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의 물리적 서식적합도지수 산정방안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형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7Z -
dc.date.issued 2010111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05강형식(0)[1].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ment of Physical Fish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estimation of the river conservation flow discharge, the minimum flow, but also habitat suitability flow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the estimation method for the habitat flow discharge is not yet established in Korea, and thus the conservation flow discharge depends on the minimum flow. The U.S. and Europe nations have used the IFIM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for the habitat flow rate. The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is essential in estimating the ecological flow discharge. In the U.S., the habitat suitability indices of about 60 fishes have been established from 1980s. Based the index of fishes, the ecological flow recommend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In Korea, the recommendation of the ecological flow discharge through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has been studied from 2000. The most of studies, however, were limited to Zacco platypus. It is mainly because the habitat index for the other fishes besides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i is not developed. The habitat suitability indices for various fishes are definitely necessary to estimate the ecological flow rate of a group of fishes. In this study, the habitat suitability indices for 61 fishes are developed in the water systems of Han river and Geum river. The difference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was also compared in two water systems and three rivers of same water syste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2. 연구의 목적 <br> <br>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br> <br> 가. 대상하천 <br> 나. 자료수집 <br> 다. 연구내용 <br> <br> <br> <br>제2장 하천유지유량 및 생태유량 산정 <br> <br> <br> <br>1. 하천유지유량 <br> <br>2. 하천유량 산정 <br> <br>3. 물리적 서식모의시스템 <br> <br> 가. 유량점증방법론 <br> 나. 물리적 서식모의시스템 <br> <br> <br> <br>제3장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법 <br> <br> <br> <br>1. 서식처적합도지수 <br> <br>2. HSI 산정법 <br> <br> 가. WDWF 방법 <br> 나. IFASG 방법 <br> 다. 방법 비교 <br> <br> <br> <br>제4장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 <br> <br> <br> <br>1. 자료수집 <br> <br>2. 어류분포 분석 <br> <br>3.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 <br> <br> 가. 한강 및 금강수계 전체 <br> 나. 수계별 비교 <br> 다. 지천별 비교 <br> <br> <br> <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 한강과 금강수계에서의 서식처적합도지수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br> 가. 대상하천 <br> 나. 자료수집 <br> 다. 연구내용 <br> 제2장 하천유지유량 및 생태유량 산정 <br> 1. 하천유지유량 <br> 2. 하천유량 산정 <br> 3. 물리적 서식모의시스템 <br> 가. 유량점증방법론 <br> 나. 물리적 서식모의시스템 <br> 제3장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법 <br> 1. 서식처적합도지수 <br> 2. HSI 산정법 <br> 가. WDWF 방법 <br> 나. IFASG 방법 <br> 다. 방법 비교 <br> 제4장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 <br> 1. 자료수집 <br> 2. 어류분포 분석 <br> 3.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 <br> 가. 한강 및 금강수계 전체 <br> 나. 수계별 비교 <br> 다. 지천별 비교 <br> 제5장 결론 및 제언 <br> 참고 문헌 <br> 한강과 금강수계에서의 서식처적합도지수 <br> Abstract -
dc.format.extent 4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어류의 물리적 서식적합도지수 산정방안 고찰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of physical fish habitat suitability index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05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하천의 유지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갈수량뿐만 아니라 생태계 보호를 위한 서식처 유량을 산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량 산정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단순히 갈수량에 의존하여 유지유량을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및 유럽의 경우 이러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유지유량증분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미국 USGS에서는 1980년대부터 60여종의 어류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구축하여 서식처 모의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태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00년대부터 피라미와 참갈겨니를 중심으로한 서식처적합도지수가 산정되어 물리 서식처 모의 및 생태유량을 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피라미 한 종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양한 어종을 포함하는 생태유량 산정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는 피라미 및 참갈겨니 이외의 어종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향후 하천에 서식하는 군집어종에 대한 서식처 연구 및 생태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종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과 금강수계에서의 61개 어종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구축하였다. 또한 수계별 및 동일 수계에서 지천별로 적합도지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어류 서식처 모의 시스템 구축 및 생태유량 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a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eongsi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