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환경 관리전략 및 정책방향(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익재 -
dc.contributor.other 안종호 -
dc.contributor.other 한대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5Z -
dc.date.issued 200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09-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2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환경 관리전략 및 정책방향Ⅰ_김익재.pdf -
dc.description.abstract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Ⅰ):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arose from research on past changes in the water and aquatic environment and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therei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ts purpose was to evaluate potential vulnerabilities in sediment yield and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as both are factor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increases in temperature and fluctuations in rainfall, in particular during flood season), and then provide forecasts with respect thereto. To evaluate sediment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determine prospects for future sediment yield, a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model was first employed for a portion of alpine cultivated land in the Han River basin. Comparative analysis of outflow, peak outflow, and sediment discharge was performed using probable rainfall data sorted by frequency for each region. Results indicated that rainfall had increased 167% for the two year and 300 year frequency. Outflow had increased 249.4%, and peak outflow had increased 193.9%, while sediment discharge had increased 906.2%.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outflow and soil erosion had increased substantially along with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g. the intensity thereof) requiring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olicies to mitigate impacts by these changes. Furthermore, sediment yield vulnerability during flood season was evaluated through assessment of peak times of concentration (Tc ) using a kinematic wave equation, while a vulnerability map was developed for the total area of the Han River basin. Future prospects for sediment yield were deduced using 50 daily precipitation ensemble scenarios attained via the statistical regional down-scaling method and Markov Chain model based on the A2 scenario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well as bias correction. As a result, past vulnerability in sediment management during the flooding of the Han River basin was found to have fluctuated in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of the basin(e.g. landcover) In a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excluding some river basins) vulnerability will increase by 7.7% from 2011 to 2050, and by 11.3% from 2051 to 2090. Accordingly, appropriate management directives will likely be needed, including use of ground residue to create water impermeable areas with Low Impact Development(LID) and other policies to address issues with respect to the soil surface. Furthermore, river basins assessed as having high vulnerability should be evaluated for their eligibility for more intensive sediment management techniques. To perform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temperature in rivers and reservoirs, this study first reviewed statistical trends in air temperature data over the last 20 years from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around the country via the Mann-Kendall method. Analysis of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were undertaken with the seasonal Mann-Kendall method using average water temperatures for rivers and wetlands located in the meso-scale watershed for the river in question, using data from 649 monitoring points operated from 1995 among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s (1989~2008, n=144,765). Evaluations on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then carried out.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going air temperature data and water temperatures, allowing examination of the extent of changes in water temperatures vis-a-vis changing air temperatures.