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 정책 수립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광우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6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1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1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15_(조광우)[1].pdf -
dc.description.abstract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Coast due to Sea-level Rise and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Ⅱ - Evaluation of coastal inundation and its responses The study deals with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coast in the context of the ecosystem and utilization under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The integrated assessment have been done in terms of coastal erosion(2009) and coastal flooding(2010) by sea level rise. Global sea level has been accelerating such as 0.8㎜/yr before 20th century, 1.8㎜/yr in the 20th century, and 3.4㎜/yr after 1993. Though considerable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understanding of sea level rise, there are still much uncertainties in the dynamics of sea level rise, especially in the local prediction and ice sheet dynamics, which makes respons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difficult. Recently national strategies have been made for Australia, Japan, Netherlands, and USA based on the integrated national assessment of their coast to climate change. Inundation assessment by future sea level rise has been done within the framework of screening and scoping. The former is adopted with Coastal Vulnerability Index(CVI) useful for coastal planning and the latter adopted IPCC common methodology. The CVI, with six components(geomorphology, coastal slope, relative sea level change, shoreline erosion, mean tide range, mean wave heigh) and developed by the USGS, has been applied for the East coast of Korea(Gangwondo). The range of CVI is 1.826~19.365 with a mean of 6.381 for present condition and increases into 2.887~39.528 with a mean of 14.153 for 2100(1m sea level rise). The very highly vulnerable coast is currently 8.57% and occupies 35.56% of the study coast in 2100. Three case studies including coastal settlement adjacent to coastal driveway, coastal city with flooding risk, and industrial complex by reclamation reveals potential inundation impact due to future sea level rise. The importance of process in responding to the inundation by sea level rise has emphasized due to the high scientific uncertainty in the dynamics of future sea level rise. Also response strategy in terms of planning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damage of coastal inundation to sea level rise. This study examines local planning strategies to respond sea level rise. Local land use planning can provide critical tools by limiting development in area vulnerable to sea level rise. Korea uses zoning system as main land use planning tool. Among zones, "disaster prevention zone"(which are regulated by the Act on Planning and Use of National Territory) and "natural hazard danger zone"(based on the Hazards Prevention Policy Act) can be applied to sea level rise. However, these zones have been more focused on mitigating natural hazards rather than sea level rise. Thus it is necessary to revise current zoning system to apply to sea level rise. Also, we propose that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needs to increase the consideration of sea level rise during decision making related to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Finally, local governments use District Unit Planning(DUP) for the area which has specific problems difficult to be solved by general zoning system. We suggest the use of DUP in managing some coastal areas which are vulnerable to sea level rise and coastal hazards. For this,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guideline for sea-level rise risk district unit plan including specific land uses, building design, open space plan, street plans, financial plan et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언 <br> <br> <br> <br>제2장 해수면 상승 연구 현황: IPCC AR4(2007) 이후 <br> <br> <br> <br>1.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br> <br>2. 우리나라 주변 현황 <br> <br> <br> <br>제3장 주요 국가의 해수면 상승 취약성 평가 현황 <br> <br> <br> <br>1. 미국 <br> <br>2. 호주 <br> <br>3. 네덜란드 <br> <br>4. 일본 <br> <br>5. 우리나라 <br> <br> <br> <br>제4장 연안역 범람 평가: 사례 연구 <br> <br> <br> <br>1. 취약성 평가 지수 <br> 가. 평가 방법론 <br> 나. 취약성 지수 결과 <br> <br>2. 범람 평가: 사례 지역 <br> 가. 평가 방법론 <br> 나. 해수면 시나리오 <br> 다. 사례 지역 평가 결과 <br> <br>3. 사례 지역 분석 및 고찰 <br> 가. A 지역 <br> 나. B 지역 <br> 다. C 지역 <br> <br> <br> <br>제5장 해수면 상승 범람 대응 방향 <br> <br> <br> <br>1. 해수면 상승 대응 기본 방향 <br> 가. 대응 과정 <br> 나. 전략적 대응 방향 <br> <br>2. 해수면 상승에 대한 계획적 적응 방안 <br> 가. 