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형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7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1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1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16_(강형식)[1].pdf -
dc.description.abstract Sustainable Spatial River Planning for Climate Change(II) When we examine the observation data for the past 100 years, we see that climate changes are occurring more rapidly today than would be if caused only by natural phenomena. Due to such changes, temperatures are rising, and as the deviation in rainfall grows, so do the frequency and the magnitude of disasters. In particular, as the river spaces such as washlands and wetlands that function as buffer zones against flooding of rivers become converted into farmlands and new urban landscapes as a factor of rapid urbanization, the risk of disasters in these areas is further accelerated. Structural efforts have been forwarded to stop the floods by reinforcing the embankments as a measure for preventing disasters and reducing damages in these areas. But when extreme flooding that exceeds the design flood amount occurs, as in the case of Typhoon Morakot in Taiwan recently, the current structural countermeasures appear to be limited in effectiveness. To deal with such a situation, the advanced countries in Europe as well as the USA and Japan are seeking a strategy of reducing disaster damages through eco-friendly restoration and spatial expansion of river apace. Also, they are turning these river space into specialized zones considered to be a key factor in bringing life, nature, and culture together into a harmonious relationship. Following such a trend, the flood water levels over a period of 500 years for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examined. A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on the necessary costs of population relocation following the secure of the river space and embankment work. As an eco-friendly measure for reducing flood damages, a proposal was made to secure horizontal river space through creation of retention basin adjacent to rivers and restoration of wetlands as well as old river channels. In addition, a river space planning strategy that links together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with local culture and educational resources was proposed. In this second-year study, the current river management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usage and management of waterfront zone are examined in order to propose a more specific mid- to long-term river space securing plan. Based on this,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a river space were established. By introducing various measures for securing a river space and applying these in a model area, a securing strategy of river space based on a consideration of water control as well as ec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was proposed. In addition, the principal agent for implementation which are needed in drawing up a mid- to long-term plan for securing river spaces was proposed. Also, a step-by-step approach plan as well as a way to construct a governance for integrated management are suggested. After these stages, we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numerous wild animals and vegetation,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from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river space within 2km of both banks not only within, but also outside the protected area. The habitats and the eco-bridges of wild animals and vegetation were shown to be damaged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the damaged river spaces, there is a need for a river space securing strategy based on an environmental assessment by each river space that goes beyond the restrictions at the regulatory level. As for the current state of river usage and management, problems lie in the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the river improvement and the river restoration among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This is due to the approach separating the river management focused to the river control and the river environment work focused on restoration. Although such work promotes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t is judged to be inappropriate for managing rivers based on an integrative consideration of water utilization and control as well as water quality and ecology. Second, the outlines of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an appropriate river space which includes water control in addition to water quality and ecology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a river space is defined as a space that includes, in a wide sense, the diverse functions of a river such as water utilization and control, environment, ecology, culture, economy, and tourism, as well as indirectly related cities, farming villages, nature, and artificial assets on the