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H 유사제도 도입을 위한 화학물질안전성평가시스템 구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정규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9Z -
dc.date.issued 2009033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65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론 <br> 가. 연구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br> (1) EU의 REACH <br> (2) 미국의 ChAMP <br> (3) 중국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br> 나.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br> (1) 세계적 수준 <br> (2) 국내수준 <br> (3) 국내?외의 연구현황 <br> 다.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br> (1) 차별성 <br> (2) 관련기술 보유현황 <br>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br>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br> 나.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평가방법 <br> 다. 연도별 추진체계 <br> 제3장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계획 <br> 가.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br> (1) CSA 지원기반 구축 <br> (2) CSA 요소기술 개발 <br> (3) CSA 시스템 개발 <br> 나. 연구개발 결과 요약 <br> (1) CSA 지원기반 구축 <br> (2) CSA 요소기술 개발 <br> (3) CSA 시스템 개발 <br> 다. 연도별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br> 라. 연도별 연구성과 (논문.특허 등) <br> 마. 관련 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br> 바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dc.language 한국어 -
dc.title REACH 유사제도 도입을 위한 화학물질안전성평가시스템 구축 -
dc.type 수탁연구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I. 제목 REACH 유사제도 도입을 위한 화학물질안전성평가시스템 구축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들어 EU를 중심으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체계를 개선하여 화학물질 규제를 강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EU의 『REACH 법안』, 미국의 ChAMP, 중국의 『신화학물질환경관리법』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도 REACH 시행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행된 선행연구과제의 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대 EU 수출업체 중 수출량이 연간 100 톤 이상인 업체(49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바 응답률이 50%에 불과하였고, 이와 같이 응답률이 저조한 이유는 REACH에 대한 관심과 인식부족으로 판단됨은 물론 REACH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기업체라고 할지라도 REACH에서 요구하는 화학물질의 안전성과 위해성에 대한 평가 능력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산업체를 정부가 지원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REACH 유사제도를 국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대응방안이며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국제적 일치에 대응하는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길일 것이다. 또한 유해화학물질관리기본계획(‘06~’10)에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신규 및 기존화학물질의 제조 또는 수입자에게 해당 화학물질의 안전성평가를 의무화하는 REACH 유사제도의 도입과 시행을 명시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2010년에 국내 이행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REACH 유사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국내 산업체의 위해성 평가능력 및 노출 시나리오 문서 작성 능력 등을 향상시키고, 화학물질 안전성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IT 시스템을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REACH 유사제도 도입에 필요한 산업체가 사용할 수 있는 화학물질안전성평가(Chemical Safety Assessment, 이하 CSA) 시스템을 개발하고, CSA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는 CSA 지원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산업체가 스스로 활용할 수 있고 국내 산업구조에 적합한 화학물질안전성평가시스템 개발되고, 향후 우리나라 REACH 유사제도 이행에 필요한 기반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을것이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전체 연구는 3년 동안 수행되었으며 매년 CSA 지원기반 구축, CSA 요소기술 개발, CSA시스템 개발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1차년도에는 CSA 지원기반 구축에서 기존에 구축된 화학물질 물성치 및 독성정보를 조사하여 활용 방안을 확보하고, 우리나라 각 지역의 대기온도, 풍속, 강수량과 같은 기상 특성 값을 분석하여 DB를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를 조사하여 기존의 화학물질 안전성평가시스템을 분석, 각 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CSA 요소기술 개발에서는 유해성평가기술 분석, 노출평가기술 분석을 분석하였다. CSA 시스템 개발에서는 개별모듈 및 통합패키지 설계, PBT 및 vPvB 평가 모듈, 물리화학적 위험성평가 모듈이 개발되었다. 2차년도에는 CSA 지원기반 구축에서 우리나라 각 지역의 면적 및 인구수 등 지형 특성값을 분석하고 화학물질의 분류표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확보하였다. 그리고 기존 TRI와 유통량정보 중에서 노출평가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CSA 요소기술 개발에서는 유해성평가 기술, 노출시나리오 작성 방법론, 위해도 관리대책, 배출평가기술이 개발되었다. CSA 시스템 개발에서는 영향평가 모듈, 배출평가 모듈이 개발되었다. 