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 용수공급 체계에 관한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문유리 -
dc.contributor.other 강연실 -
dc.contributor.other 박남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8Z -
dc.date.issued 200910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4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에 관한 고찰_02_문유리.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A Study of Water Supply and Use in Small Islands An "island" is defined as any piece of land surrounded by water. Due to their inherent geographical features, many islands often suffer inveterate difficulty in attaining water and are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On the other hand, only 29% of residents receive their water through municipal water supply systems. Accordingly, most residents suffer from a shortage of drinking water even after a slight drought. The water supply on small islands is provided via various sources, including rainwater, surface water, groundwater, desalination, importation, and water reuse. Water demand, however, cannot be satisfied, as the accessible quantity remains very limited. Emergency drinking water can be supplied from naval bases or K-water, especially in bad weather conditions like droughts and hurricanes. In addition, a variety of development projects are currently proceeding in the southwestern area (where most of small islands are located), so site-specific water supply and management are required to support increased water demand. This study aims (1) to investigate current water supply and management in small islands, (2) to analyze its problems and limitations, and (3) to suggest the methods for improvement.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s show that surface water, desalinated water, and groundwater are major water resources in small islands. The larges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surface water, while the largest number of islands receive supplies from groundwater. Each water resource, however, suffers from particular limitations: including water shortages and high salinity with groundwater, eutrophication caused by biological pollutants in surface water, and requirements for professional management when using desalination syst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water supply plan, which employs multiple water resourc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ch water resource and to prepare for problems with major water resources. UNESCO and Asian Development Bank recommend that the hydrologic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should be considered in water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policy and to meet the particular requirements thereof. They also provided a list of considerations in water supply planning, in order to prevent the ommission of essential items. Some of these, such as governance, public particip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s, should be employed in water supply policy and management in South Korea. This study suggests several methods to improve the water supply and management of small islands: (1) a preliminary and comprehensive study of each island's current situation and history, (2) comparis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adaptabili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3) simultaneous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plans by designing development projects, and (4) professional management and public particip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도서지역의 특성 <br> 1. 도서의 정의 <br> 2. 국내 도서의 특성 <br> 가. 자연적 특성 <br> 1) 분포 및 지형 <br> 2) 수자원 <br> 나. 사회?경제적 특성 <br> 3. 도서지역 정책 <br> <br>제3장 도서지역 용수공급 현황 <br> 1.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조사 <br> 가. 조사 대상 및 시기 <br> 나. 조사 방법 <br> 2.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분석 <br> 가. 분석대상도서 선정 <br> 나. 기초 현황 <br> 1) 인구 <br> 2) 산업 <br> 3) 물관리기관 <br> 다. 용수공급 현황 <br> 1) 용수공급원 <br> 2) 급수시설 <br> 3) 수처리 <br> 4) 문제점 <br> 라. 지난 10년간 개선된 사항 <br> <br>제4장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의 해외사례 <br> 1. 유네스코 <br> 가. 소규모 도서의 수자원 관리 <br> 나. 물가격 비교 <br> 2. 아시아개발은행 <br> 가. 용수 이용 <br> 1) 용수공급 및 수요 <br> 2) 문제점 <br> 나. 용수공급 관리 <br> 1) 법 제도적인 측면 <br> 2) 재정지원 및 물가격 <br> 3. 