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과 관리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수재 -
dc.contributor.other 이영준 -
dc.contributor.other 김지영 -
dc.contributor.other 사공희 -
dc.contributor.other 이은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1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RE-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8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8-14.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 및 관리방안_이수재_부록.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Geological Heritage and Management in Korea This paper gathered information regarding the geological heritage of Korea and classified the data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More than 2,000 geological sites were recorded, and information was drawn from research papers, articles, reports, monographs, surveys, websites, etc. After the data was collected, 1,000 of the 2,000 geological sites were entered into a GIS-based database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eodiversity of Korea is relatively high considering the small size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concept, the acknowledgement and legal management of the geological heritage of Korea is now in the early stagesof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otect and promote the geological heritage of Korea. This paper suggests that 10~12 national geoparks should be designated in order to bring archaeological, cultural, histor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to powerful clusters. The database included in this study needs to be amended with on-site investigations because only previously written literature and data was used. Keywords: geoheritage, GIS-based geosite database, geopark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국문요약 <br>약어일람 <br> 제1장 서론 <br>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 가. 연구배경 <br> 나. 필요성 <br> 2. 연구 목적 <br> 3. 연구 내용 및 범위 <br> 가. 연구 내용 <br> 나. 연구 범위 <br> 4. 연구 방법 <br> 제2장 지질유산의 개요 <br> 1. 지질유산의 개념 <br> 2. 지질유산 관련 용어 고찰 <br> 3. 지질다양성, 지질유산, 지질자원의 관계 <br> 4. 국내 지질유산 관리 현황 <br> 5. 지질유산 관련 선행연구 <br> 제3장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자료 <br> 1. 자료 조사 방법 <br> 2. 지질유산 자료의 조사 결과 <br> 3. 자료의 유형 <br> 4. 지질유산 자료의 내용 및 목록 작성 결과 <br> 가. 법정 지질유산 <br> 나. 국제협약에 의한 지질유산 <br> 다. 기타 <br> 라. 지질 관련 웹 정보 <br> 제4장 국외의 지질유산 관리 현황 <br> 1. 법·제도적 운영 현황 <br> 가. 유엔(UN) <br> 나. 유럽 <br> 다. 미국 <br> 라. 영국 <br> 마. 호주 <br> 2. 지질유산 관리제도의 운영 사례 <br> 가. 세계유산 <br> 나. 지질공원 <br> 3. 국가급 지질유산 운영 사례 <br> 가. 유럽 <br> 나. 영국 <br> 다. 호주 <br> 4. 국외 지질유산 관리 사례의 시사점 <br> 제5장 지질유산의 정보구축 방안 <br> 1. 국내 지질유산 정보구축의 필요성 <br> 2. 지질유산 정보자료의 제공 유형 및 효용성 <br> 3. 지질유산 정보자료의 구축 내용 <br> 가. 정보자료의 처리방법 <br> 나. 수록된 지질유산의 유형 <br> 4. 국외의 지질유산 정보구축 사례 <br> 가. 유럽의 NATURA 2000 NETWORK <br> 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망(Unesco Global Geopark Network) <br> 다. 영국의 지질보전장소(GCR sites) <br> 라. 영국의 과학적특별흥미장소(SSSIs) <br> 마. 호주 <br> 바. 국외 지질유산에 대한 웹 정보의 시사점 <br> 5. 지질유산 정보자료의 활용방안 <br> 제6장 국내 지질유산의 관리방안 <br> 1. 우리나라 지질유산 관리의 문제점 <br> 2. 지질유산 관리의 개선방안 <br> 가. 지질유산 관리를 위한 법·제도 도입방안 <br> 나. 지질유산의 선정절차 도입 <br> 다.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방법 도입 <br> 라. 지질유산위원회(Geological Heritage Committee) 운영 방안 <br> 마. 유형별 관리등급의 설정방안 <br> 바. 지질유산의 유형 및 위계별 관리방안 <br> 사. 지질다양성의 인식 증진 방안 <br> 3. 지질유산의 활용방안: 지질관광의 활성화 <br> 제7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론 <br> 가. 지질유산 목록 작성의 의의 <br> 나. 지질유산 정보자료의 구축 <br> 다. 지질유산 목록의 한계 <br> 라. 지질유산 목록의 효용성 <br> 2. 제언 <br> 가. 지질유산 관리계획의 법제화 필요 <br> 나. 지질유산 정보의 전산자료화 필요 <br> 다. 지질유산위원회(Geological Heritage Committee)의 운영 <br> 라. 국가지질공원의 추진 및 운영 <br> 참고문헌 <br> 부록 1 지질유산 목록 <br>부록 2 자체 조사 지질유산 목록 <br>부록 3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유산 세부 설명자료 항목 <br> Abstract -
