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보전을 위한 새만금호 배수갑문 운영 대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진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0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수질보전을 위한 새만금호 배수갑문 운영 대안에 관한 연구_14_이진희.pdf -
dc.description.abstract Operation of Gate for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at Saemangeum Region Recently, development projects in the Saemangeum region have been revised to provide more intensive economic development while preserving ecological value. According to the new plan by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Saemangeum will be developed as an international water city modeled after Venice or Amsterdam. As a consequence water quality in Saemangeum is growing more important. The development project now requires comprehensive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not only for agricultural water (water quality level 4) but also for tourism and leisure (water quality level 3). If this is the case, the amount of water interaction between Lake Saemangeum and the outer sea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water quality in this project. In this study, a simple gate oper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used to simulat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 interaction and the water level of Lake Saemangeum. The first simulation changes the water management level of Lake Saemangeum from EL.(-)1.5m to EL.(+)1.0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water interaction decreased to 19% compared to the current water management level. The second simulation fixes the water management level of the lake and uses some of the gates while other gates remain permanently open. This did not affect water interaction as much as varying water management levels. In the third simulation gates were operated for 100 year flood events with and without ecological land developmen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aemangeum region.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flood water level can be raised up to EL.(-)0.27m with water management levels of EL.(-)1.5m. When ecological land development occurs with the lake dyke, the flood water level is 0.14m higher at a value of EL.(-)0.13m. When all the development plans are achieved, the response time to the flood wave was much faster than the current situation due to the decrease in volume of Lake Saemangeum. In addition to this, the management water level was set for EL.(-)1.5m decreasing the amount of water interaction to cause water quality problems. The best alternative for operating the gates to manage water quality in Lake Saemangeum would b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ater interac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water level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strict guideline and should be managed more flexibly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interac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내용 <br> <br>제2장 배수갑문 운영 대안의 검토 <br> 1. 연구의 개요 <br> 가. 연구대상 지역 현황 <br> 나. 배수갑문 운영 규정 <br> 2. 관리수위 대안에 대한 모의 <br> 3. 배수갑문 개폐 대안에 대한 모의 <br> 4. 생태용지 방수지 축조에 대한 홍수위 모의 <br> <br>제3장 수리동역학 모형의 적용 <br> 1. 수리동역학 모형의 적용사례 <br> 2. EFDC 모형의 지형자료 구축 <br> <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1.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내용 <br> 제2장 배수갑문 운영 대안의 검토 <br> 1. 연구의 개요 <br> 가. 연구대상 지역 현황 <br> 나. 배수갑문 운영 규정 <br> 2. 관리수위 대안에 대한 모의 <br> 3. 배수갑문 개폐 대안에 대한 모의 <br> 4. 생태용지 방수지 축조에 대한 홍수위 모의 <br> 제3장 수리동역학 모형의 적용 <br> 1. 수리동역학 모형의 적용사례 <br> 2. EFDC 모형의 지형자료 구축 <br> 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수질보전을 위한 새만금호 배수갑문 운영 대안에 관한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Operation of gate for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at saemangeum region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4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지난 2009년 7월 23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새만금위원회에서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안)이 확정되면서 농지 위주로 개발하려던 전라북도 새만금 지역이 산업?관광?환경 중심의 국제적인 ‘물의 도시’로 계획됨에 따라 종전 수질목표치를 농업용수(IV등급)에서 적극적인 관광?레저 등의 친수활동이 가능한 수준인 III등급 이상으로 끌어올릴 필요성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 개발 정책변화로 인한 명품 복합도시 개발구상과 연계하여 수질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해수유통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배수갑문 운영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외조위와 연계된 수문의 한 시간 단위 조작을 통해 새만금호 내의 관리수위의 변화와 해수유통량을 검토할 수 있었다. 현재 평상시 운영에 사용되고 있는 관리수위인 EL.(+)1.0m를 기준으로 관리수위를 변경하여 모의한 결과 최종관리 수위인 EL.(-)1.5m인 경우 현재 해수유통량의 19%까지 줄어들어 만경강과 동진강으로 부터의 유입수의 수질이 좋지 않은 경우 상대적으로 수질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신시와 가력의 배수갑문 중 몇 개 수문을 상시개방하고 다른 수문의 경우 관리수위를 맞추도록 하여 해수유통량을 검토하였으나 관리수위를 변경하는 것에 비해 해수유통량의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해수의 확산 측면에서 수문 개폐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가 수리동역학 모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홍수시 운영에서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100년 빈도 홍수량이 사용되어 검토되었으며, 현재의 관리수위인 EL.(-)1.5m를 유지한 경우 최대 EL.(-)0.27m까지 상승하였다. 또한 환경생태용지가 개발되어 방수제를 설치한 경우에는 방수제 미설치에 비하여 약 0.14m 상승한 EL.(-)0.13m까지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향후 새만금의 내부 개발이 완료될 경우 새만금호의 저수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방수제 높이의 상향 조정과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내부 응답이 빨라질 것으로 보이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새만금호에는 현재 허용 최고수위 개념의 관리수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홍수기에는 EL.(+)0.5m (6월~9월), 비홍수기에는 EL.(+)1.0m(10월~다음해 5월)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새만금 개발계획에 따라 방수제가 설치되고 내부토지가 개발된다면 내측 수위 상승이 빨라지고 관리수위를 초과한 침수피해가 예상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만금호의 최종 관리수위인 EL.(-)1.5m로는 해수유통량이 상당히 적어지므로 홍수기의 재해방지를 고려하여 방수제를 축조하게 될 경우 최종적으로 홍수기를 제외한다면 EL.(-)1.5m를 유지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수질관리를 위한 배수갑문 조작은 관리수위를 현저하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해수유통을 실시하고 정체수역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키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n-He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