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명수정 -
dc.contributor.other 강민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9Z -
dc.date.issued 201008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0-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3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정책2010-03(명수정).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ing and Applying Green Life Style Indicator The present research developed indicators of green life and made suggestions on how to use these indicators, in order to monitor the trend of people's green life practice. The indicators developed consist of two large indicator categories of individual and societal aspects, each of which has two medium categories, that is, the individual category is composed of subcategories for the knowledge of green life and the practice of green life, and the societal category has subcategories for the infra-structure of green life and the outcomes of green life. The knowledge of green life consists of the awareness of green life and the attitudes towards green life. The other three categories, that is, those for the practice of green life, the infra-structure of green life, and the outcomes all addressed the issue in terms of household life, purchasing,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develop green-life indicato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ith general public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green life. Then, for the selection of indicators for each category, specialists' delphi analysis was conducted, experts' opinions were converged and related researchers' discussion meetings were held,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veness, validity, reliability, economy, and connection with relevant policies. The following is the framework of green life indicators developed by the present study. The knowledge of green life at the individual level consists of the awareness of green life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practice of green life. The individuals' practice of green life selected the indicators of 'reducing the leftover of food', 'wearing cool and warm clothes', 'using a water-glass when brushing teeth', 'maintaining appropriate room temperatures', and 'pulling out the plugs of electric home appliances' in the subcategory of household life,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veness and importance. For the subcategory of purchase,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goods'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friendly spending; and for the subcategory of transportation, 'us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bicycle riding or walking' and 'participating in the One-Day-Without-a-Car movement' were selected because they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The societal level indicators, which consist of the societal infra-structure category and the outcome category, were addressed in terms of household living, purchase, and transportation. The indicators in the category of societal infra-structure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positive impacts on individual people's green life practice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categories. The household living subcategory selected 'the percentage of using usage-based pricing bags for food waste disposal' and 'the number of houses certified for green life'. The purchase subcategory selected 'the percentage of environment-friendly goods among the overall goods'; and the transportation subcategory selected 'the percentage of railroad transportation in the overall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number of areas designated for green transportation measures'. In the category of the outcome of green life, the household living subcategory selected 'the amount of waste production per person', 'the amount of water consumption per person',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per person'. The purchase subcategory selected 'the amount of sale of environment-friendly goods'; and the transportation subcategory selected 'th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by passenger cars'. The application of these indicators to the available data showed that the amounts of food waste and electricity consumption were in the increasing trend. Th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nd civilian institutions to actively stage campaigns and educat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amounts of household waste and tap water consumption were decreasing, and the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goods by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percentage of environment-friendly goods increasing. There were some areas where data were not available for the developed indicators. For example, 'the number of houses certified for green life', and 'the number of areas designated for green transportation measures' were not applicabl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data bases be built for these indicators. It also attempted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the indicators by showing the trends of individual indicators and providing domestic and overseas data for the users. The most important use of the indicators developed by the present study is monitoring the trends of green life. Periodical monitoring of green life can assess the spread and stable settlement of green life, thereb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green life. In other words, green life monitoring can set the direction for the publicity, education, and campaign for green life practice. In particular, monitoring the status quo of the green life infra-structure at the local and national level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kind of infra-structure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use of these indicators is expected to lead to a more effective settlement of green lif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기대 효과 <br> <br> 가. 