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시원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5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0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08_(박시원)[1].pdf -
dc.description.abstract Climate Change Negotiations for the Post-Kyoto Regime - Key Issues and Implications II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ntinued efforts to resolve climate change issues since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was adopted at the Earth Summit in Rio de Janeiro in 1992. As the first commitment period for the Kyoto Protocol will be coming to an end in 2012, negotiations on the post-Kyoto climate regime are currently in progress. As an OECD member country and one of the major greenhouse gas emitters, Korea is burdened with the possibility of taking on internationally binding mitigation commitments. Moreover, Korea is in a vulnerable position in international reg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s it relies heavily on energy-intensive industries with an import-dependent energy structur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urrent international negotiations progress on greenhouse gas mitigation commitments and developing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accordingly is critica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ent developments in climate change negotiations and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on international greenhouse gas mitigation negotiations based on prospects for climate regime after 2012. In 2010, five UNFCCC Climate Change Conferences, including the 16th Conference of the Parties(COP), were held in order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post-Kyoto climate regime. The vast gap in positions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ontinued to cause great difficulties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However, the COP held in Cancun, Mexico in December managed to derive substantive output, the "Cancun Agreements." The Cancun Agreements are COP decisions which include outputs from both negotiation tracks, the AWG-LCA and AWG-KP, and were fully supported by 193 Parties except Bolivia. The adoption of the Cancun Agreements demonstrated that the UN process is still functioning, overcoming the wide-spread doubt over the unanimity principle of the UN regime since the failure to adopt an agreement in Copenhagen in 2009, due to the objection of a few countries. The Cancun Agreemen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core elements of the Copenhagen Accord, the informal document produced during COP 15 in Copenhagen, and succeeded in creating formal COP decisions. Moreover, the Cancun Agreements were able to embrace what remained as a political resolution level agreement and formulate formal documents of UNFCCC which outline the actual implementation basis of the Copenhagen Accord. However, the 16th COP failed to reach any agreement on extending the Kyoto Protocol, concluding the discussions to maintain the AWG-KP track. The Cancun Agreements set a long-term goal of limiting the increase in global temperature within 2°C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transforming the paradigm into low-carbon society. Also, the Agreements promise to establish various mechanisms in detail, i.e., Cancun Adaptation Framework, Registry for developing country's mitigation actions, Green Climate Fund, Technology mechanism, etc. Reconfirming the creation of fast-start finance and long-term finance, which were part of the Copenhagen Agreement, can be assessed as a monumental achievement in the issue of finance. However, they exclude sensitive topics such as additional mitigation targets by Annex I countries and compliance, thereby concluding this year's COP with still no concrete answer to the question of extending the Kyoto regime. The 16th COP has laid the foundation for reaching a consensus on the post-Kyoto climate regime, but the negotiations will continue until the 17th COP to be held in South Africa next year. This means that the two-track approach will be maintained until the 17th COP, striving toward a final agreement. Therefore, negotiation meetings in the following year are expected to focus on technical work to operate various mechanism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ancun Agreements. In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foundation for the post-Kyoto regime after 2012 by further building on the Cancun Agreements, three scenarios can be derived. The first scenario