시사점 <br> <br>제5장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의 개선방안 <br> 1. 지역 특성을 고려한 공급계획 수립 <br> 2. 용수공급원의 특성을 반영한 공급계획 수립 <br> 3. 전문적인 관리 및 주민 참여 토대 마련 <br> <br>제6장 결 론 <br> <br>참고 문헌 <br> <br> 국내 유인도서의 지하수 함양량 <br> 일반상수도 미보급 도서 현황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도서지역의 특성 <br> 1. 도서의 정의 <br> 2. 국내 도서의 특성 <br> 가. 자연적 특성 <br> 1) 분포 및 지형 <br> 2) 수자원 <br> 나. 사회?경제적 특성 <br> 3. 도서지역 정책 <br> 제3장 도서지역 용수공급 현황 <br> 1.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조사 <br> 가. 조사 대상 및 시기 <br> 나. 조사 방법 <br> 2.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분석 <br> 가. 분석대상도서 선정 <br> 나. 기초 현황 <br> 1) 인구 <br> 2) 산업 <br> 3) 물관리기관 <br> 다. 용수공급 현황 <br> 1) 용수공급원 <br> 2) 급수시설 <br> 3) 수처리 <br> 4) 문제점 <br> 라. 지난 10년간 개선된 사항 <br> 제4장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의 해외사례 <br> 1. 유네스코 <br> 가. 소규모 도서의 수자원 관리 <br> 나. 물가격 비교 <br> 2. 아시아개발은행 <br> 가. 용수 이용 <br> 1) 용수공급 및 수요 <br> 2) 문제점 <br> 나. 용수공급 관리 <br> 1) 법?제도적인 측면 <br> 2) 재정지원 및 물가격 <br> 3. 시사점 <br> 제5장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의 개선방안 <br> 1. 지역 특성을 고려한 공급계획 수립 <br> 2. 용수공급원의 특성을 반영한 공급계획 수립 <br> 3. 전문적인 관리 및 주민 참여 토대 마련 <br> 제6장 결 론 <br> <br> 참고 문헌 <br> 부록 1 국내 유인도서의 지하수 함양량 <br> 부록 2 일반상수도 미보급 도서 현황 <br> Abstract -
dc.format.extent 5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도서지역 용수공급 체계에 관한 고찰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f water supply and use in small island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2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만조 시 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을 도서라고 하는데, 면적에 따라 도서를 분류한 유네스코 기준에 의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서는 면적 100km2 이하로 극소규모 도서에 속한다. 이와 같이 규모가 작은 도서지역은 하천의 발달이 미약하여 용수원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지리적인 여건상 태풍 및 가뭄 등의 재난에도 취약하다. 또한 거주 인구의 29%만이 상수도 보급을 받고 있어 단기간의 가뭄에도 상습적으로 식수가 고갈되는 고질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서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빗물, 지표수, 지하수, 해수담수화, 용수 수송, 하수 재이용 등의 다양한 용수공급원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이들 중 하나의 공급원만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 공급량이 수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뭄 시에는 그 피해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 군부대 및 수자원공사로부터 긴급 지원이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주변지역으로부터 급수선을 이용하여 용수를 수송하는 도서에서는 기상변화에 따라 용수 공급이 중단되기도 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근래 들어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다수의 개발사업이 시행 및 계획되고 있어, 이로 인한 인구 증가는 도서지역 내 용수수요량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용수공급계획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지역 내 안정적인 용수공급방안의 기초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서지역의 용수 이용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에 의하면, 도서지역에서는 지표수, 지하수, 해수담수화를 주로 공급하고 있다. 공급량 기준으로는 지표수의 공급량이 가장 많으나, 도서 수를 기준으로 하면 지하수를 취수하여 공급하는 도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원의 특성에 따라 용수공급 시 나타나는 문제점이 상이한데, 지하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용수량 부족과 염분 검출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지표수를 공급하는 도서에서는 주변 동물들의 배설물을 비롯한 여러 유기물이 저수지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초래함으로써 수질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시설에 비해 전문적인 관리를 요구하는 해수담수화시설의 경우 관리가 미흡하여 주민들이 짠물을 그대로 공급받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단일 용수공급원을 이용하고 있는 도서지역에서는 두 개 이상의 공급원을 확보하여, 각 공급원의 문제점을 상호보완하면서 동시에 비상시에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유네스코와 아시아개발은행에서는 도서지역의 특성이 내륙지역과 상이함을 인식하고, 각 도서의 수리학적 및 사회경제적 여건을 용수공급원 선정 및 관리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도서 내 용수공급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항목들이 간과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지침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항목들 중 거버넌스, 주민 참여 및 교육, 기후변화 대응방안 마련 등과 같이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도서지역 용수공급에 있어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들과 해외사례의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해당도서의 여건 및 특성에 대한 조사?분석, 용수공급원의 친환경성 및 적용 가능성의 비교?분석, 개발사업 계획단계에서의 용수공급계획 수립, 전문적인 관리 및 주민참여 확대를 제시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u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u-R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