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관련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과 효율적 개선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태형 -
dc.contributor.other 임영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0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4대강 관련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과 효율적 개선방안_09_김태형,임영신.pdf -
dc.description.abstract Analysis of Legal and Systemic Issues of the 4Rivers and Proposals for Effective Improvement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as started i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fundamental policies that can respond to increasingly frequent floods and droughts arising from climate change, a problem that confronts both Korea and the entire globe. The project is intended to meet a variety of needs, including preparation for climate change, better coexistence with nature, reconstruction of l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a basis for green growth. In particular, as the Four Rivers Project will focus primarily on river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land use in the river basins affected will likely change significantly. The Four Rivers Project itself as well as projects related to land use in the river basins in question, by securing water flow, can be a positive factor in preventing flood and drought damage and enhancing regional development. Conversely, the project may act as a negative factor for the protection of water quality, the ecosystem, the environment, and cultural assets. Accordingly comprehensive review is required for ration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land use planning, as well as for administrative plans set forth in related laws, and protected regions as related to the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mmenced for the foregoing purposes. Chapter 2 of this report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laws on the Nakdong River basin, and the Nakdong River restoration project," investigates ① the current status of laws regarding the Nakdong River basin's environment as described in previous research, ② the current status of law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③ the current status of project related organizations and regions. As a result thereof, 10, 11, and 7 laws respectively were denoted as relevant for the foregoing items, and after excluding redundant laws, a total of 21 laws were ultimately selected. The third chapter, "Review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focuses on the laws designated in Chapter 2. Prior to review and analysis of each law, the legal scope of the review of the Nakdong River project was defined, and after defining the scope for individual laws, the 21 laws set forth in Chapter 2 were classified as pertaining to the "water environment," the "natural environment," the "land environment," and "miscellaneous."Six laws wer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due to either a low degree of relationship with the main Nakdong River project, or a low degree of relevance to the Nakdong region. Chapter 4, "Analysis of relevance to the Nakdong River Project, related laws, and current status,"after analyzing the nature of detailed projects within the Nakdong project, took 15 laws classified in the foregoing four areas, and reflecting the current status of individual laws as understood in Chapter 3 as well as the opinions of experts, classified and compared the laws by detailed project for the Nakdong River to determine the following matters: ?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restrictions and prohibitions on conduct in laws pertaining to the water environment, regulations on relevant conduct and pollutants etc., including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of potential pollution discharging facilities, for the purposes of minimization or management of the inflow of pollutants into the areas in question (e.g. rivers) can be understood. ? For laws pertain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laws were denoted that prohibited changes in the existing topology or facilities, and restricted collection of resources like sand etc., as well as laws that specified prohibit conduct, including acts that threaten plants and animals. ? Conversely, for areas designated for protection of water supplies, laws expressly state that certain cases recognized as not interfering with the designated purpose of water supply protected areas, like construction of structures required for the public interest and construction or installation of other structures is permissible. Exceptions are permissible in laws pertain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for projects that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national economy as part of national policy, for military purposes, disaster prevention or restoration there from, and other instances such as prevention of damages from floods, regarded as being unavoidable. Aside from the foregoing, matters connected to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projects pursuant to individual laws were analyzed. As expected results of this study, if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like the four rivers project are undertaken, prior analysis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individual projects and project regions will be required, and the legal review proceedings presented herein can be used as a reference. Furthermore, for mid to large-scale national policy projects for national development or disaster prevention undertaken with the attainment of public approval, the existence of various cooperation and permissions proceedings under the relevant laws and between the relevant departments can cause delays of projects. Accordingly, to pursue and attain the goals of special national projects, review will be needed of proposals for enactment of special laws et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가. 