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를 둘러싼 지역갈등 해소 및 거버넌스 강화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정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5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0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07_(이정석)[1].pdf -
dc.description.abstract Resolving Regional Environmental Conflicts and Enhancing Environmental Governance Interregional conflicts concerning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regarded as significant and serious social problems. Although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of Korea based on interregional mutual respect and trust has been established over ten years, interregional environmental disputes such as water conflict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are still in progress. Taking into account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climate change, the future interregional environmental conflicts of Korea are expected to exacerbate over time. With such urgency in mind,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past environmental conflicts of Korea and find appropriate methods to establish and enhance environmental governance suitable for Korean society. Extensive studies on environmental disputes have in fact been undertaken, but many tend to adopt the particular approach of introducing relevant instrument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ose instruments by comparison. Although this approach has its own advantages, it poses limitations on effectively reflecting the real world where actual conflicts are taking place.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and search for the explanatory variables that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characters of environmental conflicts in Korea, this research utilizes a content analysis method, designed to investigate the Korean newspaper editorials that have been published for the past eleven years. Grounded on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developed by this study, namely 1) relationship issue, 2) value issue, 3) circumstantial/emotional issue, 4) factual issue, and 5) structural issue, the causes of the past environmental disputes in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having been linked mostly with structural issues. Following structural issues (49%), the causes are based on relationship issues (17%), value issues (14%), circumstantial/emotional issues (9%), and factual issues (8%) in that order. This trend shows that the past environmental conflicts of Korea were tractable rather than intractabl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if Korea had focused on structural issu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disputes rather than on value issues, relationship issues, circumstantial/emotional issues, or factual issues, it would have more effectively coped with those conflicts. This research explores the three types of interregional environmental disputes in Korea,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water conflicts (Woonmoon Dam, Namgang Dam and the restoration of flood sites). The selection of these case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Woonmoon Dam and Namgang Dam) and water management (the restoration of flood sites) are deeply intertwined with structural issues, a relationship which illustrates clearly the past environmental conflicts of Korea. First, the case of Woonmoon Dam is concerned with water distribution between the cities of Daegu and Ulsan and has the possibility to become a real dispute, even though conflicts have not yet come to the surface. Second, the materialization of conflicts is now actively in progress in the case of Namgang Dam, a dispute over water distribution between the city of Pusan and Gyeongsangnam-do, the south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Third, for conflict situations that have already been resolved, the case of the restoration of flood sites examines several kinds of projects involved with restoring the diverse flood sites of Korea. The restoration project of flood sites is assumed to bring about conflict situations in the future along with global climate chang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art of the flood sites restoration projects of this research would be a useful source, which is helping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ational restoration polic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ase of Woonmoon Dam shows that governance has to be established and administered across all the categories indicated in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developed