is to develop Cancun Agreements into a new international agreement, replacing the Kyoto Protocol and signaling its end. The second scenario is to maintain the Kyoto Protocol, distinct from the newly adopted international agreement. Considering the issues of country reclassification to impose legally binding commitments on major emitting developing countries , this scenario is dependent on two possible ways: maintaining the current country categorization system of the Kyoto Protocol or recategorizing the list of Annex I countries. The last scenario foresees the rise of other multilateral processes such as G20 and MEF in discussing climate change issues, as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moving the negotiations forward under the UN process. Perhaps as predicted, keeping the status quo of the country classification system under the second scenario is most preferred by the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However, with the expectation of strong opposition by the current Annex I countries and limited incentives with which to persuade Annex I countries that are Parties to the Kyoto Protocol who will show great resistance, the feasibility of this scenario is slim. For this scenario to be possible, firstly among important factors is the leadership of the EU, who tacitly supports the maintenance of the Kyoto Protocol. Second, the U.S., who is not a Party to the Kyoto Protocol under the AWG-LCA track, needs to take on legally binding mitigation commitments comparable to those imposed on the Parties to the Protocol. Last, measures to ensure participation of non-Annex I countries in taking meaningful mitigation efforts must be prepared. In case of country reclassification,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Korea will be listed as an Annex I country, considering the size of the Korean economy and its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refore, Korea should be most cautious of this scenario. A great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y groups would produce the best result in negotiations, realized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the two issues that are of utmost importance to each group: support to developing countries by developed countries and;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n mitigation actions. Such compromise can be facilitated by small-sized multilateral talks among major emitting countries, such as G20 and MEF instead of a formal meeting such as the UN process. Also, the new partnerships that have emerged for individual issues such as forestry, mitigation, and MRV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foste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taking a step back from the UN's discussion approach with its emphasis on unanimity. Therefore, the most desirable way is to seek progress in the UNFCCC negotiations based on political consensus promoted by the multilateral talks and the political momentum. Building on and analyzing the aforementioned forecast of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negotiations, the following policy advice for Korea can be drawn. First, as a non-Annex I country, continuing the Kyoto Protocol in the climate regime after 2012 is the most desired direction for Korea. Therefore, Korea should align its posi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who strongly assert the adoption of a second commitment period of the Kyoto Protocol by the Annex I countries. Also, as the Cancun Agreements adopted in Mexico this year will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future output on the post-Kyoto regime, a response strategy should be devised accordingly. Korea has already announced, for example, the mid-term mitigation goal and has prepared legally binding measures through domestic law.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urther develop the Information Documents which Cancun Agreements take note of, which list mitigation commitments and actions proposed by countries, including that of Korea, into a formal document that can b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onsidering that the Cancun Agreements are to establish various new mechanisms and prepare their guidelines such as Adaptation Mechanism, Green Climate Fund and relevant Committee, Technology Mechanism, Registry for mitigation ac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MRV guidelines, Korea needs to seek way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uch process from the onset. Furthermore, the country reclassification issue that