배경 및 필요성 <br> 나. 목적 <br> 2. 연구의 대상범위 <br>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낙동강 유역 법률현황 및 낙동강 살리기 사업 관련 법률 도출 <br> 1.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 <br> 가. 선행연구의 낙동강 유역 환경 관련 법률현황 <br> 나. 환경영향평가서 관련 법률현황 <br> 다. 사업 관련 기관 및 지역 실태조사를 통한 법률현황 <br> 2. 낙동강 살리기 사업 관련 법률 도출 <br> 가.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종류 및 범위 <br> 나. 관련 법률 도출을 위한 방향설정 <br> 다. 최종 법률 도출 및 사업별 분류 <br> <br>제3장 관련 법률 및 제도의 검토 <br> 1. 법률 및 제도의 분석 <br> 가. 법적 검토의 범위 <br> 나. 법적 검토대상에 대한 분류 <br> 2. 분야별 세부 법률 및 제도 검토 <br> 가. 수환경 <br> 나. 자연환경 <br> 다. 토지환경 <br> 라. 기타 법률 <br> <br>제4장 낙동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 법률과의 상관성 및 현황분석 <br> 1. 낙동강 살리기 세부사업과 도출된 법률과의 연계성 <br> 가. 낙동강 살리기 세부사업 <br> 나. 개별 법률과의 연계성 <br> 2. 분야별 관련 법률의 상관성 분석 <br> 가. 분야별 관련 법률의 행위규제 분석 <br> 나. 사업수행 시 개별 법률에서 중점 고려되어야 할 사항 <br> <br>제5장 결 론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가. 배경 및 필요성 <br> 나. 목적 <br> 2. 연구의 대상범위 <br>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낙동강 유역 법률현황 및 낙동강 살리기 사업 관련 법률 도출 <br> 1.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 <br> 가. 선행연구의 낙동강 유역 환경 관련 법률현황 <br> 나. 환경영향평가서 관련 법률현황 <br> 다. 사업 관련 기관 및 지역 실태조사를 통한 법률현황 <br> 2. 낙동강 살리기 사업 관련 법률 도출 <br> 가.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종류 및 범위 <br> 나. 관련 법률 도출을 위한 방향설정 <br> 다. 최종 법률 도출 및 사업별 분류 <br> 제3장 관련 법률 및 제도의 검토 <br> 1. 법률 및 제도의 분석 <br> 가. 법적 검토의 범위 <br> 나. 법적 검토대상에 대한 분류 <br> 2. 분야별 세부 법률 및 제도 검토 <br> 가. 수환경 <br> 나. 자연환경 <br> 다. 토지환경 <br> 라. 기타 법률 <br> 제4장 낙동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 법률과의 상관성 및 현황분석 <br> 1. 낙동강 살리기 세부사업과 도출된 법률과의 연계성 <br> 가. 낙동강 살리기 세부사업 <br> 나. 개별 법률과의 연계성 <br> 2. 분야별 관련 법률의 상관성 분석 <br> 가. 분야별 관련 법률의 행위규제 분석 <br> 나. 사업수행 시 개별 법률에서 중점 고려되어야 할 사항 <br> 제5장 결 론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1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4대강 관련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과 효율적 개선방안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nalysis of legal and systemic issues of the 4rivers and proposals for effective improvement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9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기후변화 적응의 일환으로서 홍수 및 가뭄피해 빈발에 따라 근원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기후변화 대비, 자연과 인간의 공생, 국토 재창조 및 지역균형발전과 녹색성장 기반구축이라는 목표로써 추진되고 있음.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하천 및 주변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므로 향후 4대강 유역의 토지이용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4대강 살리기 사업 자체와 향후 4대강 유역의 토지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들은 통수단면 확보를 통한 홍수 및 가뭄의 피해 예방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의 강화를 도모하는 긍정적인 요인이 있는 반면 사업시행으로 인한 수질의 보전, 생태 및 환경의 보전, 문화재 보호 등과 상충되는 부정적 요인 역시 예상됨. 따라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합리적이면서도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계획의 수립을 위해 관련 개별 법률에서의 행정계획 및 환경 관련 보전·보호지역 등과의 종합적인 정합성 검토가 사전 필요함 본 보고서의 제2장“낙동강 유역 법률현황 및 낙동강 살리기 사업 관련 법률 도출”에서는 ① 선행연구에서의 낙동강 유역 환경 관련 법률현황, ② 낙동강 살리기 사업 환경영향평가서의 관련 법률 현황, ③ 사업 관련 기관 및 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최종 21개의 관련 법률을 도출하였음 제3장“관련 법률 및 제도의 검토”에서는 우선 2장에서 도출된 법률을 중심으로, 낙동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한 법적 검토의 내용적 범위를 정한 후 이를 토대로 제2장에서 도출된 총 21개의 법률을 수환경, 자연환경, 토지환경 및 기타분야로 구분하였음. 이 중 낙동강 살리기 (주요)사업과 관계가 적거나 사업지역과 이격 거리가 멀어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적은 6개의 법률은 검토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최종 15개 법률에 대해서 검토 및 분석하였음 제4장 “낙동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 법률과의 상관성 및 현황분석”에서는 우선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각 세부 사업의 성격을 파악하였고, 4개 분야별로 구분된 15개 법률에 따른 현황과 특성을 면밀히 검토·분석하여 이들의 상관성 및 연계성을 살펴보았음 분석한 결과의 주요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음 - 수환경 분야에서의 행위제한 및 금지행위 사항을 살펴본 결과 대상지역(예 : 하천)으로의 오염물질 유입의 최소화 또는 관리기준에 적합한 오염물질 잠재 배출시설 설치제한 등의 행위 및 오염물질을 규제함을 알 수 있었음 - 자연환경 분야의 경우 기존의 지형지세 및 시설물 변경을 금지하고 골재 등 자원의 채취를 제한하며, 동·식물에게 위협 등을 가하는 행위를 할 수 없도록 명시해 놓고 있었음 - 반면, 상수원보호구역의 경우 공익상 필요한 건축물이나 그 밖의 공작물의 건축 및 설치 등과 같이 상수원보호구역의 지정목적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허가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음. 자연환경 관련 법률에서는 전체적으로 군사목적, 재해예방 및 복구, 대규모 국책사업으로서 국가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 홍수예방 등의 피해방지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에 대해서는 행위제한의 예외규정을 두고 있음 본 연구의 수행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음. 향후 하천 관련 사업을 포함하여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은 다양하고 종합적인 개발 사업이 수행될 경우, 관련 사업지역 및 개별 사업과 연관성이 있는 법률 및 제도에 대하여 면밀한 현황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법적 검토 절차 및 방법을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공익상 국가발전 및 재난예방 등을 위해 수행되는 중대규모의 국책사업의 경우 다양한 관련 법과 부처 간의 협의 또는 인·허가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복잡한 절차 등으로 인해 사업의 시행이 지연될 수 있음. 따라서 국가의 특별사업의 목적을 수행 및 달성하기 위하여 특별법 제정 등과 같은 방안이 검토되어야 함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Tae-Hyu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