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특성을 고려한 지형변화의 적정량 평가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사공희 -
dc.contributor.other 정재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8Z -
dc.date.issued 2010123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3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14사공희(0).pdf -
dc.description.abstract proposals for assessment of the degree of topographic chang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recent enforcement of the “Act on Special Exemption for Simplification of Approval Proceedings for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Act on Restrictions on Tax Exemptions,” projects for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nd golf courses have been increasing every year. Since an increase in such development projects also increase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topography of national land, it has become necessary to in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that protects the natural topography and minimizes human induced changes. Currently, EIA on development projects use earth volume as an index of topographic change; however, this does not allow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y of the site location, and is applied uniformly. Accordingly, development of an objective topographic change assessment technique is needed that can enable simultaneous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hile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from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laws and criteria on topography, and to understand the trend in topographic changes induced by golf courses or industrial complexes, studied EIA statements collected at KEI from 2005 to August 2010. The current state of topography for each region and project, as well as other factors with high relevance to changes in topography, including standard altitude, slope, and form and shape of topograph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topographic changes. Golf course projects throughout the country number 182, with Gyeonggi, Gyeongbuk, and Gangwon having the most courses. The topographic change index for the country was an average 3.5±1.4. Gyeongnam, Gangwon, Chungbuk, Gyeonggi, and Gyeongbuk, which are located in the east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country, have a higher than average topographic change index. This is due to the high slope in the mountainous eastern part of the country, with the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having a comparatively gentle slope. Accordingly, since the condi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vary for each region, topographic change must be assess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and province. Since golf courses are located primarily in mountainous or hilly areas, we examined correlation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topographic change indexes and changes in the total developed area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standard altitude and slope.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for topographic change index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standard altitude and slope, and this was determined to be due to the removal and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earth to ensure a flat surface for sites with high differentials in standard altitude or high slope to enable development of golf courses. On the other hand, total developed area showed a reducing trend, and was determined to be due to an increase in the rate of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site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ial in standard altitude, i.e. the higher the differential the higher the slop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from 1997 to August 2010,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rojects had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5. Furthermore, a clear increase was visible from 2008, and this was determined to be due to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Industry Exemptions Act.” From 2005 to August 2010, industrial complex projects numbered 235. Projects were most numerous in Gyeongnam, Gyeongbuk, Gyeonggi, and Chungnam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topographic change index for the country was 5.7±4.6. In contrast to golf courses, which were situated primarily in mountainous or hilly areas, industrial complexes were situated more often in hilly or flat areas. Golf course projects are intentionally designed to utilize the bends and curves of the natural topography, and have a topographic change index distributed in a more varied standard altitude differential, while industrial complexes must flatten the topography to perform their projects, and thus had their topographic change index distributed in a comparatively lower standard altitude differential. Furthermore,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for golf courses and industrial complexes, but also the form and shape of the prospective site location, can be considered and applied as criteria in the topographic change index. As a result of review of the topographic change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he site location, golf courses showed a value of 3.8±1.3, 3.1±1.4, and 2.0±0.9 for mountainous, hilly, and flat areas respectively, while for industrial complexes, the respective values were 7.1±5.4, 7.3±4.5, and 4.0±3.7. Furthermore, as a result of review of the topographic change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ite, golf courses showed values of 3.4±1.4, 3.8±1.3, 4.5±0.9 for rough terrain, flat terrain, and “V” shaped terrain respectively, while industrial complexes showed 6.6±5.4, 7.6±4.1, and 9.9±8.9 for the respective terrain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establishing targeted environmental values when performing self assessments of propriety as a site by the developer by consulting topographic change index criteria for diverse topography factors that influence the topographic change index.