had been heatedly discussed in 2010 negotiations but were excluded in the Cancun Agreements can reemerge in future negotiations. If this issue is placed on the table once again in 2011 negotiations, Korea should therefore show its firm stance against the issue. One possible argument is that the issue of the country reclassification is beyond the mandate of the current AWG meetings which Bali Action Plan granted for discussion of a Post-2012 climate regime, attacking the legitimacy of the issue itself. In addition, Korea may argue that it is only fair and appropriate for Non-Annex I county Parties to set national targets voluntarily and to be bounded by their national laws respectively. In this line of the argument, Korea may emphasize the fact that its voluntary targe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by 30 percent from its Business As Usual (BAU) scenario by 2020 is being implemented by its national laws through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It may also want to br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national target is comparable to that of many Annex I country Parties, including EU, US, Japan, and Canada, and much higher compared to other major emitting Non-Annex I country Parties such as Mexico, China and India. Finally, it is expected that small-sized multilateral talks, such as G20 and MEF, and partnership among interested parties, such as MRV Partnership and REDD+ Partnership, will continue to be important forums by which to facilitate climate change discussions, complementing big-scaled consensus based UNFCCC meetings. Therefore, the means by which to interconnect these various discussions taking place in different international processe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futur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It i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how to build international governance among various processes to tackle climate change. Therefore, as a potential host country of COP18, Korea should consider ways in which to link and create synergy among climate change discussions widely dispersed throughout different international consultation settings. 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Government of Mexico as Presidency of COP16 maximized its diplomatic power as an advanced developing country in leading global consensus both from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Korea is also expected to play a critical rol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its unique position as a Non-Annex I party Country and an OECD member country. As a bridging country, Korea also needs to consider how to facilitate and lead the international governance by interlinking diverse international regimes create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br>2. 주요 연구내용 <br> <br>3. 기대효과 <br> <br> <br> <br>제2장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br> <br> <br> <br>1. 유엔 기후변화협상 주요 결과 <br> 가. 기후변화협상 주요 진행결과 <br> 나. 코펜하겐 합의문의 의의 <br> <br>2. 코펜하겐 이후 기후변화 협상동향 <br> 가. 공유비전 <br> 나. 온실가스 감축 <br> 다. 재정 <br> 라. 법적 이슈 <br> 마. 칸쿤 협상결과물 <br> 바. 기타 이슈 <br> <br>3. 기후변화 관련 여타 회의동향 <br> 가. 다자간회담 <br> 나. 파트너십 <br> 다. 기타 <br> <br> <br> <br>제3장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에 관한 연구동향 <br> <br> <br> <br>1. 국제협약의 투명성에 관한 연구 <br> 가. 투명성의 근원에 관한 논문 <br> 나. 협약체제에서의 정보 시스템에 관한 논문 <br> 다. 시사점 <br> <br>2. 범지구적 감축목표 달성 가능성에 관한 연구 <br> 가. 기온상승 2°C 제한목표 달성 가능성에 관한 UNEP 자료 <br> 나. 코펜하겐 합의문의 감축효과 관련 OECD 자료 <br> 다. 코펜하겐 합의문상의 감축목표 평가 관련 Peterson Institute 자료 <br> 라. 시사점 <br> <br>3.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상응성에 관한 연구 <br> 가. 부속서 I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간 상응성에 관한 WRI 보고서 <br> 나. 신흥경제국들의 감축목표에 대한 Ecofys 보고서 <br> 다. 국가별 감축목표 간 상응성 비교에 관한 하버드대학교 보고서 <br> 라. 시사점 <br> <br>4. 국가보고서 및 측정·보고·검증에 관한 연구 <br> 가. 국가보고서의 핵심요소에 관한 OECD 보고서 <br> 나. 감축노력의 검증에 관한 Pew center 보고서 <br> 다. MRV 체계 강화 필요성에 관한 WRI 보고서 <br> 라. 시사점 <br> <br> <br> <br>제4장 온실가스 배출지표 및 감축목표 분석 <br> <br> <br> <br>1. 주요국의 온실가스 배출 관련 지표 현황 <br> <br>2. 국가 간 온실가스 배출전망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주요 연구내용 <br> 3. 기대효과 <br> 제2장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br> 1. 유엔 기후변화협상 주요 결과 <br> 가. 기후변화협상 주요 진행결과 <br> 나. 코펜하겐 합의문의 의의 <br> 2. 코펜하겐 이후 기후변화 협상동향 <br> 가. 공유비전 <br> 나. 온실가스 감축 <br> 다. 재정 <br> 라. 법적 이슈 <br> 마. 칸쿤 협상결과물 <br> 바. 기타 이슈 <br> 3. 기후변화 관련 여타 회의동향 <br> 가. 다자간회담 <br> 나. 파트너십 <br> 다. 기타 <br> 제3장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에 관한 연구동향 <br> 1. 국제협약의 투명성에 관한 연구 <br> 가. 투명성의 근원에 관한 논문 <br> 나. 협약체제에서의 정보 시스템에 관한 논문 <br> 다. 