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환경포럼 2008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추장민 -
dc.contributor.other 강광규 -
dc.contributor.other 박경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2Z -
dc.date.issued 20090213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정-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9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남북환경포럼 2008_추장민.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1. 포럼의 취지 및 운영 경과 <br> 2001년 이후 남북간 환경전문가 교류 및 환경협력 방안을 발굴하기 위하여 환경부· 통일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공동으로 남북 환경포럼을 구성하여 운영해왔다. 그동안 북한의 환경현황과 환경문제, 남북환경협력 추진의 기본방향 및 남북 환경협력방안 등에 대해 관계 전문가와 함께 논의해 왔다. 그리고 남·북한 환경전문가간의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협력 가능성 타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난 7년간 남북환경포럼의 운영성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남북환경포럼 운영 성과(2001년~2007년) <br> <br> <br> <br> <br> <br> 연도 <br> <br> 추 진 현 황 <br> <br> <br> 2001년 <br> <br> - 남북환경협력 추진의 기본방향, 남북 에너지와 환경협력 방안, 남북 생태통합 및 국토·토지 공동관리방안, 북한의 지하자원법제 등 총 9개 주제 논의 <br> <br> <br> 2002년 <br> <br> - 남북환경공동체 의의와 추진방향, 남북 경제협력의 활성화와 환경분야 대응방향북한의 물 관리와 환경협력 전망, 개성공단 건설과 남북환경협력 등 총 11개 주제에 대한 논의 <br> <br> <br> 2003년 <br> <br> - 개성공단개발에 따른 한강하구 환경보전을 위한 남북한 공동연구, 2003년도 북한의 환경정책 실태 및 평가 등 10개 주제 논의 <br> - 북한전문가(일본 조선대 정종렬 교수) 및 현대아산(김윤규 사장) 초청 강연을 통한 북한에 대한 이해와 관심 촉진 <br> <br> <br> 2004년 <br> <br> - 남북환경포럼은 북한지역의 산림복구지원을 포함한 국토, 자연자원 현황 및 관리보전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운영 <br> - 동북아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한·중 워크숍 개최(5월24~28일) <br> <br> <br> 2005년 <br> <br> - 정부부처 관계자 및 학계·연구기관·민간단체 전문가 등이 참가하는 포럼 및 집필진을 구성하여 산림, 경기북부접경지역, 농업, 개성공업지구, 설악-금강 연계 접경생물권, 북한오염배출기준 및 환경보호기준에 대한 실천방안 연구 <br> - 남북경협 환경가이드라인 제정 및 적용방안에 관한 정책 제언 <br> <br> <br> 2006년 <br> <br> - 베트남, 중국 등 체계전환국가의 경제특구에 대한 법, 제도, 환경관리 현황 연구 <br> - 북한 경제특구에 대한 효율적인 환경관리 방안 마련 <br> <br> <br> 2007년 <br> <br> - 물환경, 해양환경, 에너지 및 대기,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보호지역관리, 산림, 토양, 환경인프라 등 분야별 환경협력 방향 및 협력과제 제시 <br> - 남북환경협력관련 법령집 발간 <br> 차 례 <br> 1. 포럼의 취지 및 운영 경과 2. 2008년 포럼 운영 경과 3. 정책자료집의 구성 <br> 제1장 남북관계와 북한 산림복구 지원사업 □ 새 정부 이후의 남북관계 □ 남북관계와 북한 산림복구 지원사업 현황 □ 겨레의 숲을 중심으로 한 민간의 2007년 사업 추진 실적 □ 겨레의 숲을 중심으로 한 민간의 2007년 사업 성과 및 과제 □ 겨레의 숲을 중심으로 한 민간의 2008년 사업 목표 1. 양묘 생산기반의 구축 2. 황폐산지 조림의 가시적 성과 도출 3. 산림병해충 방제의 지속 추진 4. 남북공동나무심기 행사의 안정적 추진 □ 겨레의 숲을 중심으로 한 민간의 2008년 사업별 추진 계획 1. 양묘장 조성 및 운영 2. 조림사업 3. 산림병해충 방제사업 4. 남북 공동나무심기 행사 □ 겨레의 숲 미참여 단체의 사업추진 현황 1. 남북함께살기운동-G한신 2. 한민족어깨동무 □ 현 남북관계하에서 산림복구사업 추진을 위한 노력 <br> 제2장 북한지역의 산림식생 변화 및 미래기후에 대한 취약성 - GIS 기법을 이용한 분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공통기후변화 시나리오 2. 토지피복 분류 3. 산림식생 예측 Ⅲ. 연구결과 1. 북한의 기후 2. 북한의 산림 3. 북한의 산림식생 Ⅳ. 결론 참고문헌 <br> 제3장 백두산 지역의 부석 분포 특징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1. 서론 2.부석의 지역 분포 특징과 범위 1) 부석의 분포 범위와 면적 2) 부석층의 두께 3) 부석 입자의 크기 4) 부석층의 수평적 분포 특징 3. 부석과 화산재의 형성시기 1) 상세(更新世Q3)의 부석 분출 2) 현세(全新世Q4)에 出된 부석과 화산재의 형성시기 4. 현세(Q4) 백두산 화산활동의 특징 5. 결속어 참고문헌 <br> 제4장 장백산자연보호구 생태환경보호와 관광개발 연구 1. 서언 2. 장백산자연보호구 개황 3. 장백산자연보호구 생태환경파괴 현황 3.1 자연적인 파괴 현황 3.2 인위적인 파괴 4. 생태환경보호 대책 참고문헌 <br> 제5장 두만강하류지역의 생태환경특성 및 보호관련 연구-습지 및 야생동물 서식처를 중심으로 1. 서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2.1 연구범위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연구대상지 현황 3.2. 두만강하구 생태현황 분석 및 도면화 과정 3.3. 존재하는 문제점 및 앞으로의 보호방향 4. 결론 참고문헌 <br> 제6장 백두산자연보호구 관리체제 현황과 향후 과제 Ⅰ. 서론 Ⅱ. 백두산자연보호구 지역 개황과 관리체제의 변천 1. 지역 개황 2. 관리체제의 변천 Ⅲ. 백두산자연보호구 관리체제구성 및 현황분석 1. 법적 관리체제 2. 행정부문의 설치 및 관리체계 Ⅳ. 결론 및 향후과제 1. 관리체제의 특성 및 문제점 2. 