현행 관련 제도 고찰 <br> 나. 해수면 상승에 대한 도시계획적 대응 방안 <br> <br>3. 해수면 상승 대응과 지속성 평가 <br> <br> <br> <br>제6장 요약 및 결언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부록 1: 폭풍 해일 특성 및 피해 현황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언 <br> 제2장 해수면 상승 연구 현황: IPCC AR4(2007) 이후 <br> 1.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br> 2. 우리나라 주변 현황 <br> 제3장 주요 국가의 해수면 상승 취약성 평가 현황 <br> 1. 미국 <br> 2. 호주 <br> 3. 네덜란드 <br> 4. 일본 <br> 5. 우리나라 <br> 제4장 연안역 범람 평가: 사례 연구 <br> 1. 취약성 평가 지수 <br> 가. 평가 방법론 <br> 나. 취약성 지수 결과 <br> 2. 범람 평가: 사례 지역 <br> 가. 평가 방법론 <br> 나. 해수면 시나리오 <br> 다. 사례 지역 평가 결과 <br> 3. 사례 지역 분석 및 고찰 <br> 가. A 지역 <br> 나. B 지역 <br> 다. C 지역 <br> 제5장 해수면 상승 범람 대응 방향 <br> 1. 해수면 상승 대응 기본 방향 <br> 가. 대응 과정 <br> 나. 전략적 대응 방향 <br> 2. 해수면 상승에 대한 계획적 적응 방안 <br> 가. 현행 관련 제도 고찰 <br> 나. 해수면 상승에 대한 도시계획적 대응 방안 <br> 3. 해수면 상승 대응과 지속성 평가 <br> 제6장 요약 및 결언 <br> 참고 문헌 <br> 부록 1: 폭풍 해일 특성 및 피해 현황 <br> Abstract <br> <br> -
dc.format.extent 16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 정책 수립 II -
dc.title.alternative 연안역 범람 평가 및 대응 방향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coast due to sea-level rise and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II evaluation of coastal inundation and its responses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15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기후 변화 및 해수면 상승이 우리나라 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방향을 도출함으로써 연안역의 지속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1차연도(2009년) 연구는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취약성의 지표로서 해안의 후퇴 거리(해안 침식률)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2차연도(2010년) 연구에서는 범람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해수면 상승과 함께 기후 변화로 인해 변화 가능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연안역의 범람 영향을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PCC AR4(2007) 이후 해수면 상승에 관한 최근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제2장). 그 결과 지구해수면은 20세기 이전 0.8㎜/yr, 20세기 1.8㎜/yr, 최근 3.4㎜/yr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주요 성분인 해양의 열팽창, 육상 빙하 및 빙모의 해빙, 남극 및 그린란드 빙상의 융해 및 분리, 육상 물 수지 등에 대한 정량적 기여분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남극 및 그린란드 빙상의 역학, 지역 차원의 해수면 예측은 많은 도전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에 대한 대응 방안은 과학적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태에서 정책 결정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해양의 수온 상승과 이에 따른 해양의 열팽창, 육상 빙하 및 빙모의 해빙, 남극 및 그린란드 빙상의 융해 및 분리, 육상 물수지 등이 해수면을 상승시키며, 이들 성분 수지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요 국가의 연안역 취약성 평가와 관련하여 미국, 호주, 네덜란드,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자국 해안의 자연 및 사회?경제적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취약성 평가 작업과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제3장). 이들 국가의 취약성 평가의 핵심은 연안시스템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해안관리 방식(예: build with nature)을 제안하고 있는 점이다. 더불어 네덜란드와 같이 저지대 국가는 구체적인 대응 전략과 더불어 구체적 이행방식을 도출하고 있는 점은 우리의 향후 대응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범람 취약성 평가를 스크리닝과 스코핑 단계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크리닝 평가는 계획 차원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취약성 지수를 선정하여 동해안(강원도 해안)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동해안(강원도 해안)의 경우 취약성 지수가 현재 1.826~22.361(평균 7.085)이며, 2100년 해수면이 1m 상승하는 경우 그 범위가 2.887~30.619(평균 12.361)로 크게 증대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대하여 매우(very high) 취약한 지역의 경우 현재 평가 대상 해안선의 8.57%에서 2100년 해수면 1m 상승하는 경우 현재 기준의 취약지구가 35.56%로 증가하였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 대한 해수면 상승 취약성 평가 결과 동해안 해안 도로 주변의 주거 지역, 해안 침수 지역, 매립 지역은 범람 취약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지구에 대한 구체적인 범람 평가(제4장)는 해안 도로에 인접한 소규모 주거 지역, 기존 태풍 등에 의하여 범람 피해를 입고 있는 상습 피해 지역인 해안 시가지 지역, 기존의 태풍 내습으로 인하여 이미 피해를 입었던 임해산업단지 등의 사례 지역을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이들 지역에 대한 범람 평가는 외력 및 자료의 제한으로 인하여 기후 변화로 인한 잠재적인 취약성 정도를 시나리오별로 평가하는 수준에서 수행되었다. 해수면 상승 범람 대응 방향(제5장)은 지역 차원에서 해수면 상승의 매우 높은 과학적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과정(process)의 중요성에 기초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해수면 상승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 차원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례 지역에 대한 대응 방향과 더불어 연안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서 지속성 평가 개념을 소개하였다. 연안 지역의 특수성과 기후 변화 적응을 공통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으로 현행 방재지구, 자연재해위험지구 제도의 보완 활용과 동시에 전략환경평가 제도를 활용한 방법, 도시계획 제도 중 지구단위계획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지구단위계획은 용도지역지구가 관리하기 어려운 특화된 목적을 가진 경우에 효과적이므로 해수면 상승 및 해안가 재해의 취약성이 큰 지역의 관리에 타당하다고 판단되며,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토지 이용과 건축물 계획 등 세부 대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wa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