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정화(Green Remediation) 최적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황상일 -
dc.contributor.other 조한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정화(Green Remediation) 최적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_05_황상일.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A Preliminary Study for Introduc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of Green Remediation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as targeted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remediation as strategic industries in the Korean government's plans to enter the global environmental market as part of its green growth strategy. To accomplish the national policy goal of low carbon green growth, the Ministry has established 10 major projects in four areas, including carbon reduction, green growth, green jobs, and "happy life," with 49 detailed projects implemented as part of the policy (Environmental Green Growth Action Plan, MOE, Jan 2009).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y have been included in "10 environmental technologies" to be developed for green growth, and "10 future environmental industries to be nurtured and supported." Green growth consists of ① reduction of energy and resource use while attaining solid growth, ② reduction of environmental load, including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while still using the same amount of energy and resources, and ③ development of new growth engines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2008). Reflecting these concerns when dealing with polluted soil or groundwater will require the introduc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If such BMPs are introduced,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y and related industries can become a new growth engine for the nation's economy. Green Remediation refers to the effective remediation of areas suffering from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with minimal energy use and environmental impact. Green remediation BMPs can include renewable energy (solar and wind), increased efficiency in energy use, reduction of hazardous materials emissions in the air, reduced water consumption, increased reuse of water, reduced impact on surrounding water systems, soil, and ecosystems, reduction of waste p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long term plans (including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stablish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US EPA, 2008). Accordingly, this research proposes the domestic introduction of green remediation BMPs that can reduce impact on the environment while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when remediating soil and groundwater, and in particular, is intended to present strategies for reduction of energy use and deployment of reusable energy. In order to actively use renewable energy to reduce carbon emissions during green remediation in Korea, more detailed surveys and analysis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archival research herein on energy and carbon emissions in the existing remediation facilities. For example, remediation facilities at primary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sites need mor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ir energy usage, carbon emissions, and energy costs. This analysis can i) establish energy consumption benchmarks for remediation, which requires substantial amounts of energy, ⅱ) examine the main produc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used in remediation technology, and ⅲ) assist in discovering methods for optimizing remediation systems that minimize energy consumption when performing remediation. Furthermore, if reusable energy is used for the purposes of green remediation, economic incentives (including payment of subsidies etc.) will need to be considered and deployed. Such measures can not only more effectively upgrade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ies, they can also increase demand for reusable energy and related industries (including solar energy, solar heat, wind energy, and geothermal energy etc.) while contributing to creating jobs. Furthermore, by providing national funding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that maintain large-scale remediation facilities, this will enable the use of reusable energy and reduce carbon emissions; and will likely contribute to activating regional economies and advancing related industries. Also, by enabling the sharing of reusable energy used at remediation facilities with other remediation facilities, green remediation can plan for increased efficiency in energy use at the regional leve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녹색정화란? <br> 1. 개념 <br> 2. 핵심요소 <br> 가. 정화시스템의 에너지 수요 <br> 나. 대기배출 <br> 다. 용수수요 및 수자원에 대한 영향 <br> 라. 토지 및 생태계 영향 <br> 마. 