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조류발생 특성분석 및 관리정책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유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9Z -
dc.date.issued 201010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0-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3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정책2010-05_정유진[1].pdf -
dc.description.abstract Analysis and management of algal bloom in the Nakdong River Concerns about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have been raised because the Nakdong River will change from a lotic environment to a lentic environment due to the installation of eight weirs to be constructed as part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comprehensive policy directions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lgal blooms in the Nakdong River through review of current trends in domestic and overseas algal management, collec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from the river, and confirmation of limiting factors for algal blooms in the river. To this end, the following systems were considered and reviewed: the Algal Prediction System of Korea; the Harmful Algae Blooms Observing System (HABSOS), Mississippi River Watershed Conservation system, and Ecology and Oceanography of Harmful Algal Blooms (ECOHAB) system of the U.S.; the New South Wales Algal Alert System, the Victoria Algal Management System, and the National Eutrophication Management Program (NEMP) of Australia; and the Standards for Blue-Green Alga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s a result,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standards for Korea's Algal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at the Mulgeum water intake station over the last 15 years, the current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has been classified as in a eutrophic state based on the eutrophication criteria applied to lakes and reservoirs. In addition, waste loads in the Nakdong River were estimated before and after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in order to determine how much phosphorus load, which is one of the limiting factors to algal growth, can be controlled in the watershed. This study evaluated available technologies to control algal blooms, but found that few can be applied to the Nakdong River because of their low field applicabilit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propose use of the “Algal Alarm System” and the “Algal Forecasting System” in lieu of the current “Algae Prediction System” as the river’s algal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effluent standard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treatment facilities must be constructed in order to reduce phosphorus load in the watershed.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s also necessary in the Nakdong River, including non-point source management, if a healthy water environment is to be achieved over the long term. Finally, this study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long-term fundamental research programs to resolve algal issues and eutrophication in the Nakdong Rive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범위 및 구성 <br> <br> <br> <br>제2장 주요 국가의 조류관리 현황 <br> <br> <br> <br>1. 한국의 조류관리 현황 <br> <br> 가. 조류예보제 <br> 나. 조류 관련 연구 프로그램 <br> <br>2. 해외의 조류관리 현황 <br> <br> 가. 미국의 조류관리 <br> 나. 호주의 조류관리 <br> 다. 남조류 독성에 관한 WHO 가이드라인 <br> <br> <br> <br>제3장 낙동강의 조류발생 현황 및 특성분석 <br> <br> <br> <br>1. 낙동강의 주요 현황 <br> <br> 가. 낙동강의 지리적 현황 <br> 나. 낙동강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br> 다. 낙동강 발생조류의 종류 및 시공간적 분포 <br> <br>2. 낙동강의 조류발생 특성 분석 <br> <br> 가. 조류발생 조건 <br> 나. 낙동강 물금지역에 조류예보제 기준 적용 <br> <br>3. 낙동강 배출 오염원 및 부하량 평가 <br> <br> 가. 낙동강 오염원 및 부하량 산정방법 <br> 나. 낙동강 살리기 사업 수질개선계획 전후의 오염부하량 비교 <br> <br> <br> <br>제4장 낙동강의 조류관리 정책방안 <br> <br> <br> <br>1. 조류제어 기술의 적용을 위한 제언 <br> <br> 가. 녹조 저감기술 <br> 나. 조류제어 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br> <br>2. 조류관리를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br> <br> 가. 조류예보제 개선 및 하천 적용방안 <br> 나. 유역 오염원 관리 <br> 다. 조류 관련 연구 투자증대 <br> <br> <br> <br>제5장 결론 <br> <br> <br> <br>참고문헌 <br> <br>부 록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범위 및 구성 <br> 제2장 주요 국가의 조류관리 현황 <br> 1. 한국의 조류관리 현황 <br> 가. 조류예보제 <br> 나. 조류 관련 연구 프로그램 <br> 2. 해외의 조류관리 현황 <br> 가. 미국의 조류관리 <br> 나. 호주의 조류관리 <br> 다. 남조류 독성에 관한 WHO 가이드라인 <br> 제3장 낙동강의 조류발생 현황 및 특성분석 <br> 1. 낙동강의 주요 현황 <br> 가. 낙동강의 지리적 현황 <br> 나. 낙동강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br> 다. 낙동강 발생조류의 종류 및 시공간적 분포 <br> 2. 낙동강의 조류발생 특성 분석 <br> 가. 조류발생 조건 <br> 나. 낙동강 물금지역에 조류예보제 기준 적용 <br> 3. 낙동강 배출 오염원 및 부하량 평가 <br> 가. 낙동강 오염원 및 부하량 산정방법 <br> 나. 낙동강 살리기 사업 수질개선계획 전후의 오염부하량 비교 <br> 제4장 낙동강의 조류관리 정책방안 <br> 1. 조류제어 기술의 적용을 위한 제언 <br> 가. 녹조 저감기술 <br> 나. 조류제어 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br> 2. 조류관리를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br> 가. 조류예보제 개선 및 하천 적용방안 <br> 나. 유역 오염원 관리 <br> 다. 조류 관련 연구 투자증대 <br> 제5장 결론 <br> 참고문헌 <br> 부 록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8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낙동강 조류발생 특성분석 및 관리정책 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Analysis and management of algal bloom in the nakdong river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5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낙동강은 하류를 중심으로 하천 유역 생태계 내에서 부영양화 상태가 심화되어 조류 대발생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는 등 수질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조류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 조류연구 및 자료의 수집?분석을 통해 낙동강 조류발생의 특성을 분석하여, 조류 관리를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조류관리 현황으로 국내 조류예보제, 미국의 Harmful Algal Blooms Observing System(HABSOS)과 Mississipi River Watershed Conservation, 그리고 Ecology and Oceanography of Toxic Algal Blooms(ECOHAB) 프로그램 등,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조류경보제와 빅토리아주의 조류관리, 그리고 National Eutrophication Management Program(NEMP) 등, 그리고 WHO의 남조류 독성에 관한 기준을 살펴보고, 국내 조류예보제의 발령기준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낙동강의 주요 현황 및 물금 지역의 최근까지 15년간 축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조류발생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낙동강 하류지역(물금지역)은 영양물질과 조류 농도의 기준에서 호소 부영양화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부영양화 상태로 나타났다. 조류발생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유역 내에서 발생되는 영양물질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전후의 발생 오염원 부하량 산정하고 점 및 비점오염원 관리의 계획을 고려하여 배출 오염원 부하량도 산정하였는데, 2007년 대비 2012년의 낙동강 전체 배출 오염 부하량은 저감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존 기술적 조류제어 기술들을 분류별로 검토하였는데, 낙동강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계절적 특성과 상 ? 중 ? 하류 등의 공간적 특성이 고려된 조류제어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한편, 현재 시행 중인‘조류예보제’를‘조류경보제’로 개정하고 국내 하천의 실정에 맞는 독성중심의 발령기준을 새롭게 수립하여‘조류경보제’를 운영할 뿐만 아니라, 조류 예방대책으로 국내 하천의 부영양화기준을 수립하여 하천 수리?수질모델링과 연계된‘조류예보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안을 중장기적 조류 관리정책으로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인 점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감소를 위한 배출수 기준강화 및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재정적 투자와 함께, 각 부처간 유역관리 통합시스템 구축 등 장기적인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방안과 더불어, 조류 관련 기초과학 연구 투자증대를 장기적인 정책방안으로 강조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u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