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수계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6Z -
dc.date.issued 2007032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62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최지용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 수립방안.pdf -
dc.description.abstract - SUMMARY - The Fundamental study on Land Use Plan with Precautionary Approach The watershed environment of Korea was changed remarkably because of meteorological and geographical features and urbanization. Although many effort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it was damaged severely because of urban flooding caused by the increase of impervious surface area. And the improvement was also retarded for the impact of nonpoint sources. Considering water quality, quantity, and cycle and ecosystem simultaneously, future water management should focus on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in watersheds. However, this idea is not reflected yet to the water management measures of Korea. Therefore, preventive land use research is required to enhance the existing measures and maximize its effect for water cycling in a watersh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variety of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ractices deciding water quality and to prepare measures for introducing preventive methods to watershed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followings should be executed: i)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and use on environment based on fundamental data; ii) to analyze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ractices and characteristics; iii) to fix current problems in order to introduce the practices. Above all, the concentr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s depending on the arid regions composed of residential,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and transportational districts in 35 units of Han River Basin.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ntr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BOD, T-N, and T-P vary directly with impervious surface area. It was also showed in the researches of other countries that urbanization deteriorated water environment. As a result, it was perceived that schematic BMPs and preventive land uses were necessary for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As one of environment-friendly and preventive land use plans, low impact development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its background and components, approach schedule, and practical application techniques. In addition, it was checked how current land use practices were applied practically to vacant urban land, parking space, road and former downtown, how total amount of greenery and development promotion district were determined, and how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were installed and managed. Thus, performance plan presents specific practices including road, parking lot, river traversing facility and street trees in the stage of building design and complex arrangement. Though Korea defined Water Supply Source Protection Area, Special Management Area, Installation Permit Limitation Area of Discharge Facility, and Watershed District Identification to manage water system, double regulation could occur because the connection is weak, and environmental impact could not be estimated reasonably for its assessment limi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lanned Unit Development and activate plan design according to land properties strengthening principles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Territory and weakening intervention of other laws. Administrative foundation is also requested for preventive land development binding urban and rural areas, importing development notice system identifying area, type, and development scale and method of local land resource, and professionalizing land use and administration by ensuring legal system and experts. This study showed that it would drive following results to apply land use techniques decreasing impervious surface area. Firstly, it will be helpful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The goal of watershed management is to restrict land use and development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water environment. Therefore, comprehensive and preventive land development will achieve environment-friendly and efficient basin control organizing each part of watershed management. Secondly, preventive development will result in environmental enhancement. Although land use plan determines watershed condition, the plan is designed by a developer and damaged function is hard to recover. As a result, preventive developmen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basin condition. Later on, advanced and protective land use system will be accomplished by accumulating more researches and exploring practical pla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 례 - <br> 제1장 서론 <br>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br>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br> 제2장 토지이용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br>제1절 연구대상지역 <br>제2절 토지이용 및 수질현황 <br> 1. 토지이용현황 <br> 2. 수질현황 <br>제3절 토지이용과 수질 및 수생태 상관관계분석 <br> 1. 불투수면 비율 산정 <br> 2. 수질영향분석 <br> 3. 외국사례를 통한 수생태 영향분석 <br>제4절 사전예방적 토지이용의 중요성 <br> 1. 구조적 BMPs를 통한 생태복원 효과 <br> 2. 유역 토지이용차원에서 생태건강성 평가 <br> 3. 생태관리에 있어서의 사전예방적 토지이용의 중요성 <br> 제3장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기법의 종류 및 특성 <br>제1절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기법-저영향개발 <br> 1. 저영향개발의 정의 및 등장배경 <br> 2. 저영향개발 단지설계전략 <br> 3. 저영향개발을 위한 요소기술 <br>제2절 외국의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기법의 활용실태 <br> 1. 공지 개발 <br> 2. 재개발 <br> 3. 개발촉진지구의 활용 <br> 4. 녹지총량제 <br> 5. 주차장 <br> 6. 친환경적 도로 설계 <br> 7. 우수관리시설 <br>제3절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기법의 구체적 적용방안 <br> 1. 단지계획과 건물배치계획 단계 <br> 2. 