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영향예측 결과에 근거한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맹준호 -
dc.contributor.other 송영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8Z -
dc.date.issued 2010123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1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11조범준(0)[1].pdf -
dc.description.abstract Determination Measures according to Survey Station of Marine Organisms Based by Impact Prediction of Environment Assessment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ll sorts of development projects performed in coast carry out survey of marine organisms around developing areas to assess and have a influence on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Especially, in case of executing surveys in marine organisms,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scientific selection measures of survey stations that can represent various ecosystems characteristics in subjected areas. The situations show a lot of differences that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marine organisms in targeted areas according to selection methods and positions in survey stations and is not a clear divisions or objective standards. By dividing each project types, areas and scales, this study suggested selection measures of survey station in scientific and objective marine organisms through precise analysis of range with impact prediction due to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The range of impact prediction is constructively and operationally based on suspended solids diffusion, hydrodynamic changes and pollutants dispersion. This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s by analyzing selection case in survey station of marine organisms were deducted and impact ranges due to hydrodynamic changes, constructively suspended solids diffusion and operationally pollutants dispersion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were analyzed. Second, literature surveys to selection cases in survey stations of marine organisms were performed. Third, professional suggestions of several research and survey institutes executing surveys of marine organisms were collected. Meanwhile, basis contents to impact prediction of marine environment are proposed in UNEP manual and Sea Area Utilization Impact Assessment Report. Since many bases on scopes and methods of impact prediction in marine organisms caused by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re clearly presented, improvements due to investigation ranges and station numbers were suggested on very rational bases To grasp many problems and impact ranges by current surveys in marine organisms, cases by impact prediction are analyzed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used by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totally 74 cases and from 2008 year until now, execut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which is submitted with the object. There was entirely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that clearly suggest bases or standards of survey stations in determining survey stations of marine organisms due to various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Because institutes that accomplish the survey randomly determine survey stations, it was difficult for circumstances to exactly comprehend current surveys of marine organisms characteristically in coastal waters due to constructively and operationally on that points. The investigation scopes of marine organisms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within approximately radius 2∼4km was most generally and according to institutes which accomplished surveys the difference appeared different about range of examination. In this study, impact scopes of marine organisms correspond to physical impact predictions by undertaking projects. Impact ranges were divided into three coastal waters. When suggests numbers of survey stations according to this survey ranges, numbers of investigation stations due to minimum survey scopes in targeted projects applied 20∼30% of all numbers in survey stations. Number of survey stations due to average investigation scopes within physical impact ranges applied 60∼70% of all numbers in investigation stations. Numbers of survey stations due to maximum survey ranges within physical impact scopes applied 10∼20% of all numbers in survey stations. So, improvement measures were deducted. Also, on selecting survey stations, considering content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the accurately current states to expected areas and comprehend exactly impact extents by undertaking projects through constructively and operationally monitoring, survey stations in close positions with project areas are largely determined. Second, to comprehend present conditions of benthos in dredged areas through dredging projects and after dredging to do a monitoring select and survey about 3∼5 stations(determination according to project scales) in the dredging objective areas. Third, reclamations must execute detailed surveys about benthos to grasp the current states in marine organisms(especially benthos) within reclaimed zones. Due to expected effec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echniqu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ationally related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re proposed and it will be able to use as fundamental databases to mak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Also, applications of investigation results after construction i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re secured and ecosystem professional expect to reduce unnecessary time and budget wastes by excessive surveys in marine organism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 <br> <br>제2장·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의 문제점 <br> <br> <br> <br>1. 해안개발사업의 해역별 및 사업별 분류 <br> <br>2. 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의 문제점 <br> <br> 가. 해양동ㆍ식물상 조사범위 <br> 1)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2) 해양준설사업 <br> 3)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4) 해양매립사업 <br> 5)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6) 발전소 건설사업 <br> <br> 나.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수 <br> 1)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2) 해양준설사업 <br> 3)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4) 해양매립사업 <br> 5)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6) 발전소 건설사업 <br> 7) 사업별 조사항목에 따른 평균, 최소 및 최대 조사정점 수 <br> <br>3. 