시사점 <br> 2. 범지구적 감축목표 달성 가능성에 관한 연구 <br> 가. 기온상승 2°C 제한목표 달성 가능성에 관한 UNEP 자료 <br> 나. 코펜하겐 합의문의 감축효과 관련 OECD 자료 <br> 다. 코펜하겐 합의문상의 감축목표 평가 관련 Peterson Institute 자료 <br> 라. 시사점 <br> 3.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상응성에 관한 연구 <br> 가. 부속서 I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간 상응성에 관한 WRI 보고서 <br> 나. 신흥경제국들의 감축목표에 대한 Ecofys 보고서 <br> 다. 국가별 감축목표 간 상응성 비교에 관한 하버드대학교 보고서 <br> 라. 시사점 <br> 4. 국가보고서 및 측정·보고·검증에 관한 연구 <br> 가. 국가보고서의 핵심요소에 관한 OECD 보고서 <br> 나. 감축노력의 검증에 관한 Pew center 보고서 <br> 다. MRV 체계 강화 필요성에 관한 WRI 보고서 <br> 라. 시사점 <br> 제4장 온실가스 배출지표 및 감축목표 분석 <br> 1. 주요국의 온실가스 배출 관련 지표 현황 <br> 2. 국가 간 온실가스 배출전망 및 감축목표 비교분석 <br> 가. 국가별 기준전망 검토 <br> 나. 국가 간 온실가스 감축목표 비교분석 <br> 다. 기준전망 자료 비교검토 <br> 제5장 칸쿤 당사국총회결과와 추후 전망 및 대응방향 <br> 1. 칸쿤 당사국총회결과 <br> 2. 추후 협상전망 <br> 3. 국제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 대응방향 <br> 가. 교토의정서의 존속 지지 <br> 나. 칸쿤 합의문의 참고문헌에 대한 국제적 인정방안 모색 <br> 다. 다양한 기구 및 메커니즘 설립에 참여방안 모색 <br> 라. MRV/ICA 체계 강화 <br> 마. 국가재분류 문제 대응 <br> 바. 우리나라의 자발적 중기 감축목표 홍보 <br> 사. 기후변화 관련 국제 거버넌스 선도 <br> 참고 문헌 <br> Cancun Agreements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0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I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Climate change negotiations for the post-kyoto regime- key issues and implications I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8 -
dc.description.keyword 환경경제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1992년 브라질 리우 환경개발회의에서 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된 이래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특히, 2012년에 교토의정서의 1차 공약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현재 포스트교토 기후체제에 대한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OECD 회원국이며 현재 온실가스 주요 배출국이라는 점에서 감축의무 부담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데다 에너지 다소비형, 대외 의존적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어 국제 온실가스 규제에 취약한 입장이다. 이에 따라 국제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한 협상동향 파악과 이를 토대로 한 대응전략 개발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기후변화 협상동향을 분석하고 2012년 이후의 기후체제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국제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포스트교토 기후체제에 대한 협상타결을 위해 2010년에는 제16차 당사국총회를 포함한 5차례의 UNFCCC 기후변화 협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첨예한 입장대립의 지속으로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개최된 총회에서는 ‘칸쿤 합의문(Cancun Agreements)’이라는 결과물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칸쿤 합의문은 AWG-LCA, AWG-KP의 두 개의 협상트랙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포함하는 총회 결정문(COP Decision)으로서 볼리비아를 제외한 193개 당사국들로부터 전폭적 지지를 받았다. 칸쿤 합의문은 소수 국가의 반대로 결정문 채택에 실패했던 2009년 코펜하겐 회의 이후 만장일치 원칙의 UN체제에 대한 의구심이 산재해 있던 가운데 도출된 합의문으로서 UN체제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협의의 장으로 여전히 건재함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2009년 코펜하겐 총회에서 도출된 비공식 문서인 코펜하겐 합의문(Copenhagen Accord)의 핵심요소를 주요 골자로 정식 총회 결정문을 도출함으로써 이전의 정치적 결의안 수준의 합의사항을 UN협약하의 공식 문서로 수용하여 코펜하겐 합의사항의 구체적 실행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금번 총회에서 교토의정서의 연장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합의도 이루지 못하고 AWG-KP 트랙을 유지한 채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 지속을 위한 단서만을 마련하는 수준에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는 점은 미흡함으로 남는다. 칸쿤 합의문에서는 ‘2°C 이내로 지구 기온상승 제한’이라는 장기목표에 합의하고 ‘저탄소 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칸쿤 적응 프레임워크, 개도국의 감축행동 등록부(Registry),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기술 메커니즘 등의 설립을 정하는 등 다양한 기구 및 메커니즘의 설립 등을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특히, 코펜하겐 합의사항인 단기(Fast-start finance) 및 장기재원(Long-term finance)의 조성 등을 재확인하는 등 재정 부문에 있어 진일보한 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부속서 I 국가의 추가 감축목표, 제재조치(compliance) 등 민감한 사항에 관한 내용은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토체제의 연장에 관한 질문에는 여전히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 금번 총회를 통해 포스트교토 기후체제에 관한 협상타결을 위한 초석이 마련되었으나, 여전히 최종적인 타결은 내년 남아공에서 개최되는 제17차 당사국총회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즉, 남아공총회까지 AWG-LCA 및 AWG-KP의 투 트랙체제가 유지되어 칸쿤 합의문을 근간으로 최종 합의 도출을 위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칸쿤 합의문에서 다양한 기구 및 메커니즘의 설립·설치, 가이드라인의 제정 등을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추후 1년 동안 이들의 실현을 위한 기술적인 작업들이 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칸쿤 합의문을 발전시켜 2012 이후의 기후체제에 대한 근간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여부에 따라 향후 협상은 다음 세 가지 시나리오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로, 내년 협상을 통해 칸쿤 합의문을 새로운 국제적 합의로 발전시켜 이를 단일 결과물로 채택하고 교토의정서 체제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되는 상황이다. 