river periphery. The scope of such a river space can be prescribed depending on the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place characteristics with the goal of securing and managing a river space. That is, when the goal is water control, the scope can be proposed to include the reinforced flood management zone and flood-risk area beyond the river zone; from the aspect of water quality and ecology preservation, it can be adjusted to include the waterfront zone, the legally protected environment, and ecology zone; and in cases where the goal is to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cultural and tourist attractions should be included. Third, by introducing various river space securing plans, including land purchase and lease options,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cases, we proposed a river space securing strategy reflecting aspects of water control as well as ecology and culture. The domestic current river space securing method mainly depends on purchasing land ownership. The land purchase system, however, requires enormous costs, and because agreements with the owners do not proceed smoothly, land purchases are completed sporadically, leading to management difficulties. In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overseas, diverse land securing measures such as development right, noncropping system of farmland, and regional conservation right are utilized for effective land management and eco-friendly land use. Through these practices, they are searching for multifaceted approach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ources and reduce procedural frictions. In this study, a flexible land lease policy was proposed through establishing a concept that can induce restriction of development without direct purchase with ownership rights.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rapid climate change in the long-term, this study promoted natural holding of flooding through the inundation of agricultural land, as an alternative disaster relief policy, an insurance system compensating for the consequent damages. In particular, the Gumi upstream region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chosen as a target area, and river analysis was done on the flood water level reduction effect due to the water flow holding in the secured horizontal space for flooding over a period of 500 years. Based on this, a land purchase and a insurance system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river space utilization from the aspects of ecology, culture, and water-friendly area development at the Weondong Wetlands area where the Miryang and the Nakdong Rivers meet. For this, a multifaceted land purchase, noncropping system of farmland, and development right were considered. Fourth, the study established the evidence and the principal agent for implementation needed in drawing up a mid- to long-term level river space securing plan, prepared a step-by-step approach plan, and presented a way to construct governance for integrated management in addition to a management and utilization plan for a secured river space. In this study,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river project plan that considers water control, water quality and ecology was also discussed. For this, in the long term, this study proposed a consultative group for implementing the river management work. This group can be made up of experts, local residents, and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a general water environment assessment index was proposed as the indicator for current conditions evaluation and ex post facto monitoring; in terms of river utilization, a multifaceted utilization plan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 river space was presented.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ual and physical scope of a river space and sought to examine th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policy and drawing up plans through a comprehensive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development type, and the plan for securing river spaces that deal with climate changes as well as for establishing a river space securing plan and its implementation procedure. At a time when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a river in dealing with climate change is gaining attention, there is a need to bring greater attention to the unique attributes of these areas based on the environmental value of river spaces and promote the creation of areas that can contribute to water utilization and control, ecology, culture and local economy. To this en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role sharing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river rather than to the division of labor by the work of each agency, and based on a consultative body, the opinions of local experts and residents should be actively incorporated. A multifaceted plan for securing, utilizing, and managing river spaces must be established with such opinions as a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research material for providing a framework of green growth through sustainabl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and for establishing policy as well as drawing up plans for securing river spaces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s task of achieving national water security based o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in preparation for future climate chang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목적 <br> <br>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br> <br> <br>제2장 하천공간 현황 <br> <br> <br> <br>1.