by this research. In other words, governance concerning the water distribution of Woonmoon Dam could work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conflict resolution when the followings are realized: 1) pre-adjustment of view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smooth compliance of established national policies (structural issue), 2) trust-building between local governments (relationship issue), 3) compromise between interested parties with different standpoints (value issue), 4) overcoming the selfish emotion of local residents (circumstantial/emotional issue), and 5) identifying whether data is true or not (factual issue). With regard to the case of Namgang Dam, three conditions are required to utilize the governance of conflict resolution. First, the national government has to officially reserve the plan, which is currently pushing forward, and arrange a forum for facilitating discussions between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national government, the city of Pusan and Gyeongsangnam-do. Second, the city of Pusan, the main interested party over the water dispute of Namgang Dam, has to make its position clearer on the issue of whether it will receive water source from the Nakdong River. Third, an objective re-examination of the maximum water supply limit of Namgang Dam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three aforementioned conditions, debates over the issues of whether the intake of water source from the Nakdong River should be maintained and of how water source in emergency could be secured in the city of Pusan have to take place. Based on the outcome of these debates, a forum for reflecting public opinions should be arranged.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of flood sites, the key elements of governance are differentiated for mountain rivers, rural rivers, urban rivers, and tidal rivers. "Mutual cooperation" and "opinion adjustment"have been identified as the common components of governance required in restoring all types of rivers. However, the third key element of governance is different for the various types of rivers: the component for mountain and rural rivers is "sharing objective" the component for urban rivers is "consultative network," consisting of exper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last, the element for tidal rivers is "trust" between major stakeholders. Simply put, even though the core component of governance might be differently prioritized depending on the kinds of rivers, it is crucial to note that all the components indicated above should be considered concurrently in performing the restoration projects of flood sit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 <br>2. 보고서의 구성 <br> <br> <br> <br>제2장 환경갈등 진단과 거버넌스의 활용 <br> <br> <br> <br>1. 환경갈등 진단 <br> <br>2. 거버넌스의 활용 <br> <br> <br> <br>제3장 우리나라 환경갈등 진단 <br> <br> <br> <br>1. 개요 <br> <br>2. 신문 사설 분석 <br> 가. 표본추출설계 및 표본수집 <br> 나. 분석방법 <br> <br>3. 우리나라 환경갈등 진단 <br> 가. 분석을 위한 분류체계 <br> 나. 전체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다. 언론사별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라. 갈등사례별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br>4. 분석결과 요약 및 해석 <br> <br> <br> <br>제4장 물 관련 갈등사례 연구 <br> <br> <br> <br>1. 개요 <br> <br>2. 사례연구(1): 운문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br>3. 사례연구(2): 남강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br>4. 사례연구(3): 홍수터 복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br> <br> <br>제5장 거버넌스 강화 방안 <br> <br> <br> <br>1. 개요 <br> <br>2. 사례(1): 운문댐 <br> <br>3. 사례(2): 남강댐 <br> <br>4. 사례(3): 홍수터 복원 <br> <br>5. 종합 <br> <br> <br> <br>제6장 결론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부 록 1 낙동강 수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관계자 의견조사 <br> <br>부 록 2 남강댐 사례 설문조사 통계표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br> 2. 보고서의 구성 <br> 제2장 환경갈등 진단과 거버넌스의 활용 <br> 1. 환경갈등 진단 <br> 2. 거버넌스의 활용 <br> 제3장 우리나라 환경갈등 진단 <br> 1. 개요 <br> 2. 신문 사설 분석 <br> 가. 표본추출설계 및 표본수집 <br> 나. 분석방법 <br> 3. 우리나라 환경갈등 진단 <br> 가. 분석을 위한 분류체계 <br> 나. 전체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다. 언론사별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라. 갈등사례별 신문 사설 분석결과 <br> 4. 분석결과 요약 및 해석 <br> 제4장 물 관련 갈등사례 연구 <br> 1. 개요 <br> 2. 사례연구(1): 운문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3. 사례연구(2): 남강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4. 사례연구(3): 홍수터 복원 <br> 가. 연구개요 <br> 나. 연구배경 <br> 다. 사례분석 <br> 제5장 거버넌스 강화 방안 <br> 1. 개요 <br> 2. 사례(1): 운문댐 <br> 3. 사례(2): 남강댐 <br> 4. 사례(3): 홍수터 복원 <br> 5. 