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다양성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이현우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송원경 -
dc.contributor.other 김은영 -
dc.contributor.other 김재욱 -
dc.contributor.other 장래익 -
dc.contributor.other 김근한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0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08Z -
dc.date.issued 20121031 -
dc.identifier A 환6100 2012-1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87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03/국가생물다양성센터구축및운영방안마련을위한연구_전성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1. 추진배경 ○기후변화, 인간의 개발활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환경 악화,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지속 감소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기온상승 2℃ 억제에 성공해도 세계인구 20억 명이 물 부족으로 고통당하고, 생물종의 20~30%가 멸종위기에 처할 전망(관계부처합동, 2010)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보다 빠르고, 향후 강수량의 시·공간 변동성 증가, 가뭄과 호우강도 심화 등이 예상되어 극심한 생태계 변화 예상 ※ 지난 100년간 6대도시 평균기온은 약 1.5℃ 상승(세계 평균 0.74℃)하고 강수량은 19% 증가하였으며 지난 43년간('64~'06) 한반도 연안 해수면은 약 8cm상승 -전 지구 생물종의 74~84%를 차지하는 열대우림의 파괴 속도가 최근 급증하여 1985년까지 약 0.6%(약 1,120만 ha) 감소하는 등 전 세계적인 생물다양성 감소 지속(UNEP, 2010) -'92년 이후 20년간 전 세계 숲 중 300만㎢(아르헨티나 면적 이상) 감소 -전 세계 바닷물 산성도(pH) 평균값이 8.06(2007년 기준)으로 악화, 산호류, 갑각류, 연체동물의 갑각, 외피 용해, 물고기 산람 감소 등 해양생물 멸종 초래 -전 세계 지구생존지수가 1992년 이후 12% 감소, 특히 열대지역 지구생존지수는 30% 감소 ※ 지구생존지수(Living Planet Index): 2,500종 이상의 동물을 모니터링하여 생태계 건강성을 분석한 지표 -52종의 척추동물이 매년 멸종위기 단계로 들어서, 20년간 1,000종 이상이 멸종위기 상태에 빠짐, 1970년 이후 야생척추동물 31% 이상 감소 -전 세계에 존재하는 1,200여 종의 물새 중 44%가 개체수 감소 -고갈 위험에 처한 물고기는 지구상 전체 물고기의 13% -우리나라 역시 도시화·산업화 과정에서의 서식지 훼손과 기후변화 등으로 생물다양성 감소현상이 가속화 -'87년부터 '05년까지 18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습지 면적이 3,200㎢ → 2,500㎢로 감소(20%), 농지도'00년~'07년간 연평균 14천 ha씩 감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사업의 개요 1<br>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3<br>1.1. 추진배경 3<br>1.2. 사업목적 6<br>2. 주요내용 6<br>2.1. 과업목표 6<br>2.2. 내용적 범위 및 주요내용 7<br><br>Ⅱ.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 관리 현황 9<br>1. 부처별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 관리시스템 구축·운영 현황 11<br>1.1. 개요 11<br>1.2. 환경부 12<br>1.3. 교육과학기술부 18<br>1.4. 농림수산식품부 23<br>1.5. 지식경제부 30<br>1.6. 국토해양부 31<br>1.7. 보건복지부 33<br>1.8. 부처별 생물자원 DB 구축 현황 종합 36<br>2. 해외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 관리시스템 운영 현황 43<br>2.1. 생물자원 이용국 43<br>2.2. 생물자원 제공국 51<br>2.3. 국제 생물자원 관리시스템 56<br>3. 문제점 및 개선방안 62<br>3.1. 국내의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 관리 문제점 62<br>3.2. 국외 사례의 시사점 62<br>3.3. 관리방안 64<br><br>Ⅲ. 국가생물다양성센터 구축 방안 65<br>1. 소속 기관 및 설치 위치 67<br>1.1. 법제적 검토 67<br>1.2. 기능적 검토 68<br>1.3. 소속 기관 제안 69<br>2. 소요 인력 70<br>2.1. 국가생물다양성센터의 주요 기능 설정 70<br>2.2. 국가생물다양성센터 소요 인력 및 예산(안) 71<br>3. 기존 조직 활용 및 관계설정 방안 74<br>3.1. 야생생물유전자원센터 74<br>3.2. 나고야의정서 상담센터(ABS Help Desk) 75<br>3.3. 관계설정 방안 77<br><br>Ⅳ. 국가생물다양성센터 주요 기능 및 운영 방안 79<br>1. 조직의 비전·목표·전략 및 조직도 81<br>1.1. 조직의 미션 81<br>1.2. 비전·목표·추진전략 82<br>1.3. 조직도(안) 83<br>2. 생물자원 정보 수집·확보 관리기능 85<br>2.1. 자생 생물자원 및 전통지식 기초정보 관리 방안 85<br>2.2. 해외 조사·발굴 생물자원 기초정보 관리 방안 112<br>2.3. 생물자원 파생정보 관리 방안 144<br>2.4 외래생물종 수출입 현황 관리 방안 158<br>3. 생물자원 정보 활용 관리기능 175<br>3.1. 국내 이용자의 해외 생물자원 이용 현황 관리 175<br>3.2. 사전접근승인 절차·시스템 운영 방안 검토 183<br>3.3. 생물자원의 수출입 및 반출·반입 현황 관리 193<br>4.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구축 및 운영 방안 206<br>4.1. 각 부처 소관별 생물다양성센터 총괄 206<br>4.2. 국가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관련 정보 표준화 방안 208<br>4.3. 관련 정보 시스템 연계 및 통합관리 218<br>4.4. 국제 생물자원 관리시스템과의 연계 방안 223<br>5. 국가생물다양성센터 운영 방안 종합(안) 226<br>5.1. 국가생물다양성센터 역할 결정 226<br>5.2. 국가생물다양성센터 기능 및 운영 방안 226<br><br>Ⅴ. 국가생물다양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방안 231<br>1. 필요성, 설립근거 및 업무범위 233<br>1.1. 국가생물다양성위원회 구성의 필요성 233<br>1.2. 설립근거 234<br>1.3. 생물다양성법률 관련 업무범위 234<br>2. 주요 국가의 생물다양성위원회 관련 사례 235<br>2.1. 일본 235<br>2.2. 인도 236<br>3. 위원회 체계, 구성 및 운영방안 238<br>3.1. 위원회 위상 및 체계 238<br>3.2. 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안 238<br><br>참고문헌 241<br><br>부 록 245<br>부록 1. 생물다양성 관련 주요 법령 245<br>부록 2. 생물자원 수출입관련 법령 및 수입금지식물 246<br>부록 3. 수입 금지 식물, 금지 지역, 금지 병해충 254<br>부록 4. 생명연구자원 정보연계표준 -
dc.format.extent 267 p. -
dc.publisher 환경부 -
dc.title 국가생물다양성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