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정은 -
dc.contributor.other 이명진 -
dc.contributor.other 구유성 -
dc.contributor.othe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이재욱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0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00Z -
dc.date.issued 2011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1-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79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기본2011_07_강정은.pdf -
dc.description.abstract Climate change is unequivocal with sufficient evidence. Extreme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increased and are expected to exacerbate. These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ment of natural hazards, such as flooding, heat waves, and typhoon, which cause not only loss of lives and property but also paralysis in the city. In particular,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well for such disasters. As such, cities are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and they often struggle with the problem of urban flooding. Researchers have identified green infrastructures (GI), including parks, urban forests, trees, green roofs, and etc, as a critical strategy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Urban GI provides a myriad of environmental, health, economic benefits for people and communities. Also, GI help to infiltrate water into the ground, provide the ability to absorb and store rainfall, and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s. However, realizing these benefits is still a challenge. Most contemporary GI planning in Korea focus on aesthetic functions among various values. GI planning does not think how other functions and values, such as flood mitig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Furthermore, they are small, individual projects which are not integrated, and most GI projects have the problem of underinvestment. This study addresses the deficits in GI planning by investigating current regulations, laws, and plans regarding GI and explores the effects of GI in mitigating flood damages. In addition, we suggest the framework of GI planning which provides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location and design of GI to maximize the value of GI in flood mitigation. Then, this research applies this planning framework to the case study area, namely YeonJe-gu and Nam-gu in Pusan. We found that GI have statically significant impact in mitigating flood losses while controlling meterological factors, biophysical factors, and disaster protection efforts. If a community increases GI area by 1% of the total area, the community would have 6.4% reduction in property damage. Thus, cities are able to employ GI as a strategy for urban renewal which provides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of flood losses.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steps of GI planning framework: GI goal setting, GI spatial plan, and GI design plan. GI spatial plan uses GAP analysis to provide GI locations. GI GAP analysis includes current GI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with GIS, frequency ratio, and hydro analysis. Using this GAP analysis, planners can find ideal locations for GI. We expect this planning framework will bring GI into the mainstream of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and infrastructure planning. -
dc.description.abstract 우리나라 자연재해 피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풍수해 피해는 도시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의 불투수층 확대에 따른 유출수량 및 홍수 증가는 심각한 도시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서구를 중심으로 그린인프라의 성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활용하여 물순환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방재성능을 높이는 일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나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리뉴얼 전략으로 사용되기에는 미흡했던 현행 그린인프라 정책을 점검하고, 그린인프라의 홍수저감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 방법론을 검토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크게 1) 그린인프라의 홍수피해 저감효과 및 홍수피해 결정 요인 분석, 2) 그린인프라 계획틀 제안, 3) 제안된 계획틀의 사례지역 적용 및 사례지역의 그린인프라 활용방안 제시로 나누어 정리될 수 있다. 그린인프라의 홍수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모형은 주 독립변수(main independent variable)인 그린인프라 외에도 기상요소(집중강우일수, 강우강도), 지역의 물리적 취약성(평균경사, 평균고도, 저지대면적, 해안가 여부, 강면적), 재해예방노력 요소(댐용량, 재정자립도)가 포함되어 구축되었다. 연구결과(4장)에 따르면 그린인프라는 실제 재해피해를 저감하는 데 효과적인 정책으로 나타났다. 기상요소, 물리적 취약성 요소, 재해예방노력 요소들이 모두 통제될 때 그린인프라 면적 1% 증가는 그 지역의 홍수로 인한 재산피해를 약 6.4% 정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강우강도와 같은 기상요소뿐 아니라 평균경사, 평균고도, 저지대면적, 해안가 입지, 강면적과 같은 물리적·입지적 취약성 결정 요소들은 재해피해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지역의 댐용량이나 재정자립도는 재산피해를 줄이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br> 3. 연구방법 및 범위 <br><br>제2장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지역 자연재해 <br> 1.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br> 가. 전 지구적 자연재해 추세 <br> 나. 우리나라 자연재해 피해 현황 <br> 2. 도시지역 자연재해 <br> 가. 도시지역 재해피해 <br> 나. 도시지역 홍수 원인 <br> 다. 우리나라 방재정책 현황 및 개선방향 <br><br>제3장 도시 리뉴얼과 그린인프라 <br> 1. 도시 리뉴얼 <br> 2. 그린인프라의 개념 <br> 가. 그린인프라의 정의 및 구성요소 <br> 나. 그린인프라의 효과 <br> 3. 국내의 그린인프라 정책 현황 및 문제점 <br> 4. 그린인프라를 활용한 국외 도시 리뉴얼 사례 및 시사점 <br><br>제4장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분석 <br> 1. 모형개발(Conceptual Framework) <br> 가. 변수구축 <br> 나. 분석 방법 <br> 2.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br> 가. 기술통계 분석 <br> 나. 상관관계 분석 <br> 다. 다중회귀 분석 <br><br>제5장 도시 리뉴얼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틀 개발 <br> 1. 도시 리뉴얼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틀(Framework) <br> 가. 1단계: 그린인프라 계획 목표 설정 <br> 나. 2단계: 그린인프라 공간계획 <br> 다. 3단계: 그린인프라 조성계획 <br> 2. 공간계획 및 조성계획 수립을 위한 방법론 <br> 가. 그린인프라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재해취약성 분석 <br> 나. 그린인프라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 요소 및 기법 <br><br>제6장 그린인프라를 활용한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부산시 남구, 연제구 사례 <br> 1. 지역 현황 분석 <br> 가. 사례지역 선정 이유 <br> 나. 사례지역 일반현황 <br> 다. 사례지역 그린인프라 및 재해피해 현황 <br> 2. 그린인프라 계획틀을 활용한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br> 가. 그린인프라 계획 목표 설정 <br> 나. 그린인프라 공간계획 <br> 다. 지역별 그린인프라 조성방안 도출 <br><br>제7장 결론 및 제언 <br> 1. 연구요약 <br> 2. 정책 제언 <br> 가. 그린인프라의 다기능적, 복합적 특성을 고려한 제도개선 <br> 나. 그린인프라 확대를 위한 지원프로그램 개발 <br> 2. 고찰 및 향후 연구과제 <br><br>참고 문헌 <br><br>부록 : 대규모 자연재해(풍수해) 발생현황 203<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06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
dc.title.alternative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Urban Renewal Strategy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
dc.title.alternativeoriginal Use of Green Infrastructure on Flood Mitigation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1-07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a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g-Eu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