종합 <br> 제6장 결론 <br> 참고 문헌 <br> 부 록 1 낙동강 수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관계자 의견조사 <br> 부 록 2 남강댐 사례 설문조사 통계표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5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환경문제를 둘러싼 지역갈등 해소 및 거버넌스 강화 방안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Resolving regional environmental conflicts and enhancing environmental governance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7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환경문제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은 중대하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역 간 상호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지방자치제도가 한국에 뿌리 내린 지 벌써 1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으나, 여전히 상 · 하류 간 물 분쟁과 같은 지역 간 환경갈등은 진행 중에 있다. 기후변화 등 작금의 전 지구적 환경문제를 고려한다면 한국의 지역 간 환경갈등은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먼저 한국의 과거 환경갈등을 이해하고자 하였고, 아울러 갈등 해소에 효과적인 기제라 주목받고 있는 거버넌스에 초점을 두고 한국적 현실에 맞는 환경 거버넌스 구축 및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간 환경갈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갈등 해소를 위한 수단들을 소개하고 수단들 간 비교를 통하여 각 수단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연구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식은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사전에 만들어 놓은 틀에 근거하기 때문에 실제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 고유의 환경갈등을 이해할 수 있는 설명변수들을 도출 · 정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과거 11여 년간의 신문 사설을 분석하였다. ‘관계의 문제’, ‘가치의 문제’, ‘상황/정서의 문제’, ‘사실의 문제’, ‘구조의 문제’로 구성되는 분류체계를 만들고 우리나라 신문 사설들을 분석한 결과, 과거 우리나라 환경갈등의 원인은 ‘구조의 문제’와 가장 관련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조의 문제(49%)’ 다음으로 ‘관계의 문제(17%)’, ‘가치의 문제(14%)’, ‘상황/정서의 문제(9%)’, ‘사실의 문제(8%)’ 순으로 관련이 깊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 우리나라 환경갈등은 해결이 불가능했다기보다 해결이 가능했다고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전략적 관점에서 보자면, 우리나라가 과거 환경갈등 해소를 위해 ‘가치의 문제’, ‘관계의 문제', ‘상황/정서의 문제’, ‘사실의 문제'에 노력을 기울이기보다 ‘구조의 문제’에 노력을 더욱 집중하였더라면 보다 효과적으로 환경갈등에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문제를 둘러싼 대표적 지역 간 갈등사례라 말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물 관련 갈등 사례(운문댐, 남강댐, 홍수터 복원)를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여러 환경갈등 사례들 중 세 가지 유형의 물 관련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을 시도한 이유는 물 공급 및 배분(운문댐과 남강댐) 그리고 물 관리(홍수터 복원)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인 과거 우리나라 환경갈등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구조의 문제’와 특히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첫 번째 사례인 운문댐 사례는 현재 갈등상황이 표면화되고 있지 않은 잠재적 갈등 사례로 대구시와 울산시 간 물 배분 문제를 다루고 있다. 두 번째 사례인 남강댐 사례는 현재 갈등이 표면화되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는 부산시와 경상남도 간 물 배분을 둘러싼 갈등을 다루고 있다. 세 번째 사례인 홍수터 복원 사례는 갈등상황이 이미 종결된 홍수터 복원을 둘러싼 몇 가지 관련 사례들을 다루고 있다. 홍수터 복원 사업은 기후변화와 맞물려 미래 갈등상황을 야기할 가능성이 큰 사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홍수터 복원 관련 연구는 향후 홍수터 복원을 위한 국가 정책방향 결정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라 예상된다. 사례 분석결과 잠재갈등인 운문댐 사례의 경우, 본 연구가 채택한 분류체계의 모든 범주에 걸쳐 거버넌스가 구축되고 운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운문댐 물 배분을 둘러싼 거버넌스는 1) 지방자치단체 간 사전조율과 기 수립된 정책의 수용문제(구조의 문제), 2) 지방자치단체들 간 신뢰 형성(관계의 문제), 3) 의견이 다른 주체들과의 타협(가치의 문제), 4) 지역주민들의 이기적 정서 극복(상황/정서의 문제), 5) 정보의 사실 여부 확인(사실의 문제) 등을 확보할 수 있을 때 갈등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기제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남강댐 사례의 경우, 거버넌스를 활용한 합리적 갈등 해소를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첫째, 정부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계획에 대해 잠시 사업 유보를 공식화하고 정부, 부산시, 경상남도 및 각계 각층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진정한 담론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남강댐 물 분쟁의 주요 당사자인 부산시는 낙동강 상수원수 취수에 대해 보다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셋째, 남강댐 물의 공급능력에 대한 객관적 재조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위 세 가지 조건을 토대로 부산지역 광역상수도사업 추진에 대해 부산지역 내 찬반 양측 간 토론을 진행하여 낙동강 상수원 취수 계속 유지 및 비상급수원 필요 여부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서부경남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반대대책위원회와 공론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홍수터 복원 사례에서는 산지하천, 농촌하천, 도시하천, 감조하천에 따라 거버넌스 구성요소에 차이를 보였다. ‘상호협력’과 ‘의견조정’은 모든 하천형태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거버넌스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세 번째 요소는 하천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산지하천과 농촌하천의 경우 ‘목표의 공유’가 이에 해당하였다. 도시하천의 경우 전문가, 시민단체, 지방정부 등 자문을 목적으로 구성된 ‘협의체’ 또는 ‘네트워크’가 이에 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조하천인 창원천의 경우 창원시와 시민단체 간 ‘신뢰’가 이에 해당하였다. 요약하면 하천 유형에 따라 중요도 내지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 하더라도, ‘상호협력’, ‘의견조정’, ‘목표의 공유’, ‘자문형 네트워크 구성’, ‘신뢰’의 모든 요소들이 홍수터 복원사업 수행 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Jeong Seo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