두 번째로는 새롭게 채택되는 국제적 합의와는 별개로 교토의정서가 존속되는 체제이다. 이 경우는 지난 2010년 8월 협상에서부터 선진국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개진되었던 국가재분류 및 주요 배출국의 감축의무국으로의 편입 이슈를 고려하여, 현재 교토의정서상의 국가분류체계가 유지되는 상황과, 부속서 I 국가의 리스트가 재편성되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본 시나리오에서 현재의 국가분류체계가 유지되는 경우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도국에서 가장 선호하는 시나리오에 해당된다. 그러나 현 부속서 I 국가들의 심한 반대가 예상되며, 더욱이 동 시나리오를 반대하는 교토의정서 당사국인 부속서 I 국가들을 설득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가 적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예상된다. 동 시나리오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토의정서 유지를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EU의 지도력이 중요하며, AWG-LCA 트랙하에서 교토의정서 당사국이 아닌 미국이 교토당사국과 상응한 감축공약을 이행하고, 비부속서 I 국가들도 유의미한 감축노력에 참여하도록 하는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군 리스트가 재편성되는 경우 경제규모와 온실가스 배출량이 큰 우리나라는 부속서 I 국가로 편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동 시나리오를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UN 체제하에서 실질적인 협상 진전의 어려움으로 인해 UN의 협의기능이 축소되고 G20, MEF 등 다자간 회의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주도적으로 논의하는 주요 장으로 부각되는 상황이다. 협상에서 최선의 결과 도출을 위한 선진국과 개도국 그룹 간의 대타협은 선진국의 대개도국 지원과 개도국의 감축 동참이라는 서로에게 두 가지 가장 중요한 의제 간의 타협으로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선·개도국 간의 이러한 대타협은 UN이라는 공식적인 회담이 아닌 G20, MEF 등 소규모의 주요 배출국 간의 다자회담을 통해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UN 협상 체제에서 새롭게 발전한 산림과 감축, MRV 등 개별 의제에 대한 파트너십은 UN의 만장일치식 거대논쟁에서 벗어나 국제협력과 공조를 돕는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자회담을 통해 정치적 합의를 도모하고 이러한 정치적 모멘텀에 기초하여 UNFCCC 체제에서 협상의 진전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협상전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대응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비부속서 I 국가인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2012년 이후 기후체제에서도 교토의정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교토체제를 지속하여 부속서 I 국가들이 2차 공약기간에 대한 감축목표를 설정하도록 주장하는 개도국들과 그 입장을 같이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금번 멕시코 칸쿤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칸쿤 합의문의 경우 향후 도출될 포스트교토체제에 대한 협상결과물의 초석으로 활용될 것이기에 이를 토대로 한 대응방향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중기 감축목표를 기 공표하고 동 목표를 국내법을 통해 구속력하고 있는 만큼 칸쿤 합의문에서 유의하기로 한 국가들이 제시한 감축목표와 감축행동을 기재한 참고문서(Information Documents)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공식 문서로 발전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칸쿤 합의문에서는 적응 메커니즘의 설립, 녹색기후기금의 설립 및 관련 위원회의 설치, 기술 메커니즘의 설립, 개도국 감축행동 등록부의 설치, MRV 가이드라인 마련 등 다양한 기구의 설립과 가이드라인의 마련을 규정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이 중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문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참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칸쿤 합의문상에는 제외되었으나, 2010년 협상회의에서 뜨겁게 논의된 국가재분류 문제는 향후 협상에서도 언제든지 다시 논의가 불거질 수 있는 주제이다. 따라서 국가재분류 문제가 2011년 협상에서도 다시 논의된다면 대외적으로 강경한 자세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교토의정서상의 비부속서 I 국가를 부속서 I 국가로 편입하려는 논의는 포스트교토 기후체제 구축을 위해 시작된 발리행동계획의 위임사항을 벗어나는 만큼 현재 AWGs 협상에서는 논의 자체를 막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비부속서 I 국가의 경우 자발적으로 감축목표를 수립하고 국내법에 의해 이를 구속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논리를 펼 수 있겠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이미 본 국의 책임과 능력에 준하는 감축목표(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를 설정하였고 이를 국내법으로 이행하려는 다양한 정책을 이미 추진 중에 있으며 EU, 미국, 일본, 캐나다, 멕시코, 중국, 인도 등의 주요 선·개도국과 비교할 때 충분히 상응성(comparability)이 있는 점을 강조하여 홍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기후변화협상은 UNFCCC라는 대규모 당사국들의 협의의 장에 의해 유일하게 논의되기보다는 G20, MEF 등 다자회담과 MRV 및 적응 파트너십 등에 의해 보다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현 국제사회의 서로 다른 협의체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논의들을 어떻게 한데 묶어낼 수 있는가, 즉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체제(regime) 간 국제 거버넌스(governance)를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지가 향후 기후변화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따라서 COP18 유치를 계획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다양한 국제협의체 간 논의를 연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이번 COP16의 의장국인 멕시코 정부가 선발개도국으로서의 위치를 십분 활용하여 선진국과 개도국의 대규모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훌륭한 외교력을 펼쳤다는 것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또한 비부속서 I 국가이면서 동시에 OECD 회원국인 입지를 적극 활용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역할(bridge role)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체제 간 국제 거버넌스에서 우리나라가 어떠한 선도적 역할을 자임할 수 있을지 미리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i-Wo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