dc.format.extent 38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과 관리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Geological heritage and management in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8-14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국내의 지질유산(geological heritage)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모아 유형별로 목록을 작성하여 그 정보를 구축하였다. 지질정보가 구축된 자료 중 위치정보(GPS)가 있는 것은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자정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지질 목록은 2,000여 개이며 이 중 약 1,000 개가 지리정보체계(GIS)에 수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지질유산의 관리 현황을 법·제도 측면에서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국내에 도입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외의 지질유산 관리의 공통점은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조사 및 발굴 작업을 하는 한편, 웹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일부 국가는 조사된 지질유산을 이용하여 지질공원 지정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지질유산에 대한 개념이 미정립되어 있으나, 향후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지질장소(geosite)를 적극 발굴하고 이들 중 중요한 것은 법정 지질유산으로 지정하는 한편, 많은 국민들이 지질다양성을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10~12개의 국가지질공원을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울릉도(독도 포함) 등이 국가지질공원 및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 지역경제 뿐만 아니라 영토 수호 차원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질공원은 행위제한이 거의 없는 자발적인 공원형태로서 기존의 국립공원 등과는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본 연구는 제한된 시간 내에서 수행한 자료를 구축한 것이므로 향후 지질장소의 추가 발굴과 조사·분석된 자료의 현장 검증 및 지질유산의 가치 부여 등의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성평가 업무에 바로 활용이 가능하며, 일반인들에게 제공시 지질관광 혹은 생태관광 및 학생들의 자연탐사 활동이나 현장체험학습 장소와 탐구 등과 연계하여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별 요약 제1장 서론 본 연구는 최근 제주도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세계지질유산으로 지정되는 등 국내에서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질유산을 국가적으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다루었다. 또한 연구결과를 환경평가나 기타 자연환경보전업무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지질유산 및 지질다양성 개념의 정립, 국내·외 지질유산의 관리 현황의 조사, 국내 지질유산 자료의 조사·분석·목록작성, 지질유산의 전자정보 구축,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방안 제시, 지질유산의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의 제시 등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남한에 한정하여 지형분야 일부를 포함한 지질학적 사항을 위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등의 설문조사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하였고, 전문적 현장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제2장 지질유산의 개요 본 연구에서는 지질다양성, 지질보전, 지질유산, 지구유산, 지질공원, 지질관광 등의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지질다양성, 지질유산 그리고 지질자원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국내에서 지질유산의 관리는 문화재보호법과 자연환경보전법, 습지보전법 등의 개별법에 지형·지질 관련 조항이 있어서 제도적 장치는 구비되어 있지만, 정기조사 및 통합관리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로 이수재 외(2003)가‘보전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설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고, 본 연구는 그 연구의 후속과제의 성격을 갖는다. 제3장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자료 지질유산 자료는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분석과 신규 자료의 작성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지질유산 관련 자료는 천연기념물, 명승, 국립공원, 천연/자연동굴, 해안사구, 도서, 화석, 세계자연유산, 지질장소 등이다. 조사된 지질유산의 숫자는 총 2,063개였으며 이 중 GPS 좌표를 파악한 것은 999개이다. 법정 지질유산으로는 문화재보호법과 환경 관련법에 의한 지질유산이 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상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하고 접근하기 매우 용이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비법정 지질유산의 경우 자료의 형태와 정보의 제공 내용이 상이하여 조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문화재의 천연기념물과 명승 중 지형·지질과 관련된 것은 각각 60개 및 25개이며 국내에서 꾸준히 조사한다면 더 많이 발견되거나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환경 관련법에 의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전국내륙습지조사, 전국자연동굴조사,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 전국해안사구 정밀조사, 하구역 생태계정밀조사는 지형·지질과 관련된 조사항목을 정해두고 있으나, 지질학적인 사항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자체조사 목록은 우리나라의 지질유산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제4장 국외의 지질유산 관리 현황 국외에서는 지질유산에 대하여 관련 법·제도를 통하여 활발히 조사하고 가치평가를 한 후 적극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유엔의 경우 유네스코와 유엔환경계획을 통해 세계문화유산과 지질공원을 주관하고 있다. 유럽은 유럽의회 주도로 CO-DBP/GEO에서 지질유산(geological heritage)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에 있으며, NATURA 2000 연결망으로 연계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지형·지질 전문가 그룹인 ProGEO는 유럽 지질장소 목록을 작성 중이며, UN Geopark 계획과 협력하여 올해의 지질장소(Geosite of the year)를 매년 선정하고 있다. 영국은 자연유산을 가장 잘 보전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며 야생동물 및 지형·지질유산 보호를 위해 National Parks(국립공원), 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과학적특별흥미장소), Geological Conservation Review site(지질보전장소) 등과 같은 것을 법·제도적 근거에 따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호주는 지질유산에 대하여 IDEM(Identification-Documentation- Evaluation-Management)을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다양한 보호지역을 운영함으로써 부수적으로 지형·지질유산을 보호하는 형태의 법제도를 가지고 있어서 지질유산을 특별히 보호하는 제도는 없다. 