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SFA 적용방안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주현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4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SFA(물질흐름분석) 방법론 적용 연구_04_주현수.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Basic Study of SFA Appl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An increasing number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toxic chemicals have been emitted globally and these substances influence humans and environment. But the effective integrated system to monitor, trace and manage the hazardous substances is not available yet in Korea. SFA(substance flow analysis) is known to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management of these hazardous substances by offering the detailed flow of the subst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state and application of SFA in some countries with SFA experiences as well as how to apply SFA for the manage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제2장 SFA 개요 <br> 1. 개요 <br> 2. 방법론 <br> 3. 모델링 <br> <br>제3장 외국의 SFA 연구동향 <br> 1. 덴마크 <br> 2. 네덜란드 <br> 3. 독일 <br> 4. 오스트리아 <br> 5. 미국 <br> 6. 일본 <br> 7. 노르웨이 <br> 8. SFA 물질 목록 <br> <br>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제2장 SFA 개요 <br> 1. 개요 <br> 2. 방법론 <br> 3. 모델링 <br> 제3장 외국의 SFA 연구동향 <br> 1. 덴마크 <br> 2. 네덜란드 <br> 3. 독일 <br> 4. 오스트리아 <br> 5. 미국 <br> 6. 일본 <br> 7. 노르웨이 <br> 8. SFA 물질 목록 <br>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3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SFA 적용방안 기초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Basic study of SFA appl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4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화학물질을 비롯한 많은 유해물질들이 전 지구적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인체 및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모니터링하고 추적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지 않고 있으며, 유해물질들의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영향 역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SFA는 이러한 유해물질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의 유해물질 관리정책 수립 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A의 해외 적용동향 및 각 국에서 사용된 SFA 방법론 등을 조사하여 국내의 SFA 적용방안 및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외국의 SFA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SFA가 정책결정의 도구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SFA가 생산라인의 한 공정에 한정된 것이 아닌, 국가 또는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될 때는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광범위한 경계를 대상으로 한 SFA 작업은 방법론, 데이터 및 제반 여건의 가용성과 대상 물질의 다양한 물질특성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o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un-S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