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위험 <br> <br>2. 하천공간 이용 현황 <br> 가. 토지피복 변화 <br> 나. 환경?생태적 법정 보호구역 현황 <br> 다. 동식물 분포 현황 <br> 라. 시사점 <br> <br>3. 하천공간 확보 및 관리 현황 <br> 가. 국내 하천공간 확보 현황: 한강 및 낙동강 유역의 하천공간 확보 사업 <br> 나. 국내 하천공간 관리 현황 <br> <br>4. 하천 관련 법?제도 및 부처별 하천관리 프로그램 <br> 가. 하천 관련 법?제도 <br> 나. 부처별 하천정비사업 <br> <br>5. 종합고찰 <br> <br> <br> <br>제3장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 및 조성 유형 <br> <br> <br> <br>1. 하천공간의 정의 <br> 가. 하천 관련 법제 구역 <br> 나. 하천공간의 구분 및 특징 <br> 다.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 및 범위 <br> <br>2. 하천공간 조성 유형 <br> 가. 하천의 종적 공간 조성 유형 <br> 나. 하천의 횡적 공간 조성 유형 <br> <br>3. 하천공간 확보 지점 <br> <br> <br> <br>제4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 <br> <br> <br> <br>1. 하천공간 확보 방안 사례 <br> 가. 미국 툴사 시의 홍수터 매수 및 재조정 정책 <br> 나. 영국의 관리적 재조정 정책 <br> 다. 독일의 경지정리계획과 연계한 홍수관리 정책 <br> <br>2. 하천공간 확보 방안 <br> 가. 개념 및 배경 <br> 나. 관련 문헌 및 사례 검토 <br> 다. 사례 검토의 시사점 <br> <br>3. 기후변화 대응 하천공간 확보 시범 적용 <br> 가. 치이수 측면의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나. 환경?생태?문화 측면의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다. 친수공간 개발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br> <br> <br>제5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계획 <br> <br> <br> <br>1. 추진 주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목적 <br>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제2장 하천공간 현황 <br> 1.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위험 <br> 2. 하천공간 이용 현황 <br> 가. 토지피복 변화 <br> 나. 환경?생태적 법정 보호구역 현황 <br> 다. 동식물 분포 현황 <br> 라. 시사점 <br> 3. 하천공간 확보 및 관리 현황 <br> 가. 국내 하천공간 확보 현황: 한강 및 낙동강 유역의 하천공간 확보 사업 <br> 나. 국내 하천공간 관리 현황 <br> 4. 하천 관련 법?제도 및 부처별 하천관리 프로그램 <br> 가. 하천 관련 법?제도 <br> 나. 부처별 하천정비사업 <br> 5. 종합고찰 <br> 제3장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 및 조성 유형 <br> 1. 하천공간의 정의 <br> 가. 하천 관련 법제 구역 <br> 나. 하천공간의 구분 및 특징 <br> 다.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 및 범위 <br> 2. 하천공간 조성 유형 <br> 가. 하천의 종적 공간 조성 유형 <br> 나. 하천의 횡적 공간 조성 유형 <br> 3. 하천공간 확보 지점 <br> 제4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 <br> 1. 하천공간 확보 방안 사례 <br> 가. 미국 툴사 시의 홍수터 매수 및 재조정 정책 <br> 나. 영국의 관리적 재조정 정책 <br> 다. 독일의 경지정리계획과 연계한 홍수관리 정책 <br> 2. 하천공간 확보 방안 <br> 가. 개념 및 배경 <br> 나. 관련 문헌 및 사례 검토 <br> 다. 사례 검토의 시사점 <br> 3. 기후변화 대응 하천공간 확보 시범 적용 <br> 가. 치이수 측면의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나. 환경?생태?문화 측면의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다. 친수공간 개발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 시범 적용 <br> 제5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천공간 확보 계획 <br> 1. 추진 주체 설정 <br> 가. 추진 주체 설정 <br> 나. 거버넌스 구축 <br> 2. 추진 절차 마련 <br> 가. 기존 하천사업의 추진 절차 <br> 나.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단계적 접근 방안 <br> 3. 확보된 하천공간 관리 방향 <br> 4. 하천공간 활용 방안 마련 <br> 제6장 결론 및 제언 <br> 참고 문헌 <br> 부록 <br> Abstract <br> <br> -
dc.format.extent 16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I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Sustainable spatial river planning for climate change I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16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지난 100년간의 관측 자료를 살펴보면 오늘날 기후변화는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더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고 강우량 편차가 커지면서 재해의 발생빈도와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천의 범람을 막는 완충지대로서의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던 저류지와 습지 등의 하천공간들이 급속한 도시화에 의해 농경지와 시가지로 변모함에 따라 이들 지역의 재해 위험성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들 지역에 대한 재해 예방 및 피해 경감을 위하여 하천 주변의 제방을 보강함으로써 홍수와 범람을 막는 구조적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최근 대만의 모라꼿 태풍 사례와 같이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극한 홍수가 발생할 경우 현재의 구조적 대책으로는 그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유럽, 미국, 일본 등의 해외 선진국에서는 개발된 하천 및 하천공간의 친환경적 환원과 공간적 확대를 통하여 재난피해를 경감시키고 아울러 생명과 자연 그리고 문화를 융화시키는 핵심요소로 이들 하천공간을 보호하고 특성화시키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차년도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천공간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500년 빈도의 홍수량에 대한 홍수위를 검토하여 이를 대비한 제방사업과 하천공간 확보에 따른 주민 이주사업의 경제성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홍수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 방안으로 강변저류지 조성, 습지 및 구하도 복원 등의 수평적 하천공간 확보 지점을 제안하였으며, 이들 환경적 요소를 지역문화와 교육자원과 연계하는 하천공간계획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본 2차년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중장기적 하천공간 확보 방안 제시를 위해 현행 하천관리체계와 수변구역 및 하천구역의 이용과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와 범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다각적인 하천공간 확보 방안을 소개하고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이?