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의 친환경적 용수공급계획 수립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문유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2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0-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8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본2010-08_문유리[1].pdf -
dc.description.abstract An island is defined as land surrounded by water. Most islands in Korea are categorized as "very small islands," namely islands with areas smaller than 10㎢ by the standard of a UNESCO report. As can be imagined, both "small islands" and "very small island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obtaining water resources due to their inherent geographical features. They are also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necessitation emergency water importation during periods of even the slightest drought or hurricane. In recent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address such issues through a variety of measures. However, only a small minority of residents are served by the disparate municipal water supply systems, the ensuing water shortage eliciting complaints from residents. With such a context in mind, this study aims to: (1) investigate current water supply and its limitations in small islands; (2)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s to enhance and stabilize their water supply, and; (3) present solutions for problems commonly found on islands, selecting and examining certain islands as case studies. On small islands, surface water, groundwater (fresh and brackish), and rainwater are utilized as water resources. The greatest number of islands depend on groundwater, while the largest amount of water is provided by surface water. Desalination systems using brackish groundwater are employed in an ongoing projec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alled "Drinking Water Development Project for Rural Area and Islands." Most water supply depends on a single water resource. Each water resource has its specific limitations, such as water level decline and increase in salinity for groundwater, water quality deterioration by eutrophication in surface water, and malfunction by unprofessional management with the desalination system. In water resource sel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all resources should be compared to one another so as to choose one most appropriate one of an individual island. In particular, the factors worth examination are current water supply, cost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echnical applica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Moreover, properties of an individual island--such as its meteorology, geography, geology, available water resource, current and future water demands, residents opinion, and development plan--should be thoroughly investigated. In attempting to comprehend fully the properties of a given island, the Korean Statistical Yearbooks may prove to be inadequate, as the facts contained are delineat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units containing a pocket of several small island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manages and distributes data, information, and reports of islands via each island's website (http://islands.unep.ch/), the UNEP undertakes comprehensive and detailed studies of individual islands and share them with experts, public servants, residents and stakeholders. Such methods for collecting data on individual islands should be carried forth by Korea as well. Nowadays, numerous tourist development projects are being planned and underway in the southwestern costal area of Korea. While they might revive the economy of the islands concerned, they will also increase the islands' water demands and aggravate the pre-existing water shortage. As such, the designs for the aforementioned development projects need to include fundamentally sound water supply plans, regulated closely by law and verified by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a systematic process and detailed guidelines of water supply plans, consisting of estimating water demands, identifying water resources, and considering their technical applicability as well as their sustainability. In support of such assertion, case studies employing multiple water resources and sustainable water supply have been execu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br> 1. 국내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br> 가. 도서지역의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br> 다. 용수공급의 문제점 <br> 2. 용수공급의 종류 및 특성 <br> 가. 저수지 <br> 나. 지하수 <br> 다. 해수담수화 <br> 라. 빗물이용시설 <br> <br>제3장 용수공급 개선정책 제언 <br> 1. 특성 조사 및 DB 구축 <br> 2. 법·제도 개선안 <br> 3. 용수공급계획 수립절차 <br> 가. 용수수요량 산정 <br> 나. 보유수자원 평가 <br> 다. 기술 적용가능성 평가 <br> 라. 지속가능성 고려 <br> <br>제4장 시범지역 내 용수공급 개선방안 <br> 1. 시범지역 선정 <br> 가. 선정 목적 <br> 나. 시범 도서지역 선정 대상 범위 <br> 다. 시범 도서지역 선정기준 및 배경 <br> 라. 선정된 시범 도서지역 <br> 2. 홍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3. 연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4. 원산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br>제5장 결 론 <br> <br>참고문헌 <br> <br>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br> 도서지역 정책사업 <br> 해수담수화시설의 종류 <br> 개발대상도서 지정현황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br> 1. 국내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 <br> 가. 도서지역의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br> 다. 용수공급의 문제점 <br> 2. 용수공급의 종류 및 특성 <br> 가. 저수지 <br> 나. 지하수 <br> 다. 해수담수화 <br> 라. 빗물이용시설 <br> 제3장 용수공급 개선정책 제언 <br> 1. 특성 조사 및 DB 구축 <br> 2. 법·제도 개선안 <br> 3. 용수공급계획 수립절차 <br> 가. 용수수요량 산정 <br> 나. 보유수자원 평가 <br> 다. 기술 적용가능성 평가 <br> 라. 