연구의 주요 내용 <br> 나. 연구의 기대 효과 <br> <br> <br> <br>제2장 녹색생활과 지표 연구 <br> <br> <br> <br>1. 녹색생활 <br> <br> 가. 녹색생활의 정의 <br> 나. 녹색생활과 녹색성장 <br> <br>2. 지표 관련 선행 연구 <br> <br> 가. 글로벌 및 국가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나. 지역 및 사회적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다. 개인적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라. 기타 지표 및 지수 <br> 마. 지표 및 지수의 분류 <br> <br> <br> <br>제3장 녹색생활 지표 개발 <br> <br> <br> <br>1. 녹색생활 지표의 목표 및 개발 원칙 <br> <br> 가. 지표의 목표 <br> 나. 지표 개발의 원칙 <br> <br>2. 녹색생활 지표체계 구축 <br> <br> 가. 지표체계의 구축 <br> 나. 지표 구축 절차 요약 <br> <br>3. 세부 지표 선정 <br> <br> 가. 녹색생활 소양 <br> 나. 개인의 실천 <br> 다. 사회적 인프라 <br> 라. 녹색생활 성과 <br> 마. 녹색생활 지표 최종안 <br> <br> <br> <br>제4장 녹색생활 지표의 적용 및 활용방안 <br> <br> <br> <br>1. 녹색생활 지표의 시범 적용 <br> <br> 가. 사회적 인프라 <br> 나. 녹색생활 성과 <br> <br>2. 녹색생활 지표의 활용방안 <br> <br> 가. 녹색생활의 주기적 모니터링 <br> 나. 녹색생활 성과에 이르는 과정의 이해 <br> 다. 지표의 선택적 적용 <br> 라. 녹색생활 지표의 지수화 <br> 마. 바람직한 녹색생활 방향의 제시 <br> <br> <br> <br>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br> <br> <br> <br>1. 결론 <br> <br>2. 향후 과제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부록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기대 효과 <br> 가. 연구의 주요 내용 <br> 나. 연구의 기대 효과 <br> 제2장 녹색생활과 지표 연구 <br> 1. 녹색생활 <br> 가. 녹색생활의 정의 <br> 나. 녹색생활과 녹색성장 <br> 2. 지표 관련 선행 연구 <br> 가. 글로벌 및 국가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나. 지역 및 사회적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다. 개인적 차원의 지표 및 지수 <br> 라. 기타 지표 및 지수 <br> 마. 지표 및 지수의 분류 <br> 제3장 녹색생활 지표 개발 <br> 1. 녹색생활 지표의 목표 및 개발 원칙 <br> 가. 지표의 목표 <br> 나. 지표 개발의 원칙 <br> 2. 녹색생활 지표체계 구축 <br> 가. 지표체계의 구축 <br> 나. 지표 구축 절차 요약 <br> 3. 세부 지표 선정 <br> 가. 녹색생활 소양 <br> 나. 개인의 실천 <br> 다. 사회적 인프라 <br> 라. 녹색생활 성과 <br> 마. 녹색생활 지표 최종안 <br> 제4장 녹색생활 지표의 적용 및 활용방안 <br> 1. 녹색생활 지표의 시범 적용 <br> 가. 사회적 인프라 <br> 나. 녹색생활 성과 <br> 2. 녹색생활 지표의 활용방안 <br> 가. 녹색생활의 주기적 모니터링 <br> 나. 녹색생활 성과에 이르는 과정의 이해 <br> 다. 지표의 선택적 적용 <br> 라. 녹색생활 지표의 지수화 <br> 마. 바람직한 녹색생활 방향의 제시 <br>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br> 1. 결론 <br> 2. 향후 과제 <br> 참고 문헌 <br> 부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9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ing and applying green life lndicator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3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국민들의 녹색생활 실천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녹색생활 지표를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녹색생활 지표 개발 원칙은 지표의 타당성, 대표성과 경제성의 추구, 정책과의 연관성, 신뢰성의 확보, 그리고 지표의 활용 및 성과 측면의 강조이다. 이러한 원칙을 따라 개발한 녹색생활 지표는 크게 개인적 부문과 사회적 부문의 대지표군으로 되어 있고, 각각은 다시 두 개의 중지표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개인적 지표군은 녹색생활 소양 지표군과 녹색생활의 실천 지표군으로 되어 있고, 사회적 지표군은 녹색생활 인프라 지표군과 녹색생활 성과 지표군으로 되어 있다. 녹색생활 소양 지표군은 녹색생활에 대한 인지와 녹색생활에 대한 태도를 다루며, 나머지 세 중지표군, 즉 녹색생활 실천, 녹색생활 인프라, 그리고 녹색생활 성과 지표군은 각각 의?식?주 생활, 구매, 교통을 다룬다. 녹색생활 지표의 개별 범주에 속하는 세부 지표항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 및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녹색생활 실천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최종지표 선정은 전문가 델파이 분석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여 정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가 개발한 녹색생활 지표의 체계이다. 개인적 부문의 녹색생활 소양은 녹색생활에 대한 인지와 태도로 구성하였다. 개인의 녹색생활 실천에서의 의?식?주 생활 지표로는 대표성과 중요도에 따라 '식사 후 잔반 줄이기', '쿨맵시?온맵시 실천', '양치 시 양치컵 사용하기', '적정 실내온도 유지', '가전제품 플러그 뽑기 및 멀티 탭 사용'을 선정하였다. 구매 부문는 '물품 구매 시 친환경상품 구매하기'를 대표 지표로 정하였고, 교통 부문은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고려하여 '대중교통 이용 및 자전거타기 혹은 걷기'와 '승용차 요일제 참여'로 정하였다. 사회적 인프라와 녹색생활 성과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적 지표군도 의?식?주 생활, 구매, 교통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사회적 인프라 지표는 개인의 녹색생활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다른 지표군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의?식?주 생활 지표군에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실시율'과 '녹색건축물 인증주택 개소'를 선정하였고, 구매 지표군에는 '친환경상품 보급률'을, 그리고 교통 부문에는 '교통 SOC 중 철도 비율'과 '녹색교통 대책지역 지정개소'로 정하였다. 녹색생활 성과의 영역은 의?식?주 생활 범주로 '일인당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 '일인당 물 소비량', '전력 소비량'을 선정하였고, 구매 범주로 '친환경상품 판매량'을, 그리고 교통 부문은 '승용차 에너지 소비량'으로 정하였다. 이 세부 지표들을 가용한 자료에 적용한 결과, 가정부문의 전력 소비량과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최근 증가 추세를 보였다. 반면, 일인당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과 물 소비량은 감소했으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실시율, 공공기관의 친환경 상품 구매액과 친환경상품 보급률은 증가하였다. 개인적 부문의 세부 지표와 '녹색건축물 인증주택 개소', '녹색교통 대책지역 지정개소'와 같은 항목은 아직까지는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관련 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개별 지표의 활용예시와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지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개발한 지표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녹색생활 실천 추이와 관련 인프라 및 성과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녹색생활 지표를 통한 주기적 모니터링은 녹색생활의 확산정도와 안정적인 정착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주며, 이를 통해 녹색생활의 중요성을 확인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녹색생활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홍보와 교육 및 캠페인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국가적 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녹색생활 인프라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정부가 어떤 종류의 인프라를 강화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녹색생활 지표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녹색생활 정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y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j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