3차년도에는 CSA 지원기반 구축에서 우리나라 각 지역 인구 및 전국 특성값을 분석하고 1, 2차년도 연구에서 확보된 화학물질의 물성치 및 독성정보, 분류표시 정보 DB를 구축하고 분석된 기존 TRI/유통량 정보에 대한 검증DB를 구축하였다. CSA 요소기술 개발에서는 노출시나리오 작성 방법론 확립, 매체별/매체내/지역별 분포평가기술 개발, 노출평가기술 개발, 위해도 정량화 기술이 개발되었다. CSR 시스템 개발에서는 분포평가 모듈, 노출평가 모듈, 위해도 결정 모듈, 입출력 모듈 및 패키지가 개발되었다. IV. 연구개발결과 1. CSA 지원기반 구축 ? 배출인자 DB 구축 2001년-2005년 환경부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산업 카테고리(Industrial Category, IC) IC 화학산업 : 기초 화학물질 등 12 IC에 대해 배출계수 DB와 배출분율 및 배출일수 DB 구축되었다. 또한 환경부 2006년 유통량 조사결과를 사용하여 CAS 번호를 가진 11,788종의 화학물질에 대해 지역별, IC, UC에 따라 생산량 및 사용량 DB가 구축되었다. ? 환경분포 DB 구축 지역/인구/기상 특성값은 통계청 및 환경부 등의 국내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광역 및 전국의 기온, 강수량, 풍속, 인구수, 농경지, 자연토양, 공단/도심 면적, 국내 해수의 면적 DB가 구축되었다. 광역 및 지역 모델 매개변수는 환경부 토양오염 위해성평가지침 및 국외 환경거동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인자를 활용하여 분배계수, 분해 및 변형속도, 광역 환경분포, 지역 분포에 대한매개변수 DB를 구축하였다. ? 인체 유해성 평가 DB 구축 부식성/자극성 등 10개 독성항목에 대해 OECD, EU, REACH 등의 시험법을 검토하여 노출경로, 시험방법, 실험생물종 등의 DB를 구축하였다. ? 환경 유해성 평가 DB 구축 수서생태환경 등 4개 환경매체에 대해 OECD, EU, REACH 등의 시험법을 검토하여 대상매질, 기간, 실험생물종, 시험방법 등의 DB를 구축하였다. ? 노출 시나리오 DB 구축 환경부 위해성 평가 고시, 국외 위해성 평가 관련 지침등을 검토하여 체중, 호흡률, 먹는물 섭취량, 실내체적, 식품섭취량, 호흡가능비율, 섭취흡수율, 흡입흡수율, 피부흡수율 등에 대한 DB를 구축하였다. ? 물리화학적 위험성 평가 DB 구축 폭발성, 인화성, 산화성에 대한 EU Directive 67/548/EEC 위험물질 분류 표시내용과 GHS상에서의 물리적 위험성 분류를 서로 연계하여 DB로 구축하였다. 2. CSA 요소기술 개발 ? 유해성평가 기술 분석 : 인체 및 환경생태 영향 평가 기술뿐만 아니라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위험성 평가와 생체 및 환경 잔류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PBT 및 vPvB 평가 기술을 분석하였다. ? 배출평가 기술 분석 : 기존TRI와 유통량 정보를 바탕으로 물질의 순환단계 별, 배출 형태와 배출원별, 산업분류 및 사용패턴에 따른 배출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 매체별/매체내/지역별 분포평가기술 개발 : 분배 계수 산정을 위한 매체별 분포평가와 분해속도 산정을 위한 매체내 분포평가, 대중소권역에서의 예측농도 산정을 위한 지역별 분포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 노출평가 기술 분석 : OECD의 노출시나리오 문서 작성 지침서 분석 등 국내외 노출시나리오 작성 사례를 조사하고, 2차독성, 인간의 간접노출, 소비자 노출을 평가하는 기술 개발과 우리나라 생활패턴에 맞는 값을 도출하였다. ? 노출시나리오 작성 방법론 개발 : 용도확인, 제조/사용 공정에 대한 서술, 전 생애 과정에서의 배출경로 확인 및 환경과 인체건강(근로자, 소비자)의 위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위해성 관리 대책의 목록화, 이렇게 작성된 임시 노출시나리오의 노출예측을 위한 적절한 모델 선택 등 필요 자료를 활용한 작성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 위해도 관리 대책 개발 : 노출시나리오와 연계하여 허용 위해도 수준이하로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위해도 관리대책 평가 방법에 대한 요소 기술을 확립하였다. ? 위해도 정량화 : 노출수준과 적절한 무영향수준을 비교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는 위해도 정량화 비율(RCR) 결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3. CSA 시스템 개발 ? 개별 모듈 및 통합패키지 설계 : EU의 TGD에 따라 선규 및 기존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해 만들어진 EUSES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민 생활과 환경, 산업구조에 맞게끔 위해성 평가의 단계별 개별 모듈과 통합 패키지 내용을 설계하였다. ? 물리화학적 위험성평가 모듈 :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인체 건강의 암시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폭발성, 인화성,산화력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PBT 및 vPvB 평가 모듈 : 개발된 PBT 및 vPvB 평가 기술을 바탕으로 잔류성, 생물농축성, 독성이 강한 물질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영향평가 모듈 : 개발된 인체 및 환경생태 영향평가 기술 정보를 바탕으로 생태영향의 경우 수생생태계, 토양, 하수처리장의 미생물생태계 및 최종포식자에 대한 무영향수준(PNEC)과 인체건강에 대해서는 노출 경로별 무유해용량(NOAEL)과 DNEL을 결정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배출평가 모듈 : 확보된 화학물질의 특성과 용도, 순환단계 등 관련 자료로부터 지역, 관역, 전국의 규모별 배출량과 각 매체별 배출량을 산정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분포평가 모듈 : 일정 크기의 환경 매체/매체내/지역에서 분포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들을 활용하여 결과 값으로 각 매체(대기, 지표수, 토양, 지하수, 퇴적토)와 대중소 권역별 환경농도를 산정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노출평가 모듈 : 예측된 환경에서의 농도를 근거, 포식종-조류, 포유류, 인간에 대한 노출 수준을 산정하고 인간의 환경에 의한 간접노출 및 소비재를 통한 노출, 작업장에서의 노출특성으로 구분하여 산정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위해도 결정 모듈 : 인체와 환경에 대한 노출평가결과와 영향평가결과로부터 위해도 결정비율을 계산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입출력 모듈 및 패키지 개발 :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화학물질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값, 기본값, 종간결과, 최종결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환경부 : “화학물질관리선진화계획(‘09.2)에 따라 산업체의 특정 기존화학물질의 유해성자료 및 노출관련 정보 제출 및 평가시에 활용하고 사업장별 배출량 공개에 따른 초기위해성평가 툴로 사업체에 배포할 예정이다. ? 국립환경과학원 :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KOSES 적용에 관한 연구(‘09.3~)”에 본 과제에서 개발된 시스템적용 중이며, 향후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심사 및 위해성평가시에 본 시스템 활용할 예정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연구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