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Korean peninsula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as used to forecast changes in water temperatures in line with climate change, and water temperatures were forecast up to the year 2100. Future changes in “DO(Dissolved Oxygen),” the most sensitive item with respect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were also forecast. Survey data and long term water temperature data for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s and aquatic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rivers" and "reservoirs". Among a total of 97 meso-scale watersheds, 42 showed a trend towards lower water temperatures, while 57 showed a trend towards higher water temperatures. As no clear pattern emerged from the data, additional, more precise surveys and analysis of the causes of water temperature changes will be required. Fourteen meso-scale watershe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s (95% confidence interval), with six in the Han River watershed, five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and three in the Seomjin/Yeongsan River watershed. Ten meso-scale watersheds exhibited declining temperatures, with the Geumgang River having the largest number at five (figure 5). Furthermore, reservoirs had more clearly visible trends in their statistically significant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mong reservoirs with increased water temperatures, the Nakdong River watershed accounted for six locations, or 46% of the total, and also had the largest number of meso-scale watersheds with increased air temperatures, followed by the Han River, the Yeongsan/Seomjin Rivers, and the Geumgang River. Basins that experienced declining temperatures included a total of eight meso-scale watersheds, including five in the Yeongsan/Seomjin River water shed, accounting for 63% of the total. Climate change is likely to exert a larg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water quality and the ecology of rivers and reservoirs due to increased water temperature and changes in water volume. A decline in oxygenation, increased stratification/eutrophication, and reductions in light penetration and nutrient supplies will likely cause various water quality and ecology problems, including declining biological productivity. However, and notwithstanding the immediacy of the issues involved, detailed research findings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quality and water ecology are still very limited. This situation is largely due to a lack of systematic long-term monitoring data. Accordingly, it is imperative that a more syste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be built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nd priority should be put on collecting high quality data when assembling the data. For example, present water temperature data allows the input of only integer values, causing uncertainties in analysis of long term water temperature trends and determin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comprehensive review will be needed of the effect of this analysis on policy and proposals to reflect such results therein. In particular, in comprehensive regulation of water pollution, methodologies are needed that consider climate change effects when assessing pollution load and forecasting water quality, as well as evaluations that assess climate change effects when determining achievement of pollution load reduction goal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and aquatic environment as visible in the data have in the past been highly dependent on the quantitative results of research on water quality and due to this uncertainty, interest in research in this area is not high. One of the causes for this is that a very diverse range of natural (i.e. climatological) and manmade factors have contribute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changes, in the environment,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occurrence of pollution and the channels thereof, is subject to many of the same limitations as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owever, with abnormal climate events on the rise recently, and pressure from pollution continuing to accelerate, the need for protection of water quality and watersheds has grown more acute, and in the future, will b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in both social growth and the protection of the natural world. Furthermore, serious climate change will negatively affect the management (i.e. use and delivery) of water resources (e.g. volume and flow, quality, and ecology). This will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rategies at the national level in terms of national water security(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9).