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에 따른 문제점 <br> <br> <br> <br>제3장·해안개발사업의 영향예측에 따른 영향범위 산정 <br> <br> <br> <br>1. 해안개발사업의 영향예측 범위 <br> <br> 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br> 나. 해양준설사업 <br> <br> 다.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br> 라. 해양매립사업 <br> <br> 마.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br> 바. 발전소 건설사업 <br> <br> <br> <br>제4장·국내ㆍ외 사례조사 현황 <br> <br> <br> <br>1. 국내 선행 연구 <br> <br>2. 국외 선행 연구 <br> <br> 가. 영국 해양 모니터링 프로그램 <br> <br> <br> <br>제5장·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에 따른 개선방안 <br> <br> <br> <br>1. 해양생태계 현황조사 및 이론적 고찰 <br> <br>2. 해양생태계 조사정점에 대한 개선방안 <br> <br> 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br> 나. 해양준설사업 <br> <br> 다.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없고, 사업규모가 백만㎡ 이상) <br> <br> 라.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없고, 사업규모가 백만㎡ 이하) <br> <br> 마.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있음) <br> <br> 바. 매립 및 산업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의 문제점 <br> 1. 해안개발사업의 해역별 및 사업별 분류 <br> 2. 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의 문제점 <br> 가. 해양동ㆍ식물상 조사범위 <br> 1)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2) 해양준설사업 <br> 3)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4) 해양매립사업 <br> 5)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6) 발전소 건설사업 <br> 나.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수 <br> 1)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2) 해양준설사업 <br> 3)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4) 해양매립사업 <br> 5)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6) 발전소 건설사업 <br> 7) 사업별 조사항목에 따른 평균, 최소 및 최대 조사정점 수 <br> 3. 해양동ㆍ식물상 현황조사에 따른 문제점 <br> 제3장·해안개발사업의 영향예측에 따른 영향범위 산정 <br> 1. 해안개발사업의 영향예측 범위 <br> 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나. 해양준설사업 <br> 다. 해안인접 개발사업 <br> 라. 해양매립사업 <br> 마.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바. 발전소 건설사업 <br> 제4장·국내ㆍ외 사례조사 현황 <br> 1. 국내 선행 연구 <br> 2. 국외 선행 연구 <br> 가. 영국 해양 모니터링 프로그램 <br> 제5장·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에 따른 개선방안 <br> 1. 해양생태계 현황조사 및 이론적 고찰 <br> 2. 해양생태계 조사정점에 대한 개선방안 <br> 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br> 나. 해양준설사업 <br> 다.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없고, 사업규모가 백만㎡ 이상) <br> 라.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없고, 사업규모가 백만㎡ 이하) <br> 마. 해안인접 개발사업(오ㆍ폐수 해양배출이 있음) <br> 바. 매립 및 산업단지 조성사업(사업규모가 80만㎡ 이상) <br> 사. 매립 및 산업단지 조성사업(사업규모가 80만㎡ 이하) <br> 아. 도로 및 교량건설사업 <br> 자. 발전소 건설사업 <br> 3. 개선방안의 종합적인 내용 <br> <br> 제6장ㆍ결 론 <br> 참고 문헌 <br> 해양생태계의 조사범위 및 조사정점 수 <br> 해안개발사업의 영향범위 <br> 해안개발사업의 영향범위와 조사정점 수와의 관계 <br> 그림의 가로축에 사용되는 약어 설명 <br> Abstract -
dc.format.extent 9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해안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영향예측 결과에 근거한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Determination measures according to survey station of marine organisms based by impact prediction of environment assessment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11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해안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개발사업이 주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장 주변의 해양동ㆍ식물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해양동ㆍ식물상에 대한 조사에 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해역의 해양생태계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조사정점의 과학적 선정방안이다. 조사정점의 선정방법과 위치에 따라 대상해역의 해양생태계 특성 파악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명확한 구분이나 객관적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의 해안개발사업에 따른 영향예측 범위에 대한 정밀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해양생태계 조사정점의 선정방안을 사업별, 해역별 및 사업규모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영향예측 범위는 공사 시 부유사 확산범위, 운영 시 해수유동 변화 및 오염물질 확산범위에 근거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영향평가서의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선정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환경영향평가서의 해안개발사업에서 해수유동 변화, 공사 시 부유토사 확산범위 및 운영 시 오염물질 확산범위에 따른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 해양동ㆍ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의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셋째, 해양생태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여러 연구기관 및 조사기관의 전문가 의견을 수집한다. 한편, 해양환경의 영향예측에 대한 근거 내용은 유엔 환경 프로그램 매뉴얼에 제시되어 있다. 해안개발사업으로 발생되는 해안생태계의 영향예측 범위 및 방법에 대한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양생태계의 조사범위 및 조사정점 수에 따른 개선방안은 매우 합리적인 근거를 토대로 제시되었다고 판단된다. 해양생태계의 현황조사에 따른 문제점과 영향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서의 해안개발사업에서 영향 예측한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ㆍ분석에 이용된 해안개발사업은 총 74건 이며, 2008년부터 현재까지 제출된 환경영향평가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다양한 해양개발사업에 따른 해양동ㆍ식물상의 조사정점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조사정점의 근거나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한 환경영향평가서는 전혀 없었고, 조사를 수행한 기관이 임의로 조사정점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그 정점에서 공사 시와 운영 시에 따른 해역의 특성상 해양동ㆍ식물상의 현황조사를 정확히 파악한 것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또한 해양개발사업에서 해양동ㆍ식물상의 조사범위는 전반적으로 대략 반경 2∼4km 이내가 가장 많았으며, 조사를 수행한 기관에 따라 조사범위에 대한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해양동ㆍ식물상의 영향범위는 사업시행으로 인하여 물리적 영향예측에 해당되며, 영향범위를 세 해역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조사범위에 따라 조사정점 수를 제시하면, 사업대상 내에서의 최소 조사범위에 따른 조사정점 수는 전체 조사정점 수의 20∼30%, 물리적 영향범위 내에서의 평균 조사범위에 따른 조사정점 수는 전체 조사정점 수의 60∼70%, 영향범위에서의 최대 조사범위에 따른 조사정점 수는 전체 조사정점 수의 10∼20%로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조사정점 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사업예정지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과, 공사 시 및 운영 시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시행에 따른 영향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사업지역과 가까운 위치에 조사정점을 많이 선정한다. 둘째, 준설사업은 준설지역의 저서생물 현황 파악과 준설 후 모니터링하기 위해 준설 대상지역에 약 3∼5개(사업규모에 따라 결정)의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한다. 셋째, 매립사업은 매립지역 내에 대한 해양생태계(특히 저서생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서생물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해안개발사업 관련 합리적인 환경영향평가 기법을 제공하고,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안개발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의 활용성을 확보하며, 과도한 해양생태계 조사로 불필요한 시간 및 예산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ae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