향후과제 <br> 제7장 Balanceable principle-Issue Between Forest Cutting and Regeneration in Changbi Mountain Forest Area 1. Introduction 2. Characteristics of the degenerated ecosystems 2.1 Mature and overmature forest decreases greatly 2.2 Forest bio-diversity was reduced 2.3 The stability of forest ecosystem was reduced 2.4 The ecological economic function of the forest decreased 2.5 The forest landscape tends to be fragmentation 3. History of forest cutting methods 3.1 Diameter-class selective cutting 3.2 Clearcutting 3.3 Upbringing selective cutting 4. Cutting and regeneration methods 4.1 Principles of determining a cutting method 4.2 Cutting methods of broad-leaved Korean pine mixed forest 4.3 Cutting methods of larch forest 4.4 Restoration of degenerated forest ecosystems 5.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5.1 General discussion 5.2 recommendations References <br> 제8장 호수 퇴적물 분석을 이용한 백두산 지역의 기후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지역 3. 코어 퇴적물 및 퇴적상 Ⅱ. 분석방법 1. 입도 측정방법 2. 생물기원 실리카 함유량 3. 광물 입자 함유율 Ⅲ 분석결과 1. 광물 입도(Mineral Grain size, Φ) 2. 생물 기원 실리카(Biogenic silica) 함유율 3. 광물 함유율 4. 광물 입도와 각 요소와의 상관관계 Ⅳ 원지 호수 퇴적물 특성과 수문기상관측 데이터 비교 1. 광물 입도와 강수량 2. 생물기원 실리카 함유량과 기온 Ⅴ 종합토의 1. 호수 퇴적물 광물 입도의 환경기록 2. 호수 퇴적물 중 Biogenic silica 함유량의 환경기록 3. 원지 호수 퇴적물의 환경변화 제시 의의 Ⅵ 결론 및 과제 1. 결론 2. 과제 참고문헌 <br> 제9장 Study of Drought and flood Model for Changbai Mountain Area based on Recent 50 Years 1. Data 2. Construction of drought and flood model for Changbai moutain area 2.1 Calculation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2.2 drought and flood model for Changbai mountain area conclusion References: <br> 제10장 백두산 생물다양성 현황 및 보전방안관련 연구 1. 서언 2. 백두산 생물다양성 현황과 보호의 필연성 2.1 백두산 생물다양성의 현황 2.2 백두산 생물다양성보호의 필연성 3. 생물다양성 보호전략 3.1 생물다양성 보호의 주요도경 3.2 생물다양성 보호의 특수성 조치 참 고 문 헌 <br> 제11장 연변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 및 분포특성 분석연구 1. 자연 개황 2. 연변지구 진귀, 희귀 및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 2.1 진귀, 희귀 및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 종류 2.2 구역 특점 2.3 연변지구 진귀, 희귀 및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분포 특점 3. 연변지구 진귀, 희귀 및 멸종위험에 처한 식물의 보호 현황 및 멸종위험 요인분석 3.1 보호구 현황 및 분석 3.2 생태환경의 위험요인 분석 참 고 문 헌 <br> 제12장 Effects of Land 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Value in Changbai mountain region 1. Introduction 2. REGIONAL SETTING 2.1 Location of the research area 2.2 Nature general 3. The foundation of Land Use Dynamic database 3.1 Data source and its main use 3.2 The foundation of Land Use Dynamic Database 4. Effects of Land 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Value 4.1 Land use change matrix analysis 4.2 The methods of ESV evaluation 4.3 The methods of sensitivity analysis 5. Results and discussion 5.1 Land use change matrix analysis 5.2 Change extent of LUCC 5.3 Changes of ecosystem service value (ESV) 5.4 Changes of ecosystem monomial service value(ESV) 5.5 Sensitivity analysis 6 Conclusion and Outlook 6.1 Summary 6.2 Prospects for the future work REFERENCES <br> 제13장 북한환경보호센터 설립방안 수립을 위한 사례조사 및 정책적 시사점 1. 글 머리에 2. 중일우호환경보호센터 가. 설립추진 과정 나. 현황 3. 평양정보과학기술대학 가. 설립추진 과정 나. 현황 4. 개풍양묘장 가. 설립추진 과정 나. 현황 5. 평양의료협력센터 가. 설립추진 과정 나. 현황 6.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xvi, 280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Environment policy- Research- Korea -
dc.title 남북환경포럼 2008 -
dc.type 정책자료집 -
dc.title.original Effects of land 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value in changbai mountain region -
dc.title.partname 정책자료집 -
dc.title.partnumber 2008-02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u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ang-M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Forum(정책자료집)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