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br> 1. 기후변화가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 <br> 2. 기후변화가 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 <br> 3. 기후변화가 수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br> 4. 시사점 <br> <br>제3장 기후변화에 의한 토사발생의 특성과 취약성 평가 <br> 1. 토사유출 모델링을 이용한 강우 시나리오별 토사발생 특성 평가 <br> 가. WEPP 모형의 개요 <br>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br> 다. 결과 및 고찰 <br> 라. 결론 <br> 2. 한강 유역의 토사발생 취약성 평가와 미래 전망 <br> 가. 토사발생의 취약성 및 지도 제작 <br>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토사 취약성 <br> <br>제4장 기후변화에 대한 하천 및 호소의 수온 영향평가 <br> 1. 연구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방법 <br> 가. 개요 <br> 나. 수온의 장기변화 추이 및 기온-수온 상관관계 분석 <br> 다. 한반도 기온변화 시나리오와 장래 수온변화 예측 <br> 3. 결과 및 고찰 <br> 가. 관측 자료의 추이분석 <br> 나. 기온과 수온의 상관관계 <br> 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온변화 예측 <br> 4. 결론 <br> <br>제5장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 개선방향 <br>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유역단위의 토사 관리 방향 <br> 2. 물환경 영향에 대한 수온 등 모니터링 강화 및 평가 실시 <br> 3. 강우유출수의 수질관리방안 강화1 <br> 4. 기후변화에 대비한 종합적 물관리 시스템 구축 <br> <br>참고 문헌 <br> <br>부 록 <br> <br> <br> <br>Abstract <br>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br> 1. 기후변화가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 <br> 2. 기후변화가 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 <br> 3. 기후변화가 수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br> 4. 시사점 <br> 제3장 기후변화에 의한 토사발생의 특성과 취약성 평가 <br> 1, 토사유출 모델링을 이용한 강우 시나리오별 토사발생 특성 평가 <br> 가. WEPP 모형의 개요 <br>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br> 다. 결과 및 고찰 <br> 라. 결론 <br> 2. 한강 유역의 토사발생 취약성 평가와 미래 전망 <br> 가. 토사발생의 취약성 및 지도 제작 <br>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토사 취약성 <br> 제4장 기후변화에 대한 하천 및 호소의 수온 영향평가 <br> 1. 연구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방법 <br> 가. 개요 <br> 나. 수온의 장기변화 추이 및 기온-수온 상관관계 분석 <br> 다. 한반도 기온변화 시나리오와 장래 수온변화 예측 <br> 3. 결과 및 고찰 <br> 가. 관측 자료의 추이분석 <br> 나. 기온과 수온의 상관관계 <br> 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온변화 예측 <br> 4. 결론 <br> 제5장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 개선방향 <br>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유역단위의 토사 관리 방향 <br> 2. 물환경 영향에 대한 수온 등 모니터링 강화 및 평가 실시 <br> 3. 강우유출수의 수질관리방안 강화1 <br> 4. 기후변화에 대비한 종합적 물관리 시스템 구축 <br> <br> 참고 문헌 <br> 부 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9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환경 관리전략 및 정책방향(I)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I) : response to climate change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3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그동안 물환경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수자원의 양적 연구결과에 다소 의존적이고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국내외 연구의 관심도는 높지 않았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매우 다양한 자연적(기후적), 인위적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물환경 변화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변화(changed 또는 altered)에 대한 원인, 특히 오염 발생과 경로의 메커니즘을 고려한 결과를 이해하는 점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규명하기에는 여러 제약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두드러지는 이상기후와 오염에 대한 압력이 가속화되면서 수질과 수생태 보호에 대한 필요성 또한 강조되는데 향후 사회 성장 및 자연계 보전에도 중요한 사안이다. 또한 극심한 기후변화가 수자원(수량 및 유량, 수질 및 수생태 등)의 관리(물이용 및 배분 등)에 미치는 영향의 위해성이 예측된다면, 이는 국가 물안보(national water security;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측면에서 관리전략을 수립하여 사전예방적으로 대응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의 과거 추세와 취약성 분석이 연구배경으로 제안되었다. 그 연구목적은 강우특성과 기온상승에 민감한(홍수 시) 토사발생(sediment yield)과 수온(water temperature)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각 부문에 대한 미래 예측 또는 전망을 하는 것이다. 향후 본 연구는 연차별 연구수행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물환경 부문별(토사, 수온 및 수질, 비점오염원, 수생태 등)로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 평가 및 전망하여 궁극적으로 물환경 관리 및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먼저 토사 및 수온변화의 취약성 평가 등을 포함한 기후변화가 물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따른 토사발생의 특성과 취약성을 평가하였는데, 연구 내용 및 방법으로 한강 유역의 고랭지 경작지에서 강우특성(강우 강도 및 빈도)에 따른 토사유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사유출 모델, WEPP(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모델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한강 유역 전 지역을 대상으로 토사발생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성 지도(vulnerability map)를 제작하였다. 여기에는 kinematic wave equation을 활용한 과거 최대 일일 강우량, 토지피복 및 지형 조건, 유출수 길이를 함께 고려하여 첨두유량 도달시간(times of concentration, erability map)를 제작하였다. 