물질자원 소비 및 폐기물 발생 <br> 바. 장기적 관리계획 <br> 3. 녹색정화를 적용한 해외 사례 <br> 가. 용수수요 및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br> 나. 생태 및 토양 보전 <br> 다. 폐기물 관리 <br> 라. 에너지 과소비 정화시스템의 최적화 <br> 마.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바. 에너지 저소비 정화기법 적용 <br> <br>제3장 녹색정화와 에너지 <br> 1. 정화부지의 에너지 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br> 2. 에너지 소모량 관련 국내 사례 <br> 가. 부산 문현지구 정화사업 <br> 나. 다목적댐 건설부지의 중금속 오염토양 세척처리사업 <br> 다. 철도부지의 지중처리(In-situ) 정화사업 <br> 라. 시사점 <br> <br>제4장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1.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2. 태양에너지 <br> 3. 바람에너지 <br> 4. 매립가스에너지 <br> 5. 폐기물에너지 <br> <br>제5장 결 론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제2장 녹색정화란? <br> 1. 개념 <br> 2. 핵심요소 <br> 가. 정화시스템의 에너지 수요 <br> 나. 대기배출 <br> 다. 용수수요 및 수자원에 대한 영향 <br> 라. 토지 및 생태계 영향 <br> 마. 물질자원 소비 및 폐기물 발생 <br> 바. 장기적 관리계획 <br> 3. 녹색정화를 적용한 해외 사례 <br> 가. 용수수요 및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br> 나. 생태 및 토양 보전 <br> 다. 폐기물 관리 <br> 라. 에너지 과소비 정화시스템의 최적화 <br> 마.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바. 에너지 저소비 정화기법 적용 <br> 제3장 녹색정화와 에너지 <br> 1. 정화부지의 에너지 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br> 2. 에너지 소모량 관련 국내 사례 <br> 가. 부산 문현지구 정화사업 <br> 나. 다목적댐 건설부지의 중금속 오염토양 세척처리사업 <br> 다. 철도부지의 지중처리(In-situ) 정화사업 <br> 라. 시사점 <br> 제4장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1. 재생에너지의 활용 <br> 2. 태양에너지 <br> 3. 바람에너지 <br> 4. 매립가스에너지 <br> 5. 폐기물에너지 <br> 제5장 결 론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4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녹색정화(Green Remediation) 최적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preliminary study for introduc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green remediation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5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환경부는 세계 환경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토양·지하수 오염정화기술 및 토양정화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로 하였다(환경부의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정책 전략의 일부분임).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정목표를 위해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일자리, 생활공감 등 4대 분야에서 10대 중과제, 49개 실천과제의 구체적인 정책을 수립하였고(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 환경부, 2009.1.), 토양·지하수 오염정화기술을 녹색성장을 위한 “10대 환경기술 개발” 분야로 선정하였으며, “10대 환경산업 육성” 분야로 토양정화산업을 선정하였다. 녹색성장은 ① 견실한 성장을 하면서 에너지·자원 사용량의 최소화, ② 동일한 에너지·자원을 사용하되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부하의 최소화, ③ 신성장동력으로의 개발 등 3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국무총리실, 2008). 토양·지하수오염지역을 정화할 때 이러한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상기한 3대 요소 중 에너지·자원의 최소화,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부하의 최소화 등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 BMPs)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최적관리기법이 도입된다면 토양·지하수정화기술 및 관련 산업이 신성장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녹색정화(Green Remediation)는 에너지와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토양·지하수오염지역을 효과적으로 정화하는 것을 지칭하며, 녹색정화의 최적관리기법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용 또는 에너지 사용 효율화, 대기유해물질 배출 최소화, 용수 사용의 최소화 및 재이용, 주변 수계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주변 토양 및 생태계 영향 최소화, 폐기물 발생 최소화 및 재활용, 장기 관리계획 수립(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신·재생에너지시설 설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US EPA,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지하수 정화 시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녹색정화의 최적관리기법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에너지 사용 최소화 및 재생에너지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녹색정화에 있어 탄소배출저감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존 정화시설의 에너지 및 탄소 배출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례조사 외에 보다 구체적인 조사?분석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주요 토양?지하수오염부지에 사용된 정화시설의 에너지 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비용 등을 조사?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은 ⅰ) 에너지 요구량이 높은 정화기술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벤치마크를 설정할 수 있고, ⅱ) 이들 정화기술에 주로 사용된 조작 및 관리기법을 조사할 수 있으며, ⅲ) 정화 시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고 정화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녹색정화를 위해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경제적 유인제도(보조금 지급 등)와 같은 정책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토양?지하수 오염정화기술을 좀 더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의 수요를 증대시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규모 정화부지를 가지고 있는 지자체에 국고지원을 하여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소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련 산업 진흥에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 정화시설에서 활용하는 재생에너지를 다른 정화시설과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단위에서 에너지 사용 효율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wa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il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