다. 제4장환경평가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환경평가제도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발굴하기 위하여 독일의 정책평가 방법론인 FUTUR의 방법론을 응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개별 문제점과 이를 바탕으로 구조화시킨 근원적인 문제점으로 나눌 수 있다. 개별문제점으로는 형식적인 주민참여, 승인기관의 무책임,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의 운영상의 문제점, 평가서의 부실작성, 획일적인 운영으로 인한 평가의 효율성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별 문제점을 구조화한 결과 다음의 5가지를 우리나라 평가제도의 근원적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규제적 성격의 협의제도라는 문제점이다. 둘째, 계획지원기능이 미약하다는 점이다. 셋째, 주민참여와 갈등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넷째, 정보공개와 의사결정의 투명성 확보가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절차의 중복과 비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이다. 제5장 환경평가제도의 발전방향 우리나라 제도의 성과와 발전방향을 논의하는데 있어서의 핵심단어는 협의제도와 사전환경성검토이다.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았던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환경평가제도를 지탱해온 원동력은 협의기관에 의한 협의제도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승인기관과 사업자의 무책임 그리고 정부추진사업에 대한 견제기능에 한계를 노출하고 말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한계로도 협의제도가 지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 평가제도의 발전방향으로 다음의 4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평가제도가 협의를 위한 제도가 아닌, 사업자의 계획지원을 위한 도구라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절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환경평가제도의 일원화, 스크리닝의 도입과 스코핑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승인기관의 책임이 강화되어야 하며,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의 전문성과 중립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정보공개, 주민참여, 사회영향평가 등이 강화되어 갈등관리를 위한 도구로써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ong-Ja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