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단위 하수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을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지역단위 하수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_10_조을생.pdf -
dc.description.abstract A Preliminary Study for Facilitating Wastewater Reuse on a Regional Basis The rapid growth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exacerbated the water demand. Furthermore, water has long been taken for granted as an infinite resource, leading to water scarcity and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production of tremendous amounts of wastewater.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water reuse is now emerging as "The 3rd Water Industry" In Korea, water reclamation has been practiced mostly in building, which is unreliable in water supply,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The reuse of water reclaimed in larg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that are located mostly in suburbs or the coast requires costly infrastructure because the cost of transporting water is determined by how far it has to be carried and how high it has to be lifted. In this study, "sewer mining" was introduced, which is being implemented by the NSW((New South Wales) Government in Australia to secure water supplies and prepare for potential droughts or climate change. Sewer mining is the process of tapping into a sewer and extracting sewage which is then treated on site and used as recycled water suitable for a specific use. Moreover, sewer mining increases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minimizes infrastructure requirements for distributing reclaimed water compared to conventional water reuse system. Therefore, application of sewer mining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or facilitating water reuse on a regional basi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br>제2장 하수재이용 관련 제도 및 현황 <br> 1. 하수재이용의 개념 및 관련 제도 <br> 2. 국내·외 하수재이용 현황 <br> 가. 국내 개별 중수도 현황 및 수질기준 <br> 나. 국내 광역단위 하수재이용 현황 및 수질기준 <br> 다. 국외 하수재이용 현황 및 수질기준 <br> 라. 국내·외 하수재이용 처리기술 현황 <br> 마. 하수재이용 수처리 분리막 기술 현황 <br> <br>제3장 Sewer mining <br> 1. Sewer mining 개념 <br> 2. Sewer mining 사업의 제도적 현황 <br> 가. Sewer mining 인·허가 <br> 나. Sewer mining 사업 추진 <br> 다. Sewer mining 하수 비용 <br> 3. Sewer mining 적용 사례 <br> 4. Sewer mining 운영 시 고려사항 및 문제점 <br> 가. 하수 수질 및 유량 <br> 나. 홍보 부족 <br> 다. 경제성 평가 및 정책 규제 <br> <br>제4장 결 론 <br> 1. Sewer mining 시스템의 국내 적용 타당성 <br> 2. 통합적 수자원관리 측면에서의 하수재이용 governance <br> 3.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계획 및 제도적 뒷받침 <br> 4.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제2장 하수재이용 관련 제도 및 현황 <br> 1. 하수재이용의 개념 및 관련 제도 <br> 2. 국내·외 하수재이용 현황 <br> 가. 국내 개별 중수도 현황 및 수질기준 <br> 나. 국내 광역단위 하수재이용 현황 및 수질기준 <br> 다. 국외 하수재이용 현황 및 수질기준 <br> 라. 국내·외 하수재이용 처리기술 현황 <br> 마. 하수재이용 수처리 분리막 기술 현황 <br> 제3장 Sewer mining <br> 1. Sewer mining 개념 <br> 2. Sewer mining 사업의 제도적 현황 <br> 가. Sewer mining 인·허가 <br> 나. Sewer mining 사업 추진 <br> 다. Sewer mining 하수 비용 <br> 3. Sewer mining 적용 사례 <br> 4. Sewer mining 운영 시 고려사항 및 문제점 <br> 가. 하수 수질 및 유량 <br> 나. 홍보 부족 <br> 다. 경제성 평가 및 정책 규제 <br> 제4장 결 론 <br> 1. Sewer mining 시스템의 국내 적용 타당성 <br> 2. 통합적 수자원관리 측면에서의 하수재이용 governance <br> 3.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계획 및 제도적 뒷받침 <br> 4.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6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지역단위 하수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preliminary study for facilitating wastewater reuse on a regional basi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0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도시인구 집중화, 생활수준 향상, 경제활동 증가 등으로 인해 물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막대한 양의 하 ? 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나 한정된 수자원으로 인해 향후 물 수급의 지역적 불균형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하수재이용은 기후변화 대응의 도구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점추진과제이자 ‘제3의 물산업(The 3rd Water Industry)’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하수재이용의 대부분은 개별 공장 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하·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동일 건물에서 재사용하는 개별 중수도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전국의 개별 중수도 시설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중수도 시설용량에 비해 이용수량은 25% 미만으로 매우 저조하였다. 이는 원수 공급이 어렵고 한정된 사용 용도와 개별 건물의 중수도 처리시설 설치 및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경제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여 하천유지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광역단위의 하수재이용을 시행하고 있으나 2008년 전체 재이용수는 7.1억 톤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량 비율은 10% 미만이다. 이 중 56.3%는 이송 관로시설 설치 등의 제한으로 인해 하수처리장의 세척수, 냉각용수, 청소수, 희석용수 등 장내 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최근 호주에서는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사용량의 증가, 하천환경 복원,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NSW(New South Wales) Government가 물 공급 전략 중의 하나로 실행하고 있는 sewer mining 시스템은 하수관거로부터 직접 하수를 취수하여 사용자의 특정 용도에 적합한 수질기준에 부합되도록 현장(on-site)에서 처리한 후 재사용하는 것이다. 호주 Sydney의 여러 정부기관들인 지방의회, Energy, DEUS(Department of energy, utilities and sustainability), Sydney water, DEC(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NSW Health, Department of planning, IPART(Independent pricing and regulatory tribunal)는 하천환경 보호, 안전한 공중위생, 적정한 수질과 더불어 안정적인 물공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sewer mining 인·허가 절차, 사업추진 절차, 운영관리 등에 대한 제도적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Sewer mining은 기존의 광역단위 또는 개별 중수도에 의한 재이용의 경우 관로 길이, 운영 및 유지관리 등의 한계점들을 최소화하여 도시 하수를 최대한 재이용할 수 있는 물재이용 계획 정책의 수립에 부합되는 방안 중의 하나이다. 즉, 하수 재이용수 사용 용도에 따라 처리기술,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용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광역단위 하수재이용 보다 이송을 위한 장거리 관로시설 설치 등의 기반시설 최소화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크게 감소할 것이다. 또한 설계, 운영, 자본투자 등에 있어 비교적 융통성이 높아 초기투자 비용이 저감되고 공간적 적용범위의 제한이 적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용도별 재이용 수질기준에 부합되는 맞춤형 수질 생산이 용이하므로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물공급 제공을 통한 수자원 보전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연중 발생량이 일정한 막대한 양의 하수를 sewer mining 시스템에 의한 지역단위의 하수재이용을 실행할 경우 공공하수처리장의 하수량 감소에 따른 오염부하량 저감 및 에너지 절감, 용도별에 따른 맞춤형 수질기준 용이, 하수재이용률 증가에 따른 담수원 취수량 감소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더욱이 최근 분리막 기술 등 하·폐수 처리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물산업의 민영화가 확대될 경우 소규모의 처리시스템과 다양한 수질 생산이 용이한 sewer mining에 의한 지역단위 하수재이용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sewer mining 시스템의 국내 도입은 하수처리 구역 안의 하수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유입시켜야 하는 제19조 규정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sewer mining 시스템 도입 및 지방자치 단체의 공공하수도 관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공하수도의 배수구역 내의 하수가 적절하게 처리되어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하고 수질보전 및 공중위생에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직접 배출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밖에도 sewer mining 시스템에 적합한 국내 기술의 하수처리 공정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지역단위 하수재이용의 중장기적 법적 ? 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Eul-Sae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