여기에는 kinematic wave equation을 활용한 과거 최대 일일 강우량, 토지피복 및 지형 조건, 유출수 길이를 함께 고려하여 첨두유량 도달시간(times of concentration, 본 연구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기후변화에 대한 하천 및 호소의 수온영향을 분석 및 평가하는 것으로 먼저 지난 20여 년간의 전국기상관측소의 기상 온도 측정자료의 Mann-Kendall법에 의한 통계적 추이를 검토하여 기온의 변화경향을 살펴보았다. 수온 증감분석은 수질 측정망 중 1995년 이전부터 운영되어 온 649개 측정망 조사 자료(1989~2008년, n=144,765)를 이용하여 해당 중권역에 위치하는 하천 및 호소의 평균수온을 Seasonal Mann-Kendall 방법을 이용하여 증감경향 및 통계적 유의성 평가 등을 적용하였다. 검토된 기온과 수온자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선형 및 비선형 분석을 시행하여 기온변화에 따른 수온변화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온변화 예측을 위해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1B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100년까지의 장래 수온변화를 예측하고 장래 수온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의 장래 변화를 예측하였다. 물환경 부문 중 토사발생 및 수온증감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와 주제별 결론 및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집중호우 등 높은 강우강도에 따른 대규모 토사발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WEPP 모형예측(보정수준 R2: 0.9498)에 따르면, 총유출량은 강우 간격이 1시간(3,860.75m3)일 때보다 강우 간격이 5분(5,009.32m3)일 때 약 29.7%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첨두유출량은 강우강도 및 패턴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으며 토사발생량은 강우 간격이 1시간(23.209m3)일 때보다 강우간격이 5분(30.488m3)일 때 약 31.3% 가량 증가하였다. 대상 지역의 빈도별 확률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량, 첨두유출량, 그리고 유사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2년 빈도와 300년 빈도에서 강우량은 167% 증가하였는데, 유출량은 249.4%, 첨두유출량은 193.9%, 그리고 유사량은 906.2%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우강도 증가 등의 강우특성의 변화에 따라 유출량 및 토양유실이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적절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한강유역의 홍수 등 우기시 토사관리 과거 취약성은 유역특성에 따라 높게 또는 낮게 변화하고 있었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취약성은 일부 유역을 제외하고 2011~2050년까지 약 7.7%, 2051~2090년까지 약 11.3%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따라서 불투수면적 등 토지피복(이용)과 지표면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취약성이 높게 전망되는 유역은 보다 강도 높은 토사관리기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사와 같이 비점오염원 형태로 유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은 그 특성상 단기간의 정책이행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녹화사업이나 작물전환, 습지조성, 휴경지 관리, 자연형 및 장치형 시설 등의 물리적 대책뿐만 아니라, 적정 시비량 처방 등을 위한 주민교육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이 장기적 목표달성을 계획하여 그때그때 주변 여건에 맞추어서 수정되어야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세울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적정 토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다 신뢰 있고 정확한 기상예보 기반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우기시 토사가 호소 등 수체로 과대하게 유입되면, 이후 강우 빈도에 따라 RADAR와 같은 기상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산사태나 추가적 과대토사가 예상된다면 영농기계를 이용한 써레질의 행위는 규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지형적 요인(경사와 경작지 규모 등)과 토지피복(이용) 관리방안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보고하였듯이, 침식과 퇴적을 거치는 토사의 자연순환은 산업화와 농업의 기업화에 따른 무분별한 개발로 상당히 교란되었다. 그 중에서도 산림(숲)에서 농경지로 전환 지역 중 토지이용 전환이 경제적으로 가능하고 탄소 저장원으로 필요한 지역은 재산림화(reforestration) 고려를 검토해야 한다. 또한 지난 2007년 강릉 및 속초지역의 기록적인 폭우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였듯이 적정한 지형관리가 비점오염원 관리대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토사관리에 대한 국내 문제는, 비록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연구사업이 추진되었지만, 여전히 선진외국에 비하여 조성기술이나 유지운영기술이 부족하고 정책적인 측면에서 평가 또한 미흡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이 기후변화 대응책에 필요하다. 3. 물환경 영향에 대한 수온 등 모니터링 강화 및 평가 실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국가수질측정망 및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조사 및 제시된 장기간 수온자료를 하천과 호소로 크게 구분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전체 97개 평가대상중권역 중 42개 지역이 수온감소 경향을, 57개 지역이 수온증가의 경향을 나타내어 전체적인 뚜렷한 지역적 패턴이 나타나지는 않았는데 추가 정밀조사 및 원인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계적(95% 신뢰수준)으로 유의하게 증가추세에 있는 중권역 지역은 모두 14개 지역으로 한강수계 6개소, 낙동강수계 5개소, 섬진/영산강 수계 3개의 순으로, 감소경향이 있는 유역은 전체 10개의 중권역으로 그중 금강수계지역이 5개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또한 통계 유의수준에서 호소의 수온 증감 경향은 하천에 비해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호소 수온 증가를 나타낸 지역의 경우 낙동강수계는 6개소로 전체의 46%를 차지하여 기온상승 경향을 나타낸 지역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한강, 영산강/섬진강, 금강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소 경향을 나타낸 유역은 총 8개의 중권역으로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5개 유역으로 63%를 차지하였다. 기후변화는 하천 및 호소의 수온상승과 수량변화에 따른 수질과 수생태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수체 내 용존산소 저하, 성층화 및 부영양화, 빛의 투과 및 영양공급의 감소는 생산력의 감소와 같은 다양한 수질과 수생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후변화에 대한 수질 및 수생태 영향은 그 문제점이 제기되고는 있으나 구체적인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대한 주요인은 체계적인 장기 모니터링 자료의 부족에 기인된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자료의 수집과 추이분석이 무엇보다 급선무라 하겠다. 