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성 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노백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0Z -
dc.date.issued 201010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0-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4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정책2010-08(노백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A Framework for Incorporating Wildlife Habitat Survey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Environmental Assessment Fauna and flora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endangered species distribution and critical habitat near project sites and their surroundings, these are used to estimate habitat changes and to provide mitigation measure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 Current ecological survey guidelines described general requirements on species of concern, range boundaries and documentation, but detailed informations for habitat survey are rarely determined by field experts, habitat survey comprehensive plan, and adaptive negotiations among different stakehold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auna survey manual, suggesting that systematic approaches on identification of focal species, selection of survey routes, and stepwise procedures of each phase. The specification of habitat survey is a standard way for field experts to determine optimal monitoring hours and survey routes of each target species, after all the recorded species had been evaluated with conservation priority. All speci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1) the common species, 2)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3) legally protected species. Different levels of wildlife habitat survey are conducted by three categories. For exampl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threatened factors should be included in the survey plan for endangered species, as well as occurrence and distribution range. Every species and taxonomic groups has different activities season, so habitat survey plan is more appropriate to select breeding season for wildlife species, in their territories. Selection of target species, survey routes, and hours in the sites are important to assess wildlife habitats by development projects. Moreover, survey methods, including number and reliability of survey sites, line transects, area-based and grid-based surveys, should be generally evaluated for two case studies. The application of grid-based habitat survey against linear projects (i.e., road construction) and areal projects (i.e., golf course development) said that grid-based surveys provides standardized habitat delineation and high-quality habitat derived from each grid in development sites. This study also focus on the forms and procedures for fauna. At first, habitat survey begin with literature, documentation and existed species distirbution maps. Draft habitat survey is important to establish in-situ faunal data collection plan. Comprehensive plans on mitigation measures and monitoring techniques, including habitat map delineations and conservation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to assess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development projects. In summary, ranking system of wildlife species to quantify habitat change, grid-based approach in habitat survey, in-situ habitat survey plan, and survey procedure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should be comprehensively applied in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regulations and techniqu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br> <br>2. 연구의 목적 <br> <br>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br> 가. 연구의 내용 <br> 나. 연구의 방법 <br> <br> <br> <br>제2장 자연환경분야의 조사현황 및 문제점 <br> <br> <br> <br>1. 자연환경조사의 국내외 동향 <br> <br> 가. 국내 동향 <br> 나. 국외 동향 <br> <br>2. 환경영향평가에서 동물상 조사현황 <br> <br> 가. 일반적 인식 <br> 나. 작성현황 <br> <br>3. 