지질적인 특색을 위주로 하여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것이 지질공원(geopark)인데,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세계지질공원은 18개 회원국에 총 57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국외의 지질유산 관련 운영 사례를 살펴보면, 철저하게 지질학적 특징을 중시하는 관련 법·제도를 마련하여 전담부서로 하여금 지질유산의 보호주체, 보호의 대상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또한 이들에 대한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여 공개성 및 접근성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지질유산과 관련된 학술활동 및 정보교환 등이 매우 활발하다. 특히 지질공원은 이러한 요소들이 관광과 연관되어 지역경제 개발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주민에게 환영받고 있다. 제5장 지질유산의 정보구축 방안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흩어져 있는 지질유산을 목록화하고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전문인과 일반인에게 우리나라의 지질다양성의 현황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지질유산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할 경우 전체적인 지질유산의 분포 경향 및 지형과의 연계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보전 및 개발계획 수립시 합리적 개발방향의 설정, 학술적 연구, 교육자료, 관광자원, 국제적 인지도 제고 등으로 한국의 지질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지질유산 항목은 10개 분야이고 GPS 위치좌표를 가지고 있는 항목은 7개 유형(천연기념물, 명승, 해안사구, 천연/자연동굴, 세계자연유산, 기타 지질유산)이다. 국외의 경우 많은 나라가 웹 기반의 지질유산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데, 그 중 NATURA 2000의 경우 유럽 연합 사이트와 각 국의 사이트를 운영하며 웹상에서 NATURA site의 위치를 표시하여 그 지점을 접촉하면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세계지질공원의 경우 각 국가의 지질공원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각국의 지질공원 홈페이지를 연계해 두고 있었다. 영국의 경우 중요한 지질장소에 대해 광범위한 자료를 웹 기반으로 제공하여 접근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주의 경우 지질유산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호주유산 목록과 상호반응 지도(interactive map)를 제공하여 웹상에서 지리정보와 함께 지질유산의 지질학적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제6장 국내 지질유산의 관리방안 우리나라에서 지질유산의 관리는 법제도적으로는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 및 운영에서 미약하다. 하지만 국내 지질유산은 그 다양성이 풍부하므로 이들을 적정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지질유산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정기적인 조사·분석 및 보완하는 법정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전문가의 노력으로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지질유산 선정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지질유산과 관련된 학문적 성과를 정보자료로 구축하여 자연환경보전 업무에 활용하고, 보호대상에 대한 보호범위 설정, 보호주체 지정, 보호재원 마련, 후속적 관리 조치 등 지질유산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질유산은 다른 관광문화 요소와 결합되면 그 유용성이 가중되므로 국가 혹은 지역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지질정보 자료는 환경성평가 업무에 바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육적 자료와 지질관광 및 관광 홍보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특히 지질정보 자료는 지질장소의 내용 및 위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향후 가치평가를 수행하면 등급별로 지질보호구역(지질공원, 세계유산 등)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제7장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질유산의 목록을 광범위하게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그동안 지질유산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그리고 일부 지질유산에 대하여 전자정보화하여 그 범용성을 확대하였다. 또한 지질유산의 종류별 검색 및 도면화로 지역별 지질장소의 분포현황 및 지질별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모든 지질대상을 다 포함할 수 없었으며 현장을 전수 검증하지 못하여 향후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이 지질유산 목록은 다음의 효용성을 갖는다. 첫째, 한국의 지질유산을 체계적으로 작성·목록화하여 보존·관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된다. 둘째, 한국의 지질유산의 학술·교육·관광적 측면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환경평가 업무에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일부 자체조사한 지질대상은 가치등급에 따라 보전범위를 설정하는 등 보전대상에 대한 구체성을 구비하여 훼손·멸실의 위협으로부터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바는 지질유산 관리계획의 법제화로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법제화 과정 중 경과조치로서 전국자연환경조사 등에 지질대상을 포함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다. 조사 및 보호대상으로 선정된 지질유산을 영국의 과학적특별흥미장소(SSSI)나 지질보전장소(GCRs)처럼 체계적으로 전산자료화하여 국민이 쉽게 접근 및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질유산 후보목록에 대하여 가치등급을 하는 (가칭)지질유산위원회를 운영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지질유산 대상의 분류, 가치평가 기준, 관리방안 등에 대하여 대원칙을 설정하여야 한다. 한국은 국토의 지리적 규모와 지질다양성의 특성을 볼 때 10-12개의 국가지질공원이 필요하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 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