특히, 수질자료의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양질의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현재 수집되고 있는 수온 자료의 경우 단지 정수값(integer)으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 장기 수온의 경향 및 통계적 유의성 분석의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수질관리 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정책반영 방안의 포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수질오염총량규제의 경우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달성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예측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론의 개발이 요구된다. 4. 강우유출수의 수질관리 방안 강화 및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지표수 수질관리의 가장 취약한 부분은 강우유출수 수질 모니터링과 수질예측 모델링이다. 현재 국내의 강우유출수 수질관리는 비점오염원 관리에 포함되어 비점오염원을 배출하는 공사장 또는 사업장에 대한 저감시설 설치대책과 관리지역을 지정하고, 각종 저감계획 및 저감 시설설치 등에 대한 설치신고제를 통해 관리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방안이 신뢰성 부족한 수질자료, 모니터링 방법의 미정립, 적정 수질기준에 대한 과학적 모호성 등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방안의 개선에도 부족하다. 강우유출수 모델링도 지금까지의 적지 않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이 특정 지역에서의 관련 인자들 간의 상관성 평가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시공간적 불규칙한 강우유출 오염원의 특성상 실제수계시스템에 얼마만큼의 오염부하를 유발시키는지를 정량화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결과를 제공할 만큼의 수준에 못 미치고 있다. 향후 수질관리 측면에서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로,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에 대한 지속적인 수질 및 수량 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구축된 자료 분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비점오염원 관리 대상 사업장이나 공사장의 경우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프로토콜을 통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제도의 강화와 벤치마킹을 통한 기술수준에 근거한(technology-based) 유출수 수질 관리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강우유출수 수질 모델링은 강우유출수 관리, 설계, 분석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적정한 예산과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모니터링 자료를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 5. 끝으로 기후변화 대비 종합적 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 증대에 따른 활발한 대책논의가 최근 2~3년 동안 급격히 대두되기 시작했으나 아직 지역별 또는 지자체별로 구체적 대응방안의 수립까지는 못 미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에 대한 여러 이유 중의 하나가 기후변화 대응방안이 지역별 환경특성에 맞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하여 기후변화에 대비한 물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자체의 다양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선 첫째로 전문가 집단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국지적 기후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용수공급시스템, 배수시스템, 하·폐수 운영관리 계획은 온도, 강수량, 가뭄 또는 홍수 등과 관련된 기존의 축적된 자료에 순전히 의존하여 수립되어 왔으나, 기후변화에 대비한 물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국지적 기후변화 모델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관련된 전문가들과의 지속적인 공동연구를 통해 모델예측의 불확실성을 개선하여 신뢰성 있는 지역 기후변화 예측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현재의 기후변화 자료를 이용한 기존 강우사상에 대한 업데이트와 기후변화 예측모델을 이용한 미래 강우강도, 침수 및 가뭄 등에 대한 예측평가와 추가적인 기후변화 현상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확대실시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수자원 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키기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기존의 물관리 시스템에 기후변화가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용수공급 시스템과 강우유출수 및 오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 및 대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물환경 관리전략 및 정책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강우특성, 토지피복 및 지형 조건, 수온증감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방법론에 따라 다양한 분석과 평가 및 연구고찰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물환경에 미치는 관련 자연적(기후적) 및 인위적 인자의 개별적 영향과 유출특성, 이송경로, 각 메커니즘과 프로세스의 원인 등을 충분히 고려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토사발생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작물 및 토지이용의 변화, 지구단위별 지형변경 등은 분석에 적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측정망상의 유역평균 수온 측정자료(정수)를 기본입력변수로 사용하였으므로 측정지점별 증감의 평가와 원인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과 시사점은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불확실성을 줄이고 개선된 연구자료와 연구방법론 등으로 재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물환경 정책의 기타 중요한 부문인 수질오염총량제도, 비점오염원 관리정책, 수변 및 수생태계 복원전략, 환경관리 시설물 관리, (생태)위해성 관리 등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전망 연구 및 관리전략에 관한 연구과제들이 필요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Ik-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