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based on this approach, while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topographic change assessment techniqu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범위 및 내용 <br> <br> <br> <br>제2장·지형 관련 법률 및 지침 현황 <br> <br> <br> <br>1. 환경규제 관련 매뉴얼 <br> <br> 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br> 나.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br> 다. 산지전용 허가기준의 세부 검토기준에 관한 규정 <br> <br>2. 개발 관련 규정 및 지침 <br> <br> 가. 골프장의 중점 사전환경성 검토항목 및 검토방법 등에 관한 규정 <br> 나.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br> 다. 제2종 지구단위 계획수립 지침 <br> <br>3. 고찰 <br> <br> <br> <br>제3장·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의 상관성 <br> <br> <br> <br>1. 지형 분류 및 지형변화지표의 개요 <br> <br> 가. 지형 분류 <br> 나. 지형변화지표 <br> <br>2. 골프장 조성사업의 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 <br> <br> 가. 지역별 지형유형 비율과 지형특성 <br> 나. 지역별 지형변화지표 분석 <br> 다. 지형변화지표와 지형특성 분석 <br> <br>3.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 <br> <br> 가. 지역별 지형유형 비율과 지형특성 <br> 나. 지역별 지형변화지표 분석 <br> 다. 지형변화지표와 지형특성 분석 <br> 라. 산업단지 특례법 시행과 지형변화지표의 변화 <br> <br> <br> <br>제4장·지형변화 적정량 평가방안 <br> <br> <br> <br>1. 지형변화지표의 활용방안과 평가기준 <br> <br>2. 지형변화지수 <br> <br> <br> <br>제5장·결론 및 제언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 골프장의 중점 사전환경성 검토항목 및 검토방법 등에 관한 규정 <br> <br> 골프장의 입지기준 및 환경보전 등에 관한 규정 <br> <br>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범위 및 내용 <br> 제2장·지형 관련 법률 및 지침 현황 <br> 1. 환경규제 관련 매뉴얼 <br> 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br> 나.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br> 다. 산지전용 허가기준의 세부 검토기준에 관한 규정 <br> 2. 개발 관련 규정 및 지침 <br> 가. 골프장의 중점 사전환경성 검토항목 및 검토방법 등에 관한 규정 <br> 나.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br> 다. 제2종 지구단위 계획수립 지침 <br> 3. 고찰 <br> 제3장·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의 상관성 <br> 1. 지형 분류 및 지형변화지표의 개요 <br> 가. 지형 분류 <br> 나. 지형변화지표 <br> 2. 골프장 조성사업의 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 <br> 가. 지역별 지형유형 비율과 지형특성 <br> 나. 지역별 지형변화지표 분석 <br> 다. 지형변화지표와 지형특성 분석 <br> 3.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지형특성과 지형변화지표 <br> 가. 지역별 지형유형 비율과 지형특성 <br> 나. 지역별 지형변화지표 분석 <br> 다. 지형변화지표와 지형특성 분석 <br> 라. 산업단지 특례법 시행과 지형변화지표의 변화 <br> 제4장·지형변화 적정량 평가방안 <br> 1. 지형변화지표의 활용방안과 평가기준 <br> 2. 지형변화지수 <br> 제5장·결론 및 제언 <br> 참고 문헌 <br> 골프장의 중점 사전환경성 검토항목 및 검토방법 등에 관한 규정 <br> 골프장의 입지기준 및 환경보전 등에 관한 규정 <br>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 <br> Abstract -
dc.format.extent 4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지형특성을 고려한 지형변화의 적정량 평가방안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Proposals for assessment of the degree of topographic chang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14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우리나라는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앞둔 선진개발도상국으로 발전해 왔으며 여전히 개발에 대한 요구가 많다.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특히 레저활동과 산업활동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토에서 산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증가하는 개발수요에 비하여 개발가용지가 점차 줄어들고 대규모 개발사업이 산지에 입지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지형훼손 및 이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지형은 자연경관을 구성하고 지반은 토양 생성의 근간을 이루고 있어 인위적인 변화가 발생하면 경관훼손, 지반안정성 저하, 토사유출, 비산먼지 등의 영향이 파생될 수 있다. 즉, 환경영향을 유발하는 요소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지형변화와의 관련성이 높다. 따라서 자연지형을 보전하고 인위적인 지형변화량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개발이 필요하다. 그동안 개발사업의 입지 및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수행되었으나‘지형변화 최소화’에 대한 평가방안은 거의 논의된 일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변화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골프장 조성사업과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연구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0년 8월까지 본 원에 접수된 환경영향평가서(본안)의 지형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업대상지의 입지를 표고와 경사도에 따라서 산지형, 구릉지형, 평지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산지형과 구릉지형에 해당하는 사업대상지는 다시 지형형상에 따라서 편사면형, 요철형&핑거형, V자형으로 세분류하였다. 골프장 조상사업은 대부분 산지형과 구릉지형에 해당되며, 산지형에 해당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은 대부분 구릉지형과 평지형에 해당하나 산지형의 비율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지형변화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지형변화지표를 단위면적당 토공량으로 정의하고 지역별, 입지유형별, 지형형상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골프장 조성사업의 지형변화지표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3.5±1.4이며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지형변화지표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5.7±4.6이다. 이는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골프장 조성사업보다 지형훼손을 더 크게 유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골프장 조성사업의 입지유형별 지형변화지표 값은 산지형 > 구릉지형 > 평지형의 순으로 차이를 보인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입지유형별 지형변화지표 값은 구릉지형 ≥ 산지형 > 평지형의 순으로 차이를 보인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은 구릉지형에서 지형훼손이 크게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형형상에 따른 분류에서 지형변화지표 값은 V자형 > 요철형 > 편사면형의 순으로 차이를 보인다. 지형변화지표는 표고차와 급경사지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산업단지 특례법의 시행 이후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산지에 입지하는 비율 또한 증가하고 있어 입지선정 및 계획단계에서부터 환경적 고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절대값으로 표현되는 지형변화지표를 개선하여 어떤 기준에 대하여 상대적인 과소를 ±로 표현하는 지형변화지수(%)를 제안한다. 지형변화지수는 각 사업유형별로 지형변화지표의 평균을 기준으로 나타내며 표준편차를 최대 허용범위로 산정한다. 지형변화지수는 모든 사업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지형변화의 정도를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각 개발사업에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지형적 입지여건에 따른 지형변화지표 값을 참고하여 환경목표를 설정하고 그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지형변화지표와 다양한 평가기준은 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지형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체평가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g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e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