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상범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8Z -
dc.date.issued 20101215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07이상범(0)[1].pdf -
dc.description.abstract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of Light Pollution Light pollution is well-known for its effect on health and night scenery, but the ecological effect of light pollution got little attention, so it is not much studied until now. Evolutionarily the ecosystem is adapted to night time, so the abrupt increase of light at night causes a serious ecological effect.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light pollution in Korea and research the ecological effect of light pollution systematically.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ecological effect of artificial night light, especially on animals. Diurnal and nocturnal mammalia have different visual cell composition, so the increase of night light degrades the habitat suitability of nocturnal mammalia. For example, a certain bat species in mountainous village is replace by another bat species after the street light is installed. Migrating birds lost their migrating route or collide structures to dead by night light. Under natural condition, sea turtle hatchlings go to the sea induced by a little brightness of the sea side. But street lights make the land side much brighter than the sea side, so turtle hatchlings go to the street light instead of the sea, which results in much higher mortality rate. The congregated insects around street lights is a familiar ecological phenomenon, but the ecological effect of light pollution on insect population is not well studied. As many researches demonstrated the ecological effect of night light, there is no dispute about the ecological effect of night light, but it is still unclear the ecological effect of night light at the population level.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diverse measure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effect of light pollution and Korea starts to make a law and regulation on light pollution. But the light pollution is still not review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ystem of Korea, so it is urgent to introduce the review process of the light pollution in EIA and develop a methodology and model to evaluate the light pollution effe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br> 가. 연구의 필요성 <br> <br> 나. 연구의 목적 <br> <br> <br> <br>제2장·야간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br> <br> <br> <br>1. 빛공해 정의 <br> <br>2. 빛공해 유형 <br> <br> 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br> <br> 나. 경관에 미치는 영향 <br> <br> 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br> <br>3. 빛공해 현황 <br> <br> <br> <br>제3장·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br> <br> <br> <br>1. 곤충류 <br> <br>2. 양서?파충류 <br> <br>3. 조류 <br> <br>4. 포유류 <br> <br> <br> <br>제4장·야간조명 관련 제도 및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br> <br> <br>1. 야간조명 관련 국내외 제도 <br> <br> 가. 영국 <br> <br> 나. 미국 <br> <br> 다. 이탈리아 <br> <br> 라. 호주 <br> <br> 마. 일본 <br> <br> 바. 한국 <br> <br>2. 야간조명 관련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br> 가. 영국 빛공해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br> 나. 국내 야간조명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br> <br> <br>제5장·향후 야간조명 관리 방안 <br> <br> <br> <br>1. 체계적인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연구 필요 <br> <br>2. 효과적인 야간조명 설치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br> <br>3. 야간조명 환경영향평가 도입 및 평가방안 연구 <br>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 <br>부록 1. 빛공해방지 법안 <br> <br>부록 2. 서울시 빛공해 방지 및 도시조명관리 조례(안) <br>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가. 연구의 필요성 <br> 나. 연구의 목적 <br> 제2장·야간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br> 1. 빛공해 정의 <br> 2. 빛공해 유형 <br> 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br> 나. 경관에 미치는 영향 <br> 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br> 3. 빛공해 현황 <br> 제3장·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br> 1. 곤충류 <br> 2. 양서?파충류 <br> 3. 조류 <br> 4. 포유류 <br> 제4장·야간조명 관련 제도 및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1. 야간조명 관련 국내?외 제도 <br> 가. 영국 <br> 나. 미국 <br> 다. 이탈리아 <br> 라. 호주 <br> 마. 일본 <br> 바. 한국 <br> 2. 야간조명 관련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가. 영국 빛공해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나. 국내 야간조명 환경영향평가 사례 <br> 제5장·향후 야간조명 관리 방안 <br> 1. 체계적인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연구 필요 <br> 2. 효과적인 야간조명 설치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br> 3. 야간조명 환경영향평가 도입 및 평가방안 연구 <br> 참고 문헌 <br> 부록 1. 빛공해방지 법안 <br> 부록 2. 서울시 빛공해 방지 및 도시조명관리 조례(안) <br> Abstract -
dc.format.extent 3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of light pollution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07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야간조명이 일으키는 빛공해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유형은 도심에서 야간조명때문에 밤하늘의 조도가 증가하여 별을 보기 힘들어진 경관영향이다. 경관영향 이외에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생태계 서식환경을 교란하는 생태적 영향 등이 지적되고 있다. 야간조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산업혁명 이후 전기조명이 발명되고 대규모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물론 이전에도 등대에서 사용되던 가스등으로 인한 조류 충돌 등 생태계 영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전기조명의 도입은 인간의 야간활동에 대변혁을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오랜 진화의 시간 동안 야간의 낮은 조도에 적응한 생태계는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서식환경이 크게 교란되었다. 생태계 모든 분류군이 야간조명의 영향을 받게 되지만, 국내에서는 식물, 특히 경작물에 대한 야간조명의 영향은 연구된 사례가 다수 있으나, 동물이 받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야간조명이 동물군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국내외 야간조명 관리를 위한 제도 및 환경영향평가 사례를 비교하였다.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중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친숙한 분류군은 곤충류이다. 곤충류는 야간조명에 강하게 이끌리는데, 이로 인하여 개체군 감소나 멸종까지 이르게 된다. 바다거북 유생이 야간조명 때문에 방향성을 잃어 바다로 가지 못하고 육지로 향하게 되어 포식되거나 뜨거운 태양 아래서 말라 죽는 현상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도마뱀이나 개구리 등 다른 양서 ? 파충류도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서식환경이 훼손되거나 생체리듬이 교란되는 영향을 받게 된다.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체리듬 교란은 멜라토닌 생성을 감소시켜 생리적 변화를 유발한다. 조류의 경우 철새와 같이 바다를 건너거나 장거리를 이동하는 야행성 철새의 경우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방향성을 잃고 야간조명 주변을 계속 맴돌게 되어 지쳐서 죽게 되는 등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 야간조명이 도입된 산간지방에서는 서식하던 박쥐 종이 다른 종으로 대체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생태적 변화는 박쥐 종에 따라 야간조명에 적응하는 특성이 달라서 야간조명으로 인한 서식환경 변화에 잘 적응한 종이 기존에 서식하던 종을 대체한 것이다. 서식지 단절 등 파편화로 인한 생태적 문제는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영향이 더 심화될 수 있는데, 이는 야간조명으로 인한 조도의 증가는 생태연결통로(Corridor)를 이용하는 소형 포유류 등의 포식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야행성 포유류의 시신경 특성상 로드킬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야간조명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제기되면서, 다양한 제도 및 관리 방안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에 빛공해를 독립된 항목으로 도입하였으며, 많은 국가들이 빛공해를 관리하기 위한 조명관리구역 체계를 도입하였고, 이탈리아와 같이 구역체계가 아닌 전체적인 야간조명 관리방안에 주안점을 두는 사례도 있다. 국내의 경우도 빛공해방지법이 법안 발의되었으며, 서울시는 조례로 정하고 야간조명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환경영향평가에서 야간조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지는 않았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도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빛공해와 관련한 기존 연구 및 관련 제도를 살펴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빛공해로 인한 생태적 영향 및 환경영향평가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bu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