지속가능성 고려 <br> 제4장 시범지역 내 용수공급 개선방안 <br> 1. 시범지역 선정 <br> 가. 선정 목적 <br> 나. 시범 도서지역 선정 대상 범위 <br> 다. 시범 도서지역 선정기준 및 배경 <br> 라. 선정된 시범 도서지역 <br> 2. 홍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3. 연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4. 원산도 <br> 가. 도서지역 현황 및 특성 <br> 나.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개선방안 <br> 제5장 결 론 <br> 참고문헌 <br>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br> 도서지역 정책사업 <br> 해수담수화시설의 종류 <br> 개발대상도서 지정현황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0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도서지역의 친환경적 용수공급계획 수립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Guidelin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supply plans in small island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8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도서란 만조 시에 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을 일컫는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유인도서는 90% 이상이 10㎢ 미만의 면적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유네스코 기준에 따르면 극소규모 도서에 해당한다. 도서지역은 특성상 하천의 발달이 미약하고 용수공급원의 개발이 어려우며 자연재해에도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안정적인 식수원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서지역에 원활한 용수공급을 위하여 다양한 대책을 시도해 왔으며 이 결과 문제점이 개선된 도서들도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물 부족에 시달리는 도서들과 대책 시도 후에도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도서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서지역의 용수공급 현황을 파악하여 용수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제언하고, 대표적으로 문제가 있는 도서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용수공급의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도서의 용수공급 문제점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조사와 관련 자료수집을 통해 도서지역의 일반적인 특성과 용수공급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서지역은 내륙지역에 비해 상수도 보급률이 낮으며 대부분의 도서 주민들이 단일 용수공급원에 의존하여 용수공급의 안정성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지역에서 주로 이용되는 용수공급원인 저수지, 관정취수, 해수담수화시설, 빗물이용시설의 이용현황, 경제적 비용, 환경적 영향, 장점 및 단점, 설치 및 이용 시 고려사항 등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용수공급원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 도서지역 용수공급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가장 많은 양을 공급하는 용수원은 저수지이며 가장 많은 수의 도서에서 주요 용수공급원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은 관정취수로 나타났다. 해수담수화시설은 환경부의 도서지역 식수원개발사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가장 오래전부터 이용해 오던 용수공급원은 빗물이용시설이다. 각 용수공급원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비용과 환경적 영향은 해당 도서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적합한 용수공급원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서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 자료의 대부분은 행정구역 단위인 읍면동 단위로 조사되어 집계되고 있으며 도서지역에 대한 자료는 일부 도서를 제외하고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에서는 도서지역 보존 및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수집·관리하는 홈페이지를 별도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 도서들에 대해서도 자연환경 및 사회환경에 대한 전반적이고 세밀한 조사를 정부주도하에 시행해야 하며, 조사 자료에 대한 관리 및 공유도 수반해야 한다. 근래 들어 도서지역에 대한 관광개발사업들이 활발하게 계획되어 수행되고 있다. 이들은 국내 도서들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활용하고 관광객을 유치하여 해당 도서의 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늘어난 관광객과 시설들로 인해 증가한 용수수요량은 주민들의 용수공급원을 위협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는데, 이는 관광개발의 계획단계에서 해당 도서의 보유수자원을 고려하지 않고 용수공급에 대한 계획도 수립하지 않아 초래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개발촉진법』내 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의 용수공급계획 마련을 포함하고 전략환경평가에서 용수공급계획의 적합 여부에 대해 검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용수공급계획을 더욱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용수수요량, 보유수자원, 기술 적용가능성,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한 수립절차를 마련하였고 각 항목에 대한 지침도 제시하였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용수수요량 산정에는 계획인구, 급수보급률, 사용량원단위, 목표유수율, 첨두부하율 등을 반영해야 한다. 보유수자원의 경우 각 용수공급원의 특성과 해당 도서의 특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기술적용가능성은 용수공급원별로 각각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적용에 대해 살펴보는 것으로, 적용하려는 기술이 해당 도서에 적합한지를 검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경제성과 에너지 사용량 등을 검토하여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용수공급원을 선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도서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범지역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도서지역의 특성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홍도, 연도, 원산도의 3개 도서를 사례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시범지역을 방문하여 현장조사, 실험분석, 지자체 담당자 및 주민과의 면담을 통해 지역의 특성 및 용수공급 현황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질과 물수지 분석 및 모델링 기법 등을 적용하여 각 도서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보유수자원 부족, 관광인구 증가로 인한 용수수요량 증가, 고염도 원수로 인한 해수담수화시설의 높은 운영비 등의 문제점이 있는 홍도에서는 기존의 고염지하수 대신 저염지하수를 해수담수화시설에 공급하는 방안과 용수공급의 다원화를 위해 담지하수를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계곡수와 지하수 등 어느 정도의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존 관정의 염도 증가로 인해 식수용저수지 설치를 계획 중인 연도에서는 지하수의 지속적인 이용 및 지속가능한 저수지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 및 계곡수가 존재하지 않아 해수담수화시설을 운영하는 원산도의 경우, 시설 운영 시 낮은 유수율로 인한 운영관리비의 증가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즉, 도서지역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서지역의 특성 및 현황 조사가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도서 단위로 하여 정부 주도하에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 자료의 통합 관리 및 공유도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각 개발사업 계획단계에 체계적인 절차 및 과학적인 기법에 의한 용수공급계획 수립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법·제도적인 뒷받침도 마련되어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u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ur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