환경영향평가에서 동물상 조사분야 개선방향 <br> <br> 가. 조사매뉴얼 보급 <br> 나. 정보 제공을 통한 현황파악 수준 제고 <br> 다. 저감방안 사례조사 및 보급 <br> <br> <br> <br>제3장 사례지역 분석 <br> <br> <br> <br>1. 사례지역(선형사업, 면적사업)의 선정 <br> <br>2. 사례지역 개요 및 자연환경조사 현황 <br> <br> 가. 면적사업(○○골프장조성사업) <br> 나. 선형사업(△△도로건설사업) <br> 다. 사례지역 조사에 따른 문제점 파악 <br> <br>3. 사례지역에 대한 서식지 조사 <br> <br> 가. 서식지 조사대상의 선정 및 추진절차 <br> 나. 서식지 현황조사,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제시 <br> <br>4. 서식지 조사기법의 적용 및 비교 <br> <br> <br> <br>제4장 환경성 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 <br> <br> <br> <br>1. 서식지 조사 개요 <br> <br> 가.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br> 나. 서식지 조사에 있어 고려사항 <br> 다. 기존 조사체계의 개선방향 <br> <br>2. 서식지 조사를 위한 추진방안 <br> <br> 가. 기존 조사자료의 활용 <br> 나. 조사 대상종의 선정방안 <br> 다. 서식지 조사 범위 및 조사 내용 <br> 라. 현지조사를 위한 서식지 유형 구분 <br> 마. 현지조사를 위한 격자 설정방안 <br> <br>3. 서식지 조사를 위한 추진체계 <br> <br> 가. 통합적인 조사체계 확립 <br> 나. 서식지 조사 절차 <br> 다. 현지조사계획서 작성 <br> <br>4. 환경성 평가에 있어 서식지 보전방안 <br> <br> 가. 서식지 보전의 원칙 <br> 나. 서식지 보전방안 강구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가. 연구의 내용 <br> 나. 연구의 방법 <br> 제2장 자연환경분야의 조사현황 및 문제점 <br> 1. 자연환경조사의 국내외 동향 <br> 가. 국내 동향 <br> 나. 국외 동향 <br> 2. 환경영향평가에서 동물상 조사현황 <br> 가. 일반적 인식 <br> 나. 작성현황 <br> 3. 환경영향평가에서 동물상 조사분야 개선방향 <br> 가. 조사매뉴얼 보급 <br> 나. 정보 제공을 통한 현황파악 수준 제고 <br> 다. 저감방안 사례조사 및 보급 <br> 제3장 사례지역 분석 <br> 1. 사례지역(선형사업, 면적사업)의 선정 <br> 2. 사례지역 개요 및 자연환경조사 현황 <br> 가. 면적사업(○○골프장조성사업) <br> 나. 선형사업(△△도로건설사업) <br> 다. 사례지역 조사에 따른 문제점 파악 <br> 3. 사례지역에 대한 서식지 조사 <br> 가. 서식지 조사대상의 선정 및 추진절차 <br> 나. 서식지 현황조사,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제시 <br> 4. 서식지 조사기법의 적용 및 비교 <br> 제4장 환경성 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 <br> 1. 서식지 조사 개요 <br> 가.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br> 나. 서식지 조사에 있어 고려사항 <br> 다. 기존 조사체계의 개선방향 <br> 2. 서식지 조사를 위한 추진방안 <br> 가. 기존 조사자료의 활용 <br> 나. 조사 대상종의 선정방안 <br> 다. 서식지 조사 범위 및 조사 내용 <br> 라. 현지조사를 위한 서식지 유형 구분 <br> 마. 현지조사를 위한 격자 설정방안 <br> 3. 서식지 조사를 위한 추진체계 <br> 가. 통합적인 조사체계 확립 <br> 나. 서식지 조사 절차 <br> 다. 현지조사계획서 작성 <br> 4. 환경성 평가에 있어 서식지 보전방안 <br> 가. 서식지 보전의 원칙 <br> 나. 서식지 보전방안 강구 <br> 제5장 정책 제안 <br> 1. 조사절차의 보완 <br> 2. 서식지 조사방법의 개선 <br> 3. 서식지 조사결과의 활용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12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환경성 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A Framework for Incorporating Wildlife Habitat Survey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Environmental Assessment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8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환경성 평가에 있어 동물상 조사는 사업대상지 및 주변에 서식하는 종의 현황 및 주요 서식지를 파악하여 사업을 시행했을 때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보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현행 동물상 조사규정은 조사항목, 조사범위, 기재요령 등에 대한 개략적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조사는 조사자의 판단, 탐문조사 및 협의를 통해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동물상 조사의 한계를 파악하고, 조사대상, 방법 및 절차를 서식지 관점에서 체계화하여 개발사업이 서식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생물종을 유형화하고 조사항목을 구체화하였다. 즉 조사대상은 3등급(일반종, 서식지조사대상종, 정밀조사대상종)으로 세분화하고, 등급별로 생물종의 일반현황, 분포범위, 서식특성 및 위협요인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가 적은 정밀조사대상종은 출현 여부, 분포범위뿐만 아니라 서식특성과 위협요인까지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개발사업이 미치는 서식지 환경 변화를 정교하게 예측한다. 조사범위와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종별 행동반경과 출현시기, 서식처 특성을 조사계획서에 포함한다. 특히 선, 면, 격자를 비교하여 격자조사법을 조사 틀로 격자 크기 및 적정 격자수 선정방안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인 조사격자는 선형사업(도로) 및 면적사업(골프장) 사례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격자조사법 및 현지조사계획서를 중심으로 서식지 조사절차를 명시하였다. 문헌조사, 도면 등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현지조사계획서를 작성하여 동물상 및 서식지를 조사하며, 조사결과는 서식지 지도로 표현한다. 서식지 지도는 개발이 미치는 서식지 변화 모니터링 및 서식지 관리방안 마련에 활용한다. 요약하면, 조사대상종 등급화, 격자조사, 현지조사계획서 작성 및 검토가 포함된 조사절차를 통해 동물상(서식지) 조사를 체계화하여 환경성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Roh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ik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