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본계획의 환경부문 계획 수립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준규 -
dc.contributor.other 주용준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2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8-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8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BA-01. 도시기본계획의 환경부문 계획 수립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_최준규.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related Sections of the Urban Plan In this study, we made some suggestions to strengthen environment-related sections of the urban pla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deduced assessment factors from the environment-related sections of the guidelines for urban planning the chief opinions collected during the review process of both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assessment criteria of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we conducted case studies on existing urban plans. On the basis of analyses for the deduced assessment factors, we concluded that some improvements need to be achieved in the following five sections: In the sec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necessary to describe, in detail, ecological conditions (e.g., vegetation and animals) and to take into account the area's uniqu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n the section on high-level or related plans, environment-related policies within those plans need to be included. In the sect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ning objective and indicators, the objective and action plan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area's own characteristics. Action plans should consider the integrity and coherence ofeach sectional plan. Various environmental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to achieve quality (not quantitatively) evaluations and to meet urban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In the section pertaining to urban spati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lternatives to the conservation axi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xis. Also, environmentally-friendly urban spatial structures should be planned after analyzing, in detail,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alternative. In the section on land use planning,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conservation areas; taking into account natural resources. Furthermore, areas thatconserve or reserve development in development-possible areas need to b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reas. In the section regard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lan thena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should be coherent with other plans related to landscape, parks, and greenspac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제1장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일반적 고찰 <br>1. 도시기본계획의 개요 <br>2.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br> 제3장 실태분석을 위한 평가요소 설정 <br>1. 도시기본계획의 평가기준 <br>2. 도시기본계획의 환경관련 수립내용 분석 <br>3. 평가요소의 도출 <br> 제4장 도시기본계획의 작성실태 및 개선방안 <br>1. 평가대상 및 방법 <br>2. 작성현황 및 개선방안 <br>3. 종합분석 <br> 제5장 결론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iv, 9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도시기본계획의 환경부문 계획 수립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related sections of the urban plan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 -
dc.title.partnumber 2008-01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도시기본계획은 20년 이상의 장기적 관점에서 도시의 미래상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의 실현 및 평가를 위해 5년 단위로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등 도시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정책적·물리적 계획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도시기본계획에서 수립된 환경부문의 정책과 계획, 전략 등은 향후 도시의 미래 환경을 결정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도시의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환경적 측면에서의 검토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기본계획의 평가방법과 기준 등을 제시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하여 도시기본계획의 환경과 관련된 부문이 어떻게 수립되는지를 조사·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의 평가기준과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의 환경부문 내용, KEI와 환경부의 도시기본계획 주요 검토의견 등을 조사·분석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도시기본계획의 수립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시기본계획의 환경성 강화를 위한 기본방안을 계획 부문별로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의 특성과 현황부문에서는 도시환경조사의 항목에 대한 생태/식생 동식물 등의 생태환경조사를 보완하여 세부항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현황조사 항목의 선정이 필요하다. 상위 및 관련계획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상위 및 관련계획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시기본계획의 환경부문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전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현재 도시의 환경적 문제점이 무엇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해결해야 할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주민참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여 도시의 실질적인 주인이며 계획의 영향을 받는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의 목표와 지표설정 부문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목표 및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추진전략은 부문별 계획과의 일관성 및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환경지표는 도시목표 및 환경목표에 부합하고 양적인 평가가 아닌 질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기본구상 부문에서는 개발축뿐만 아니라 보전축에 대한 대안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환경적 측면에서 구체적인 장·단점을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도시공간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토지이용계획 부문에서는 자연환경요소를 충분히 고려한 보전용지의 선정이 필요하며, 개발가능지 중 보전이 필요하거나 개발을 유보하여야 할 지역에 대해서도 보전용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환경보전 및 관리부문은 오염매체별 환경관리도 중요하지만 자연생태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환경보전 및 관리부문의 정책적인 성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관 및 미관계획과 공원·녹지계획과 연계성을 가지고 환경보전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oon-Gyu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