치수 및 생태?문화 측면을 고려한 하천공간 확보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장기적 차원의 하천공간 확보 계획 수립 시 필요한 추진 근거 및 주체를 설정하고 단계적 접근방안과 통합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단계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하천으로부터 양안 2km 내의 하천공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제내지뿐만 아니라 제외지에서도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다수의 야생동?식물이 발견되었으며 산업화 및도시화에 따라 이들 야생동식물의 서식처와 이동통로가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훼손된 하천공간의 환경적 환원을 위해서는 규제차원의 제제를 넘어서 하천구역 및 수변구역을 중심으로 하천공간별 환경성 평가에 기반한 하천공간 확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천의 이용 및 관리 현황의 경우에는 부처별 하천정비 및 복원사업의 연계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이는 치수 위주의 환경관리 업무와 수질 및 수생태 복원 위주의 하천환경 업무 사이의 분리접근에 의한 것으로 행정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나 이?치수, 수질, 생태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하천을 관리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치수, 수질, 생태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적 적정 하천공간의 정의와 범위의 윤곽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을 폭넓은 의미에서 이?치수, 환경, 생태, 문화, 경제, 관광 등 다양한 하천의 기능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하천주변의 도시, 농촌, 자연, 문화, 인공자산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천공간의 범위는 하천이 가지는 기능성, 환경성, 장소성 등의 특징과 하천공간의 확보 및 관리의 목적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즉, 치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홍수 발생에 대비하여 하천구역을 넘어 강화된 홍수관리구역 및 침수위험지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수질 및 생태보전 측면에서는 수변구역과 환경·생태적 법정 보호구역이 포함되는 것으로, 그리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문화?관광자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셋째, 관련 문헌 및 사례 고찰을 통하여 토지 매수와 임대 등 다양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을 소개하고,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이?치수 측면 및 생태?문화 측면의 하천공간 확보 전략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의 하천공간 확보 방안은 주로 토지의 소유권을 매입하는 토지매수제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매수제도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토지 소유자와의 협의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산발적인 토지매수가 되어 관리상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효과적인 토지관리와 친환경적 토지이용을 위해 개발권 선매제와 양도제, 토지휴경제, 보존지역권 설정 등의 다양한 토지 확보 방안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매입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절차상의 마찰을 줄이는 다각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권에 직접 관계하지 않더라도 지역권이나 이용권 등 개발 행위제한을 유도할 수 있는 개념의 설정을 통한 유연한 토지 매입 및 임대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농지를 침수시켜 자연저류를 도모하고 이에 대한 피해를 보상하는 보험제도와 같은 재해완화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낙동강 유역의 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인 500년 빈도의 홍수 발생 시 확보된 횡적 공간의 저류효과에 의해 홍수위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한 토지 매수 및 보험제도를 활용한 공간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밀양강 낙동강 합류부 원동습지 일대를 대상으로 생태?문화 및 친수공간 개발 측면에서의 하천공간 활용 가능성 및 다각적 토지 매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중장기적 차원의 하천공간 확보 계획 수립 시 필요한 추진 근거 및 주체를 설정하고 단계적 접근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통합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및 확보된 하천공간의 관리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부처간 하천사업간의 성공적 추진 및 유기적 연결을 위해 이?치수, 수질, 생태를 모두 고려하는 종합적 하천사업계획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장기적으로 하천관리사업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와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주체가 되어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천의 관리 측면에서는 현황 평가 및 사후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로서 물환경 종합평가 지수를 제안하였으며, 하천의 활용 측면에서는 하천공간이 가지는 기본적 특성의 개별적 유무와 정도의 차이에 따른 다각적 활용 방안 모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공간에 대한 개념적, 물리적 범위를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하천공간의 조성 유형 및 확보 방안 그리고 하천공간 확보 계획 수립 및 추진 절차에 대한 전반적 접근을 통해 정책 수립 및 입안 결정 시 실질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하천이 가지는 기능적 의미가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하천공간이 가지는 환경적 가치를 바탕으로 이들 공간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부각시켜 이?치수, 생태, 문화 그리고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간 창출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부처간의 사업별 분담이 아닌 하천의 특성에 기반한 역할의 분담 및 협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협의체에 기반을 두고 지역의 전문가와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하천공간 확보, 활용 및 관리 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물환경 관리를 통한 녹색성장의 기틀 마련, 기후변화에 대비한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의한 국가 물안보 확보라는 국정과제와 관련하여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 및 입안 결정 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ang Hyeong Si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