세부 친환경적 기법의 실행 <br>제4절 사전예방적 토지관리제도 <br> 1. 국내사례 <br> 2. 국외사례 <br> 제4장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제도개선 <br>제1절 국내 토지이용계획의 현황 <br> 1. 토지이용계획의 유형 <br> 2. 토지이용계획의 체계 <br> 3. 토지이용의 문제 <br>제2절 국내 토지이용계획의 문제 <br> 1. 토지이용계획 구성체계의 문제 <br> 2. 국토계획법에 의한 토지이용 행위규제의 중복 <br> 3. 국토계획체계 및 계획수립과정에서의 환경성 부족 <br> 4. 토지적성평가에 따른 기술적 한계 <br>제3절 제도개선방안 <br> 1. 토지이용계획체계의 활성화 <br> 2. 토지이용 행위규제의 현실화 <br> 3.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의 여건 조성 <br> 4. 사전예방적 토지이용을 위한 행정기반 조성 <br> 제5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br>제1절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br>제2절 대외기여도 <br>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br> 참고문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CONTENTS - <br> Chapter 1 Introduction <br>1. Background and Purpose <br>2. Scope and Method <br> Chapter 2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Environment <br>1. Target Region of Research <br>2. Current Condition of Land Use and Water Quality <br>3. Correlation Analysis of Land Use with Water Quality and Ecosystem <br>4. Importance of Preventive Land Use <br> Chapter 3 Preventive Land Use Practices and Characteristics <br>1. Preventive Land Use Practice-Low Impact Development <br>2. Application Examples of Preventive Land Use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br>3. Specific Application Plan of Preventive Land Use Practices <br>4. Preventive Land Management System <br> Chapter 4 System Improvement for Preventive Land Use Plan <br>1. Current Condition of Domestic Land Use Plan <br>2. Problems of Domestic Land Use Plan <br>3. Measures for System Improvement <br> Chapter 5 Achievement Schedule and Research Result Contribution <br>1. Schedule for Goal Achievement <br>2. Research Contribution <br> Chapter 6 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 <br> References -
dc.language 한국어 -
dc.title 한강수계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dc.type 수탁연구 -
dc.title.original The fundamental study on land use plan with the precationary approach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 요약문 - Ⅰ. 제목 :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Ⅱ. 조사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 유역환경은 기상 및 지형적 특성과 도시화 진행 등으로 인해 그동안 크게 변화하였다. 그간의 물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포장면 등의 증가로 도시형 홍수는 더 큰 피해를 가져왔고, 수질 역시 상대적인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개선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향후 물관리는 수질, 수량, 물순환, 생태문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이는 유역의 친환경적인 토지이용에 바탕을 두고 추진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은 이 같은 틀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기존 물관리 정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물관리 정책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유역의 물순환을 고려한 사전예방적인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역의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에 대해 다양한 친환경적 토지이용기법을 고찰하고 이를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유역관리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Ⅲ.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이 연구에서는 토지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친환경적 토지이용기법을 고찰하고 사전예방적 차원으로 유역관리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수질 등의 유역환경 기초자료를 통해 토지이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둘째,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기법을 조사하고 특징을 분석하며, 셋째 이러한 기법의 도입을 위해 현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검토한다. Ⅳ. 조사연구결과 먼저, 토지이용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한강유역의 35개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주거, 공업, 상업, 위락, 교통, 공공시설지역으로 이루어진 시가화 건조지역에 따른 수질농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BOD, T-N, T-P의 수질항목 농도가 올라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외국사례를 통해 도시화가 수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구조적 BMPs의 역할과 민감지역을 보존하는 사전예방적 토지이용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사전예방적인 토지이용계획 및 제도를 조사하였다. 주로, 저영향개발을 중심으로 이러한 개발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계획에 포함되는 요소, 계획의 접근방법, 구체적인 적용기술 등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도시의 공한지, 주차장, 도로 및 구시가지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토지이용기법의 실태와 함께 녹지총량제 및 개발촉진지구 등의 설정과 우수관리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사항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단지 및 건물배치 계획단계에서 도로 및 주차장, 하천횡단시설, 가로수, 건물 설계, 단지 배치 등에 관한 세부적 친환경 기법들의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수원보호구역, 특별대책지역, 배출시설설치허가제한지역, 수변구역지정 등의 관리제도를 두고 있지만 구성체계의 상호연계성이 결여되어있고 구체성이 결여되거나 중복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가의 한계 등으로 환경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국토기본법의 원칙을 강화하여 타법의 영향을 줄이고 선계획 후개발의 체계를 확립하고 토지적성에 맞게 계획체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와 비도시지역을 일원화하고 지역의 토지자원규모, 자원의 형태, 개발규모 및 방식 등을 설정한 토지지원 개발예고제를 도입하고 법적 정비 및 전문인력 확보 등을 통해 토지이용 및 관리행정을 전문화하여 사전예방적 토지이용을 위한 행정기반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Ⅴ.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유역의 건전한 물순환 체계를 회복하기 위해 불투수층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지이용 계획기술을 활용하고 현재의 토지이용계획과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환경친화적인 유역관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역관리의 목표는 유역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토지이용 및 개발을 적정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유역의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면, 유역관리 각 부분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환경친화적이며 효율적인 유역관리가 이루어 질 것이다. 둘째, 사전예방에 따른 환경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유역관리에 유역내 토지이용이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토지이용관리는 대부분 개발자에 의해 결정된다. 유역의 건전성은 오염 발생후 처리를 통해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전예방적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면 사후 및 사전 관리를 통한 유역환경의 건전성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보다 구체적인 개선방안들이 제시되면 한층 진일보한 사전예방적인 토지이용체계가 구축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